View : 703 Download: 0

청소년의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 경험에 관한 고찰

Title
청소년의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 경험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Youth’s Experiences in Orchestra Club Activities
Authors
서희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 경험의 연속성과 상호작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오케스트라 동아리에 소속된 4명의 고등학생과 3명의 중학생을 섭외하여 심층면담과 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각 1회였고 필요시 전화를 통한 후속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오케스트라 동아리 참여 동기에 영향을 미친 연속적 측면에는 학생들의 이전 음악 활동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이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이전 음악 활동에서 경험한 음악적 만족감과 같은 음악적 요소뿐만 아니라, 이전 오케스트라의 환경이나 단원들과의 관계에 대한 기억과 같은 비음악적 요소들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오케스트라 참여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음악적 요소뿐만 아니라 비음악적 요소에 대한 기대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을 통해 여가 활동으로써의 연주 활동과 그룹 연주자로써의 활동, 봉사 차원의 연주 활동을 지속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에서 느낀 음악적 만족감을 통해 형성된 내재적 동기와 동아리의 외부 활동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특히, 이러한 외부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음악 활동의 다양한 유형을 알게 되어 동아리 이후의 활동에 대한 선택의 폭을 확장 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동아리 활동에 연주 활동과 관련한 다채로운 외부 활동을 겸하면 학생들의 동아리 이후 활동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의 물리적 환경 중 연주곡에 있어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흥미 있어 하거나 성취감을 느끼는 곡에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무대 공간에 있어서는 공연에 적합한 형태의 공간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즉, 학생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곡과 청중들이 알고 있다고 여기는 곡에 흥미를 느낌과 동시에, 어려운 곡을 연주해내는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있었고, 자신들을 선보이게 될 무대 공간을 중시하여 무대로써 적격한 공간에서 연주하기를 선호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주곡에 있어서는 학생들이 흥미 있어 하는 곡을 위주로 선정하되 어느 정도 도전감이 있는 곡 또한 레퍼토리에 포함시키고, 무대 공간에 있어서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연주를 선보이고자 하는 마음에 부응할 수 있는 무대 공간과 환경이 제공되면, 학생들의 물리적 환경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 학생들은 지도 강사들이 자신들의 연주에 도움을 주는 형태의 상호작용과 갈등을 인식하고 있었고, 동료와는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과 연대감과 같은 감정을 통한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의 대화 중에는 공연 직후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연주에 대해 평해보는 대화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앞으로의 연주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습방법을 고안해내기도 했다. 이로 보아, 무대 연주 후 연주에 대한 성찰 과정을 개선된 연주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생의 오케스트라 동아리의 활동 양상을 파악하여 오케스트라 동아리의 실제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continuity and interactivity of youth’s experiences in orchestra club activities. To this end,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by contacting four high school students and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belonging to the orchestra club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respectively,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elephone a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experience in students’ previous music activities as a factor of continuity that influenced the context of youth’s participation in orchestra club activities. This has also affected non-musical elements, such as previous memories of the environment of the orchestra and the relationship with its members, and musical elements such as the experience of musical satisfaction that students felt in previous music activi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expectations for not only musical elements but also non-musical elements that influenced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orchestra. Second, students had a tendency to continue performance activities as recreational activities, activities as group performers, and performance activities as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orchestra club activities. This resulted from the intrinsic motivation that were formed through the musical satisfaction and external activities of the club. In particular, students became aware of a variety of types about music activities through these external activities, so that they were able to expand their choices for activities after the club.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various external activities will broaden the range of choices for activities after the club. Third, with regard t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orchestra club activities, students were positively interacting with songs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or felt fulfilled, and with spaces suitable for performance, respectively. First of all, student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ocess of performing difficult songs while being interested in the songs that they wanted and that they thought their audience would know.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placed importance on the stage performance and preferred to perform in the space appropriate for stage. Fourth, among the social environments of orchestra club activities, students were aware of the positive interaction that instructors did in the process of teaching musical instruments and negative interaction by the conflicts, and there were positive interactions mainly with colleagues. Among these, the students were in the linguistic interactions by communicating with colleagues abou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lub or by sharing the self-examination of their performance, and they were also in the non-verbal interactions in which they exchanged enthusiasm for performance activities. Particularly, among linguistic interactions there were communication about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after the stage performance, through this they discovered effective practice methods that made improvements subsequent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eded that reflection process about students’stage performance is appointed officially for improvement their subsequent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activity patterns of the orchestra club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contribute to the actual operation of the orchestra club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