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유진현-
dc.creator유진현-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25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2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1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826-
dc.description.abstractPoetry interpretation has been considered in poetry education for better reading. However,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oetry interpretation is not limited to it. Mainly, the possibility of enjoying poetry reading lies in the experience of poetry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and to prepare the contents for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systematization for the realization and objectification of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as a poetic educational concept was carried ou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interpretive text and the experiential descriptive text created after the poetry interpretation activity of the reader. Based on this,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are explained, and the contents for poetry interpretation experience is presented. In poetry education, paying attention to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means characterizing the poetry interpretation activity as a structure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essence of experience in poetry interpretation is confirmed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experience, which has been discussed in the existing epistemology.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in poetry interpretation enable the development of ability of interpretation through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the expansion of horizon of interpretation through the possibility of negation that experience is denied or changed by another experience in the experience accumulation process. In this way, the essence of experience of poetry interpretation is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experience, while the character of the poetry interpretation activity is to realize the implicative meaning of poetic text by acquiring interpretation strategy and to modify the realized meaning of poetic text by changing horizon of experience. Thus,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is structured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flow of time and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were verified by the weaving-reading and re-reading activity. A learner’s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has a structure of convergent, categorical, and heuristic interpretation-experience. The structure of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is formed in that each phase has a mutual influence relation.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dynamically influences the poetry interpretation activities. The learner can enhance the validity of his poetry interpretation activity through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in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or strengthen the logic of his poetry interpretation activity. In addition, the learner tries to realize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ry text in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or by constru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etry text within his own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In addition,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can be continued by realizing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which is not fully interpreted and be modified the interpretation discourse of oneself. Based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I suggested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education. The practical principle of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education is discontinuous persistence and self-negating growth. In preparing