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설경옥-
dc.contributor.author박지은-
dc.creator박지은-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20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2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7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797-
dc.description.abstract대학생 시기는 중요한 삶의 전환기로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는 정체성 발달, 친밀한 관계 형성과 같은 새로운 발달과업을 수행하고 전공, 직업과 같은 중요한 선택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생의 가치발달은 경제적 성공, 신체적 매력, 학업적 성취와 같은 외적 가치를 중시하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돈, 외모, 성취와 같은 외적 가치를 강조하는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대학생을 포함한 국민행복지수는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고, 자살률은 최상위 수준에 속한다. 특히 외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문화적 특성은 여성이 외모에 기반한 자기가치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고, 사회문화적으로 여성의 성취 가치를 강조하지만 동시에 전통적 성역할과 일치하는 내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내적 갈등을 경험하여 여성의 심리적 적응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에 대한 인간중심 접근을 통해 대학 신입생 여성이 추구하는 가치 프로파일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고, 대학 신입생 여성의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가치유형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한국 대학 신입생 여성이 개인 내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았고, 가치 잠재 프로파일의 유형과 변화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외상경험에 따른 가치 잠재 프로파일의 변화양상과 가치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심리적 적응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 여성의 가치 하위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이 종단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초월적 차원에 더 가까운 외적 가치인 인기, 동조 가치는 감소하였고, 자기향상적 차원에 더 가까운 외적 가치인 돈, 쾌락주의 가치의 상대적 중요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자기초월적 차원에 더 가까운 내적 가치인 영성, 공동체, 소속감 가치의 상대적 중요성은 감소하였고, 자기향상적 차원에 더 가까운 내적 가치인 자기수용, 건강, 안전 가치의 상대적 중요성은 증가하였다. 외적 가치를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뿐 아니라 취업을 위한 학업적 경쟁이 높은 대학 내 환경 속에서 외적, 자기향상적 차원에 가까운 가치가 증가할 수 있다, 둘째, 대학 신입생 여성의 가치 하위요인에 따라 몇 개의 잠재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치 불분명형, 내재 및 자기지향형, 내재 및 자기초월형, 복합 및 자기지향형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외적 가치만 높은 집단이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는 개인 내적으로 가치의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상대적 점수를 사용하여 가치에 대한 인간중심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대학 신입생 여성의 가치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대한 종단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 가치 잠재 프로파일 유형은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가치 불분명 집단과 내재 및 자기초월적 가치 집단에서 주로 변화가 나타났다. 가치 불분명 집단은 복합 및 자기지향적 가치 집단으로, 내재 및 자기초월적 가치 집단은 가치 불분명 집단이나 내재 및 자기지향적 가치 집단으로 이동하였다. 이는 대학생 시기에 영성의 상대적 중요성이 감소하거나 사회문화적으로 중시되는 돈의 상대적 중요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대학 신입생 여성의 외상경험에 따른 가치 잠재 프로파일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가치 불분명 집단, 내재 및 자기지향적 가치 집단에서 복합 및 자기지향적 가치 집단으로 이동하는 확률이 나타났고, 복합 및 자기지향적 가치 집단에서 내재 및 자기지향적 가치 집단으로 이동하는 확률이 나타났다. 외상사건 이후에 신체적, 심리적 위협으로 인한 불안정감에 대한 보상으로 외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고, 친밀한 관계에 대한 중요성과 자신의 가능성에 초점을 두는 내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 다섯째, 대학 신입생 여성의 가치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삶의 만족, 자존감은 전반적으로 내재 및 자기초월적 가치 집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불안은 전반적으로 가치 불분명 집단과 복합 및 자기지향적 가치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 및 자기초월적 가치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내적, 자기초월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대학 신입생 여성의 가치 잠재 프로파일 유형과 변화양상, 외상경험에 따른 가치 잠재 프로파일의 변화양상이 의미하는 바를 논의하였고, 특히 내재 및 자기초월적 가치가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변인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상담에 대한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College is an important transition in life where individuals pursue new developmental tasks such as developing one’s identity or engaging in intimate relationships, which takes a critical role in important life choices such as one’s major or career. Value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are bound to be influenced by Korea’s sociocultural environment where extrinsic values such as financial success, physical attractive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important. Unfortunately, Korea’s Gross National Happiness (GNH), including those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ociety where extrinsic values such as money, appearance, and achievement are valued, is ranked at the lowest of the OECD nations along with the nation’s high rank in suicide rate. Its sociocultural trait which pursues extrinsic values affects how women construct their self-worth based on appearance, and how the society emphasizes achievement values in women while simultaneously pursuing intrinsic values consistent with traditional gender roles can cause more negative influence in women’s psychological adjustment as they go through internal conflict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value profiles pursued by female college freshmen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and to disclose what types of values are critical i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female college freshmen. To begin with, on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values relatively important