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파사칼리아>’ 분석 연구

Title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파사칼리아>’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ang Tae-hong′s Gayageum Sanjo Concerto
Authors
강찬숙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은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파사칼리아>’를 분석하여 파사칼리아 기법을 중심으로 작품에 사용된 작곡기법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효과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파사칼리아>’의 작품 배경을 알아보고, 악기 편성, 악곡 구성, 가야금 독주 선율의 구성, 그리고 관현악 합주 형식 및 작곡기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사칼리아>의 악기 편성은 기존의 가야금산조 협주곡과는 달리 타악기에 저음 음역대인 팀파니와 큰북(Bass Drum) 등을 편성하여 국악관현악에서 빈약한 저음부를 보강함으로써 곡의 분위기를 극대화 시켰다. 또한 연주 악단에 따라 악기 배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파사칼리아>의 악곡 구성은 총 493마디로 기존 산조의 틀에 도입부와 재현부가 추가되어 도입부-다스름-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재현부-세산조시-뒷중모리의 총 10악장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파사칼리아>의 가야금 독주 선율과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 원곡인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를 축소하는 과정에서 악장 내 악구를 연결하는 종지구에 기존선율 활용, 종지구 변형 유형, 반복 유형, 여음 유형의 네 가지로 변화가 나타났다. 기존선율 활용은 다스름, 중중모리, 자진모리에서 기존선율을 그대로 활용하여 악구를 연결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종지구 변형 유형은 종지구의 선율 일부나 리듬을 변형시키는 형태인데, 진양조에서는 리듬 변형으로, 중모리에서는 리듬 및 음정 변형으로 나타났다. 반복 유형은 한 장단 이상의 산조 선율을 반복하여 악구를 연결하는 형태로, 휘모리에서는 한 장단을, 세산조시에서는 열 장단을 반복하였다. 여음 유형은 여음을 추가하여 악구를 마무리하는 형태로, 휘모리에서는 종지구의 끝음을 두 마디로 여음을 지속하여 악구를 맺었고, 뒷중모리에서는 세 마디로 여음을 지속하여 곡 전체를 끝맺었다. 넷째, <파사칼리아>의 관현악 합주 형식은 도입부, 다스름, 재현부를 제외한 모든 악장에서 가야금독주와 관현악합주가 함께 이루어졌다. 도입부와 재현부에서는 관현악만 합주하였으며, 다스름에서는 가야금독주와 해금이 연주하였다. 가야금독주는 자진모리, 휘모리, 세산조시의 빠른 악장에서 카덴차로 나타났다. 다섯째, <파사칼리아>의 작곡기법을 분석한 결과 파사칼리아 기법을 비롯하여 유니즌 진행, 카논형식, 헤테로포니 방식, 서양식 연주기법 등이 나타났다. 먼저 파사칼리아 기법은 진양조에서 두드러졌다. 저음 주제와 주제화성은 도입부에 제시되어 반복되어 나타났으며, 주제화성의 전조는 진양조에서 우조와 돌장의 선율에 맞춰 전조되어 나타났다. 저음 주제선율은 리듬에 변화를 주며 전 악장에 걸쳐 특히 거문고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대위법의 활용은 전 악장에 걸쳐 관현악의 악기들이 각각 기존선율을 모방하며 연주하거나 저음 반주선율 위에서 대금이 기존선율과는 다른 선율로 독주가야금과 동시에 연주함으로써 독주가야금과 대금이 이중주로 연주하는 효과를 주었다. 악구맺음의 어긋난 대립구조는 기존 가야금산조 협주곡에 없었던 악곡구조로써 <파사칼리아>의 가장 큰 특징이었다. 독주가야금과 관현악이 진양조장단의 3박자 6마디 구조와 파사칼리아 3박자 8마디 구조로 서로 다른 곳에서 악구를 맺음으로써 어긋난 대립구조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니즌 진행은 중모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유니즌 진행을 두 마디 또는 네 마디로 구성하여 합주 다음에 이어지는 가야금독주에 더욱 집중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카논형식은 관현악이 가야금독주와 동일한 선율을 4분 쉼표 길이인 한 박자만큼 늦게 연주함으로써 돌림노래와 같은 효과를 주었다. 헤테로포니 방식은 주로 관현악의 관악기 선율에 출현하여 가야금독주 선율의 음과 다른 음이 삽입되거나 잔가락에 변화를 주어 단조로운 가야금독주 선율을 풍성하게 보강해 주었다. 또한 <파사칼리아>에서는 관현악에서 해금과 25현가야금에 트레몰로와 아르페지오 주법을 많이 활용하여 가야금독주 선율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상과 같이 분석한 결과 <파사칼리아>는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구성에 서양음악의 작곡기법인 파사칼리아를 적용하여 재해석된 작품으로 가야금독주와 관현악의 협력과 대비를 통해 양면성을 보여준 음악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음악인 산조가 서양 작곡기법인 파사칼리아와 만나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구성의 산조협주곡으로 재창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파사칼리아>에서 보여준 실험적인 시도가 관객과 소통할 수 있었던 것은 작곡가가 두 장르의 음악적 정체성을 정확히 파악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앞으로도 다양한 작곡기법과의 융합으로 더 많은 산조협주곡이 창작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Kang Tae-hong′s Gayageum Sanjo Concerto ’and to examine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used in the piece of Passacaglia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mpositional skills in this work. The paper would explore the background of‘Kang Tae-hong′s Gayageum Sanjo Concerto ’and discovered the orchestration, composition of music, the melody of Gayageum solo and the sound of orchestral music and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not like conventional Gayageum Sanjo Concerto, the orchestration of maximized the atmosphere of the music and reinforced the weak bass part in Korean music for orchestra by organizing the Timpani and the Bass Drum in the percussion part. Moreover, it was shown that the orchestration varies as the band. Secondly, the music composition of is 493 measures