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재신-
dc.contributor.authorYU, PAI-
dc.creatorYU, PAI-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25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2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5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54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82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mee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population by increasing and the trend of gradually, considering the various aspects of architectural space resources shortage at present stage and the insufficiency of shortcomings, in order to solve the present stage of basic education school building resources, the problem of existing building for primary school building. The open architecture theory is adopted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It was composed of the support designed by designers and infill decided by the residents who could also participate ideas. According to the size of functional space, the zone and margin composed of multiple lines together form the support structure. In theory, every type construction has a support structure, so the opening of the residence architectural theory, on the basis of the support structure of combination type of school buildings, the analogy between the tw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the residential building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for the school building, to capture the core of the reconstruction. Taking the residence of a community in liCang district of Qingdao city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oposed theory of supporting related open building, the target building is reconstructed. Combined with the population and age of the target area, the plan to rebuild the primary school buildings is proposed. Taking advantage of the target construction in the region to impro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insufficient, finally put forward the improvement plan, proposed in this study about the change and transformation between different building type, is based on open architecture theory. I hope it will be helpful in the reuse of building resources in the future.;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및 이래에 인구의 증가 및 감소에 대한 추세에 적응하기를 위하며 이제 각 건축 자원은 부족한 단점을 고려하며 현 단계 기존 교육 중 초등학교 건축 자원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하려고 기존의 건물은 초등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것이다. 리모델링 하는 과정에서 개방형 건축 시스템을 적용한다. 개방형 건축 시스템은 원래 주거 건물의 산업 생산을 위해 제안된 건축 이론이다. 개방건축은 건축 설계사가 설계하는 support구조 및 거주자도 참여할 수 있는 infill구조를 구성한다. 공간의 기능 치수에 따라 여러 가지 설들이 구성된 zone존 및 margin마진은 다같이 support구조를 만든다. 이론적으로 말하자면 각 유형 건물은 support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거의 개방형 건축 시스템의 기초 위에 학교 건축 유형의 support구조를 결합해서 양자의 support구조를 대비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한다. 리모델링과정 중에 건축 리모델링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다. 칭다오시의 모 주택 단지를 예로 들면 support구조에 교체하는 방법을 통해 대상 건물에 리모델링 계획을 제안한다. 또한 대상 지역의 인구 및 연령과 함께 초등학교 리모델링 프로그램이 제안된다. 주변 환경의 부족을 개선하며 해당 지역의 우세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각 건축 유형 간의 변화 및 전환은 개방형 건축 시스템 이론에 기반한다. 미래의 건축 자원 재사용에 도움이 되는 되었으면 좋겠다는 희망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순서 2 Ⅱ. 저학년 초등학교의 운영 모형 3 A. 구역별 초기교육 사회적 문제 및 해결 제안 3 B. 저학년 초등학교의 정의 및 필요성 7 Ⅲ. 개방형 건축시스템에 의한 설계기법 9 A. 개방형 건축시스템의 개념 9 B. 개방형 건축시스템의 활용 13 C. 존과 마진의 활용 15 D. 중국 기존의 초등학교의 사례 분석 19 E. 개방형 건축시스템에 의한 초등학교의 유형 24 F. 초등학교 평면은 아파트 주동 평면과의 비교 및 리모델링 추론과정 30 Ⅳ. 통합형 초등학교 리모델링 설계에 대한 계획 35 A. 리모델링의 정의 35 B. 대상단지 및 대상건물에 대한 분석 39 1. 대상 건물 선정 39 2. 대상 주택 단지 주변 환경 분석 40 3. 대상 주택 단지 분석 43 C. 저학년 초등학교 프로그램 제안 48 1. 건축 연면적 및 수용 인원 프로그램 48 2. 각 기증 공간 치수 프로그램 51 Ⅴ. 통합형 초등학교 리모델링 설계에 대한 제안 54 A. 개방형 건축 시스템에 의한 설계 과정 54 B. γ-α zone 외복도 공간의 활용 57 1. 중국 학교의 복도 공간 배분형식 변화 상황 57 2. 복도 공간 설정 요구 60 3. 대상 건물 복도 공간의 설정 61 VI. 건축 설계 64 A. 도면 및 3D 모델링 64 B. 설계 설명 79 VII. 결론 82 A. 연구의 종합 82 B.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83 참고문헌 84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872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개방형 건축시스템을 적용한 통합형 초등학교의 설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국의 저학년 교실과 아파트의 통합설계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