the contents for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educa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who hav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was considered in view of the specificity of the poetry interpretation activity in poetry education. The content for the interpretation experience is refined by performance, modification, and attitude of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This study emphasized the learner’s status as a subject of realization of the meaning of poetry text and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the learner as an interpreter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The learner’s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has infinite growth potential, given that it is a structure composed of continuation and change. Through this study, further discussions on the education of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can be actively pursued.;이 연구의 목적은 시 읽기에서 해석경험의 구조와 작용을 확인하고,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 교육적 개념으로서 시 해석경험의 본격적인 가치화 및 대상화를 위한 이론적 체계화를 수행하고, 학습자가 시 해석 활동 이후 작성한 해석 텍스트 및 경험 기술지를 분석함으로써 시 해석경험의 구조와 작용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 구성의 원리를 밝히고,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시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시를 좋아하여 자주 읽고 쓰는 학습자로의 성장에 있다면, 기존의 시 해석 교육에서 주되게 논의해 온 시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학습자에 대한 고려와 함께 시를 즐겨 해석하는 학습자에 대하여 고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에서 시를 가까이 두고 읽고 쓰도록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시 해석경험이라는 관점 하에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시 해석경험은 시 해석을 경험의 대상으로 삼아 겪게 되는 과정과 결과이다. 이러한 관점과 개념의 정의에 따라, 시 해석 교육은 학습자가 시 해석경험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규정되며 학습자는 시 텍스트의 의미를 실현해 나가는 과정과 결과에서 ‘나만의 경험’을 지니는 주체의 위상을 지닌다. 시 교육에서 시 해석경험에 주목하는 것은 학습자의 시 해석 활동을 교육적 경험의 구조로 이론화하는 것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시 교육적 개념어로서 시 해석경험을 규정하기 위하여, 시 해석에서의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함과 동시에 학습자가 작성한 시 해석 텍스트와 경험 기술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천적 접근을 마련하였다. 시 해석에서의 경험의 본질은 기존의 인식론 내에서 축소되어 논의되어 온 경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확인된다. 시 해석에서의 경험의 특성은 축적된 상태의 경험을 통해 해석 능력의 신장을 가능하게 하며, 경험의 축적 과정에서 또 다른 경험에 의해 경험이 부정되거나 변화하는 부정 가능성에 의해 해석 지평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 해석에서의 경험의 본질적 특성이 경험의 지속과 변화에 있다고 할 때, 시 해석 활동의 성격은 해석 전략을 습득함으로써 시 텍스트의 의미를 실현해 나가는 것과 경험 지평의 변화로부터 시 텍스트의 의미를 조정해 나가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시 해석경험은 시간의 흐름과 재구성의 확인을 통해 구조화된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따라, 시 해석경험의 구조와 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시 해석 활동을 엮어읽기 활동과 다시읽기 활동으로 구체화하였으며, 학습자가 작성한 시 해석 텍스트와 경험 기술지를 자료로 삼아 시 해석경험을 구조화하였다. 시 해석경험은 수렴적 해석경험, 범주적 해석경험과 발견적 해석경험의 구조를 지니며, 각 국면이 상호 영향 관계를 지닌다는 점에서 총체적 구조를 이루게 된다. 각 국면을 정리하면, 수렴적 해석경험은 학습자의 기존의 시 해석경험이 시 해석 활동에 수렴됨으로써 시 텍스트의 의미를 실현하는 것이다. 학습자는 자신의 시 해석경험으로부터 시 해석 활동에 도움을 구할 수 있으며, 사실적 지식을 조회하거나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적 지식을 환기하거나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 해석경험은 지식의 귀납적 확인과 수렴적 해석경험으로 구체화된다. 범주적 해석경험은 시 해석 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시 해석경험 내에 특정한 범주가 마련됨으로써 시 텍스트의 의미가 실현되거나 확장되는 것이다. 학습자는 자신의 시 해석경험 내에서 시 텍스트 간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범주를 마련할 수 있으며, 시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심화시키거나 수용 맥락의 재구성으로부터 시 텍스트의 의미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시 해석경험은 해석 가설의 검증과 범주적 해석경험으로 상세화된다. 발견적 해석경험은 학습자가 시 해석경험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확인된다. 학습자는 시 해석경험의 지속과 변화를 통해 시 해석경험을 종합적으로 구성하게 되는데, 시 해석 활동의 반복을 통해 시 텍스트의 의미 실현을 세분화하거나 기대 지평의 변화로부터 시 텍스트의 의미 실현을 다각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 해석경험은 이해 지평의 전환과 발견적 해석경험으로 체계화된다. 시 해석경험은 시 해석 활동에 역동적으로 작용하며 영향을 미친다. 