as total and it was composed with total ten movements as‘Introduction-Daseureum- Jinyangjo-Joongmori-Joongjoongmori-Jajinmori-Hwimori-Recapitulation-Sesanjoshi-Joongmori’, by adding the introduction and recapitulation to the conventional frame of sanjo. Thirdly, by comparing the Gayageum solo of and the melody of , it was turned out that there were four changes at the final measure of the piece while changing the original piece of the artist’s Gayageum sanjo including using existing melody at the final bar, variation of final part, repetition of the final bar and reverberation of the final part. Using existing melody was shown as connecting sections at Daseureum, Joongjoongmori, and Jajinmori parts. The variable type is to vary the part of melody at the ending part or rhythm and in Jinyangjo part it was shown as rhythm variation and in Joongmori part it was either rhythm and tune variation. The repetition type is to connect the phrases by repeating more than one rhythm of the melody of sanjo and in Hwimori only one rhythm was repeated and in Sesanjoshi ten rhythm were repeated. The reverberation part finished the movement by adding the reverberation, in Hwimori the melody was finished by keeping the last melody with two bars and it Joongmori the piece was finished by keeping the melody with three bars. Fourthly, the ensemble of was in every movement besides Introduction, Daseuruem and Recapitulation with Gayageum solo and orchestra ensemble. In Introduction and Recapitulation the orchestra formed an ensemble and in Daserum part Gayageum solo and Haegeum played together. Gayageum solo was shown in Cadenza of Jajinmori, Hwimori and Sesanjoshi parts. Fifthly, by analyzing the compositional skills of , Unison, Canon, Heterophony, western style and Passacaglia were shown. First, Passacaglia was remarkable in Jinyangjo. The low theme part and the theme harmony were repeated in Introduction and the theme chord was changed in U-jo and Dol-jang parts of Jinyangjo. Low theme melody was repeated in every part by varying the rhythm, especially in Geomungo. The application of counterpoint method made the effect of solo Gayageum and Daegeum playing a duet by making the orchestra imitating the existing melody in the whole movement or making the Daegeum playing a duet with Gayageum solo over the low accompaniment melody. The twisted contrasting form of ending the clause was something never in conventional Gayageum concerto and it was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 The twisted form was also shown where the Gayageum solo and orchestra ended the clauses in different places: at the triple time with six bars in Jinyangjo and at Passacaglia triple time and eight bars. Secondly, Unison was noticeable in Joongmori. It made an effect to focus on Gayageum solo which comes after ensemble by compositing Unison two or four bars. Canon made an effect like a troll by delaying the same melody of Gayageum solo as slow as a quarter minute long beat. Heterophony was mainly in the orchestra melody and reinforce the monotonous sound of Gayageum solo by varying the melody or adding another melody different from that of Gayageum solo. Also in , it was helpful to focus on the sound of Gayageum solo by using Tremolo and Arpeggio on Haegeum and Gayageum with 25 strings. By this study, it was turned out that is reinterpreted piece by incorporating a conventional form of Kang Tae-hong’s Gayageum sanjo and western compositional technique Passacaglia and the music showed the double aspects by comparison and contrast of Gayageum solo and orchestra. Also, it was possible to figure out that the harmon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anjo and western compositional method Passacaglia was recreated into Sanjo Concerto which is richer and more pleasant than conventional on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eason of experimental trial in attracted many audiences is that the composer got the point of musical identity of two genres. It would be expected to have more Sanjo Concerto by blending various compositional skill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