within female college freshmen, and sought to examine the types and changes in the latent profile of values. Also, one examined the changes in latent profile of values according to traumatic experiences an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lue subfactors in female college freshmen, and the result showed that popularity and conformity, which are extrinsic values closer to the self-transcendence dimension, decreased while the relative importance of financial success and hedonism, which are extrinsic values closer to the self-enhancement dimension, increased. In addi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spirituality, community, and affiliation, which are intrinsic values closer to the self-transcendence dimension, decreased while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lf-acceptance, physical health, and safety, which are intrinsic values closer to the self-enhancement dimension, increased. This shows that not only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extrinsic values, but also the college environment in which academic competition is harsh in terms of job competition can increase values closer to the extrinsic dimension and the self-enhancement dimension. Second, in attempt to examine how many latent profiles may exist according to value subfactors of female college freshmen, the latent profile analysis presented the ambiguous type, the intrinsic and self-oriented type, the intrinsic and self-transcendence type, and the coexisting and self-oriented type. This is not consistent with the precedent research as it did not show a group with high pursuits in extrinsic values, which may be due to the research method where one employed a person-centered approach on values with relative scores to show the relative importance in values within individuals. Third, the results of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latent profile types of values in female college freshmen, showed that most latent profiles of values where relatively stable, and most of the changes occurred in the ambiguous type and the intrinsic and self-transcendence type. The ambiguous type moved to the coexisting and self-oriented type, and the intrinsic and self-transcendence type moved to the ambiguous value type or the intrinsic and self-oriented type. This seem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college life where individual’s relative importance in spirituality decreases, or when the socioculturally valued importance of financial success increases. Fourth, latent transit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in latent profile of values according to traumatic experiences of female college freshmen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the tendency to move from the ambiguous type and the intrinsic and self-oriented type to the coexisting and self-oriented type, and the tendency to move from the coexisting and self-oriented type to the intrinsic and self-oriented type. After a traumatic experience, an individual can pursue extrinsic values to compensate the insecurity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threat, or pursue intrinsic values whi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intimate relationships and one’s own possibilities. Fifth, as one reviewe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according to latent profile types of values in female college freshmen, one noticed that satisfaction in life and self-esteem was the highest in the intrinsic and self-transcendence type in comparison to the other three groups. Also, depression and anxiety was overall the highest in the ambiguous type and the coexisting and self-oriented type, while the lowest in the intrinsic and self-transcendence type, showing the positive effects of pursuing intrinsic, self-transcendence values in term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hrough this research, one intends to discuss the latent profile types of values and its changes with Korean female college freshmen, and what the changes of latent profiles of values according to traumatic experiences implies, especially suggesting how intrinsic and self-transcendence values are important factor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Its implications on counseling psycholog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tated below based on the research’s results and discuss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10 II. 이론적 배경 11 A. 가치유형 11 1. 내적 가치 16 2. 외적 가치 17 3. 자기초월적 가치 17 4. 자기향상적 가치 18 B. 가치유형에 대한 인간중심 접근 20 C. 가치유형과 심리적 적응 21 D. 가치유형의 안정성과 변화 24 III. 연구방법 30 A. 연구대상 30 B. 연구절차 33 C. 측정도구 33 1. 가치 33 2. 외상경험 35 3. 심리적 적응 35 D. 자료 분석 방법 37 IV. 연구결과 40 A. 기초 분석 40 B. 잠재 성장모형 분석 46 C. 잠재 프로파일 분석 52 D. 잠재전이분석 68 1. 종단적 잠재전이분석 68 2. 외상경험에 따른 잠재전이분석 71 E. 심리적 적응 차이 73 1.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심리적 적응 차이 73 V. 논의 76 참고문헌 91 부록(설문지) 106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16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 신입생 여성의 가치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변화양상 탐색-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xamining Changes in Latent Profiles of Values in Female College Freshmen-
dc.format.pagevii, 119 p.-
dc.contributor.examiner유성경-
dc.contributor.examiner설경옥-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contributor.examiner양수진-
dc.contributor.examiner석혜원-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