학습자는 시 텍스트의 의미 실현 과정에서 시 해석경험으로부터 자신의 시 해석 활동을 통한 의미 실현의 타당성을 제고해 보거나, 해석 논리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시 해석경험 내의 시 텍스트 간의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의미를 실현해 보거나, 자신의 시 해석경험 내에서 타당한 시 텍스트 간의 연관을 마련함으로써 개성적 상호텍스트군을 구성해 보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시 해석경험이 지속되며 변화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해석해 보지 못한 시 텍스트의 의미에 대하여 시 해석경험을 통해 지연된 의미의 실현이 이루어지거나, 자신의 해석 담론을 조정할 수 있다. 시 해석경험의 구조와 작용을 바탕으로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 구성의 실천적 원리와 그에 따른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시 해석경험은 불연속적이되 지속적으로 확인된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시 해석 능력에 대한 중층적 이해를 요구한다. 따라서 시 교실에서 학습자가 보고하는 시 해석 능력은 시 교육에서 목표로 삼고 있는 시 해석 능력을 향해 가는 과정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시 해석경험은 축적의 과정에서 또 다른 경험에 의해 부정 가능성을 지니게 되는데, 이때 기존의 시 해석경험과 새로운 경험에 대한 검증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점에서 발전의 기회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시 해석경험이 자기 부정성을 지님으로써 학습자의 해석 지평은 계속적으로 융합되며 발전해 나간다.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은 시 해석경험의 수행, 조정과 태도로 상세화된다.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을 마련함에 있어, 시 교육에서 시 해석 활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시 해석경험을 갖춘 학습자 간의 소통을 고려하였다. 시 해석경험의 수행은 자신의 해석 이력을 활용하여 시 텍스트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그 의미를 실현해 나가거나, 해석 지평의 변화와 함께 시 텍스트의 의미를 확장해 보는 것으로 실행된다. 시 해석경험의 조정은 서로 다른 시 해석경험을 지닌 학습자 간의 소통을 통해 자신의 시 해석 활동의 타당성을 확인해 보고 해석 근거를 상세화하거나, 해석의 다양성을 인식함으로써 자신의 해석 담론에 대하여 교섭적인 소통을 진행해 보는 것으로 확인된다. 시 해석경험의 태도는 시 해석경험으로부터 학습자가 스스로를 해석자로서 인식함으로써 시 해석에 대한 능동적인 태도를 갖추거나, 시 해석의 가치를 체득함으로써 시 읽기와 시 해석에 대한 향유적인 태도를 지니게 되는 것으로 실행된다. 이 연구는 시 텍스트의 의미를 실현하는 주체로서 학습자의 위상을 강조하고, 시 해석경험에 주목함으로써 해석자로서 학습자의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시 해석경험이 지속과 변화를 통해 구성되는 총체적인 구조라고 할 때, 학습자의 시 해석경험은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지닌다. 학습자는 시 해석 활동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바를 모두 활용하여 시 텍스트의 의미를 실현해 보는 지적인 몰입을 경험할 수 있으며, 시 텍스트 간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자신만의 범주를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실현해 보는 흥미로운 경험을 겪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히 해석하지 못한 시 텍스트의 의미를 다시 한 번 고려해 봄으로써 시 해석 활동에 대하여 자신감을 갖게 되는 경험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 해석을 경험의 대상으로 삼아 학습자가 겪게 되는 과정과 결과는 시 읽기와 시 해석에 대한 긍정적이고 교육적인 경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삶에서 시를 즐겨 읽고 쓰는 독자로서의 성장 과정에서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시 교육은 학습자가 시 텍스트의 의미 실현 과정과 결과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의미한 경험’에 대하여 진취적으로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시 해석경험의 교육에 관한 후속의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6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3 II. 시 교육에서의 해석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 26 A. 시 해석에서의 경험의 본질과 특성 26 1. 경험의 축적과 해석 능력의 신장 27 2. 경험의 부정성과 해석 지평의 확장 38 B. 시 교육에서의 시 해석 활동의 성격 46 1. 해석 전략의 습득과 의미의 실현 47 2. 경험 지평의 변화와 의미의 조정 51 C. 지속과 변화로서의 시 해석경험 구조화의 전제적 요건 : 시간의 흐름과 재구성의 확인 55 III. 시 읽기에서 해석경험의 구조와 작용 69 A. 시 읽기에서 해석경험의 구조 69 1. 지식의 귀납적 확인과 수렴적 해석경험 70 2. 해석 가설의 검증과 범주적 해석경험 84 3. 이해 지평의 전환과 발견적 해석경험 96 B. 시 읽기에서 해석경험의 작용 107 1. 의미 실현의 타당성 제고와 해석 논리의 강화 107 2. 관계적 의미 실현과 개성적 상호텍스트군의 구성 112 3. 지연된 의미의 실현과 해석 담론의 조정 117 IV.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 구성의 원리와 실제 121 A.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 구성의 실천적 원리 123 1. 시 해석경험의 불연속적 지속과 해석 능력의 중층적 구조 124 2. 시 해석경험의 자기 부정적 발전과 해석 지평의 계속적 융합 129 B.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 134 1. 시 해석경험의 수행 136 2. 시 해석경험의 조정 145 3. 시 해석경험의 태도 158 V. 결론 163 참고문헌 169 부록: 시 해석경험 활동지 179 ABSTRACT 1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562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ents of Poetry Interpretation-experience Education-
dc.format.pageviii, 195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김창원-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혜-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혜-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