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3 Download: 0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 개발

Title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Intervening i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uthors
심혜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Korea's smartphone penetration rate is the highest in the world. It is found that most adolescents have their smartphone. The side effects of their smartphone addiction have gradually emerged as a social issue. Still, a relevant program focuses on the prevention of smarthone addiction or a program for intervening in internet addiction is applied. There is no professional intervention in smarthone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utilized the intervention research of Rothman and Thomas(1994) to develop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motivational interview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has five steps: problem analysis & planning step, information collection & integration step, design step, field test step, and evaluation and final program development step. In the first step of problem analysis and project planning, adolescents' smartphone use conditions and needs of an intervention program were surveyed. In the survey of their smartphone use conditions,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possibility and the difficulty of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found, and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was raised. In additi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was found to lead to the difficulty of do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survey of needs for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a program preferred by adolescents were found. The survey results were discussed with school. To perform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school was established. In the second step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gration, the data and information of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were collected and systematically integrated for intervention. There is no meta-analysis research on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so that previous studies of the meta-analysis on internet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s were conducted. As a result,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structure was found. After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 variety of structures in exist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taken into account and were applied to develop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In the third step of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ep 1 and step 2, the primary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motivational interviewing whose effectiveness is accepted in the addiction area and which fits adolescents with lack of motivation for change was applied. Therefore, the program had been performed for 45-50 minutes 1-2 times a week. It consisted of eight sessions. To elaborate the developed program and secure its validit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eld experts' advices of program operation, structure, and contents, the program was changed and modified to increase its field applicability and efficiency. In the 4th step of field test, in order to perform the developed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a filed test was prepare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ed to smartphone in school. As study subjects, a total of 54 students (experimental group: 27, control group: 27)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 treatment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 case of the control group, ethical issue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so that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group after follow-up test. In the fifth step of evaluation and final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after its performance, the program process and result were evaluated. As the process evaluation,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counseling, experience report of participants, and program processor were evaluated. As the result evaluation, the objective evaluation to examine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design and subjective evaluation including the evaluation of participants and parent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the program was changed and modified. As a result, the final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utilized scientific reserach method and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to develop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was not found so far, in systematic steps ranging from problem analysis to evalu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study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To reduce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t is urgent to develop an effective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effective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depending on a school type in application of participants' developmental stage characteristics and needs. Secondly, it is required to differently approach smarthpone addiction depending on its level. In case of the potential risk group of users, it is effective to apply group counseling which helps them recognize their problems and find solutions in interaction with peers. In case of the high risk group, it is required to approach comorbid disorders or problematic behavior and thereby make professional treatment intervention along with group counselling. Thirdly, in order to provide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to school in a stable and regular wa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for the program in the dimension of school.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programs whose effectiveness is already proved should become manual so that they should easily be accessed and distributed in school or field workers. Fourthly, After students' participation in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it is required to make follow-up management and case management continuously. To give professional support to students after the progra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local relevant organizations, and to achieve systematic support and systemization in the dimension of government. Fifthly, To operate a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operative partnership with parents. Given that parents' attitude of raising children or their communication influences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in parents is essential.;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청소년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부작용이 점차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초점을 맞춰 프로그램이 시행되거나 인터넷 중독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Rothman과 Thomas(1994)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을 활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동기면담을 적용한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입연구 방법은 총 5단계로, 문제 분석 및 기획 단계, 정보 수집 및 통합 단계, 디자인 단계, 현장실험 단계, 평가 및 최종 프로그램 개발 단계로 구성된다. 제1단계 문제 분석 및 프로젝트 기획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 및 개입 프로그램의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실태조사를 통해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과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을 확인하고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중독으로 인한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과 관련된 요구도 조사에서는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구조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를 학교 측과 논의하고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 학교와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였다. 제2단계 정보 수집 및 통합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개입을 위해 체계적으로 통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가 부재하여, 인터넷 중독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정보를 통합하여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존의 개입 프로그램들의 다양한 구조를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3단계 디자인에서는 1단계와 2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1차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은 중독 분야에서 효과성이 인정되고 변화동기가 부족한 청소년에게 적합한 동기면담을 적용하여 주1~2회, 45분~50분간 진행되는 8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정교화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전문가 개별 심층인터뷰를 운영하였다. 현장전문가들에게 프로그램 운영, 구성, 내용 등에 대해 자문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현장 적용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4단계 현장실험에서는 개발된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현장실험을 준비하고 학교 현장에서 스마트폰 중독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입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실험집단 27명과 통제집단 27명, 총 54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실험집단에만 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통제집단의 경우, 윤리적 문제를 고려해서 추후검사가 끝난 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제5단계 평가 및 최종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과정 및 결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과정평가는 집단상담 치료적 요인과 참여자 경험보고 그리고 진행자 평가를 하였으며, 결과평가는 비동일통제집단설계(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design)를 검증한 객관적 평가와 참여자와 부모의 평가를 포함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이 부재한 상황에서 과학적인 연구방법인 개입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 확인에서부터 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단계별 체계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참여자의 발달단계적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교급별로 더욱 실효성 높은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별 접근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잠재적 위험사용자군은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함께 찾아가는 집단상담이 효과적이나 고위험자군의 경우는 공존질환이나 문제행동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어 집단상담과 더불어 전문적인 치료 개입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청소년 대상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이 안정적이고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학교 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효과성이 검증된 개입 프로그램들이 매뉴얼화되어 학교나 현장 실무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급되어야 한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 참여 후 지속적인 사후관리 및 사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프로그램 이후에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과 제도화가 뒤따라야 하겠다. 다섯째, 스마트폰 중독 개입 프로그램 운영 시 부모와 협력적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 부모의 양육태도나 의사소통 등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때 부모에 대한 개입도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