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1 Download: 0

문법적 모호성 탐구 교육 내용 연구

Title
문법적 모호성 탐구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loring Grammatical Vaguenes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uthors
최은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문법 탐구학습을 통한 ‘사고력 계발’이라는 교육적 효용성이 문법교육 무용론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한 이래, 문법교육에서 ‘탐구’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 지금 당장 투입할 수 있는 즉각적 효용성에 방점을 두고 구체화를 모색함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그리고 ‘왜’ 탐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숙고와 협의의 과정은 충분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고력 계발의 기본 원리로서 ‘탐구’의 본질을 재탐색하고, 탐구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해 ‘문법적 모호성’에 주목하였다. ‘모호성’은 인지적 갈등을 야기하는 ‘불확정성’과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하는 ‘유동성’을 동시에 지닌다는 점에서, 언어와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를 탐구하는 사고의 촉발자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법 탐구의 장에서 ‘모호성’은 탐구 대상의 본질적 속성에 주목하여 탐구 주체가 문법적으로 사고하는, 문법 탐구 교육의 실현에 매우 적절한 개념적 도구가 될 수 있다. 모호성은 순환성과 개방성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의 장으로 탐구 주체를 유인하며, 끝없는 탐구를 촉발하는 언어-인간-문법적 사고하기의 원리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문법 탐구를 통해 기대하는 앎은, 내용 지식으로서 ‘문법’과 방법적 지식으로서 ‘탐구’의 물리적 결합이 아니다. 내용과 방법이 유리(遊離)된 채 박제된 지식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숨쉬는 지식이어야 한다. 다양한 국어 사용의 맥락 안에서 끊임없이 변모하는 언어의 모습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언어에 대한 이해의 성장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지식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문법 지식은 ‘고정불변의 진리로서의 문법’이나 ‘절차화된 방법적 지식으로서의 탐구’가 될 수 없다. 지속가능한 문법 지식의 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은 ‘문법 탐구’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현 지식의 불충분함을 인식하고 이를 이해하고자 하는 ‘자발적 탐구 의지를 추동하는 문법적 앎’이어야 한다. 이 같은 견지에서 본고는 모호성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교육적 가치를 문법교육의 장에서 발현시킬 때, 문법 탐구 본연의 목적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불명료한 표현’으로서의 ‘모호성’을 바라보았던 기존의 관점과는 달리, 자발적 탐구 의지를 촉발하고 탐구를 지속하게 하는 ‘탐구의 내적 동인(動因)’으로서의 모호성에 주목하도록 관점의 전환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때의 모호성은 ‘인지 갈등을 통해 주체적 탐구를 추동하는 문법 탐구의 논리적 준거’가 된다는 점에서 ‘문법적 모호성’이라는 개념으로 특화된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Ⅱ장에서는 이론적 층위에서 문법적 모호성 탐구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김광해(1992, 1995, 1997)의 탐구학습 논의를 시작으로, 문법 탐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 시점에서 요구되는 문법 탐구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문법적 모호성 탐구의 문법교육적 위상을 확인하였다. 검토 결과를 종합하여 문법적 모호성 탐구의 개념적 준거를 ‘문법적 모호성’, ‘인지 갈등’, ‘언어적 사고 활동’으로 상정하고 문법적 모호성 탐구의 개념을 분명히 규정함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하였다. Ⅲ장에서는 실증적 층위에서 학습자들의 문법적 모호성 탐구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법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인지 갈등의 지점과 그 해소 과정을 관찰하였다. 주지하듯 ‘문법 학습자’는 일상생활과 학교 교육을 경험하면서 문법에 대한 나름의 앎을 구성하고 있는 주체이다. 이에 선이해와 경험에 기대어 문법 지식을 변화·확장시킬 가능성을 지닌다. 문법 지식의 본질과 문법 탐구의 전개 방식을 인식하는 과정 중에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문법적 모호성을 인식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참조하게 되는 문법 지식들은 문법적 모호성을 매개로 지식을 구성해 가는 과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이들이 탐구 과정에서 보여주는 미숙련된 개념 구성과 탐구의 방식은 문법적 모호성 탐구 교육에 주목해야 하는 실제적 근거가 될 수 있다. 탐구 주체의 자발적 탐구 의지를 촉발시켜 문법에 대한 주체적 앎을 내면화한다는 것은 핵심적인 문법 지식을 구성하고 다양한 문법적 현상을 인식하여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내용화 선정의 실증적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학습자들의 문법적 모호성 탐구 양상을 관찰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교육 내용 요소의 선정과 구체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실천적 층위에서 문법적 모호성 탐구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앞서 분석한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 요소와 탐구 전개 구조를 이론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법적 모호성 탐구 과제 설계의 세 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한 과제 구현의 예를 보였다. 본 연구는 사고 중심 문법 교육 내용화의 일환이자, 문법 탐구 교육 내용 선정의 다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특히 ‘문법’과 ‘문법적 사고’를 주축으로, 문법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한 실천적 작업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Si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developing thinking skills’ through grammar inquiry learning emerged as an alternative response to the uselessness of grammar education, the status of ‘inquiry’ has continuously been elevated in grammar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deliberation and discussion as to ‘what’ should be explored along with ‘how’ and ‘why’, as focus is placed on the instant effectiveness that can be deployed to the education field at the mome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has taken a close look at the ‘grammatical vagueness’ in a bid to re-examine the essence of ‘inquiry’ as the basic principle of developing thinking skills and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 to achieve the inherent purpose of inquiry. Since vagueness incorporates the meaning of both ‘uncertainty’ that causes cognitive conflict and ‘liquidity’ that implies various potentials, it can serve as a trigger of thinking that explores the essential issues regarding language and humans. Therefore, vagueness in the field of grammar inquiry may be a conceptual tool that is very appropriate in implementing the grammar inquiry education intended to have the subject of inquiry think grammaticall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essential property of inquiry object. Vagueness becomes the principle of ‘language-human-grammatical thinking’ that encourages unending inquiry while enticing the subject of inquiry into a new possibility of circulation and openness. In addition, being knowledgeable that can be expected through grammar inquiry is not a physical combination of ‘grammar’ as content knowledge and ‘inquiry’ as methodical knowledge. It is supposed to dynamically breathing knowledge instead of stuffed knowledge with the content and the method separated. The knowledge should enable one to recognize the constantly changing language within the context of diverse use of the Korean languages, through which a growth of understanding of language should be sustained. The grammar knowledge required for this can neither be ‘grammar as steadfast truth’ nor ‘inquiry as proceduralized methodological knowledge’. The knowledge required for the growth of sustainable grammar knowledge is supposed to be ‘grammatical cognizance that stimulates voluntary will of inquiry seeking’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insufficiency of current knowledge based on the experience as to ‘grammar inquiry’. With these in mind, this paper has started with the assumption that one may possibly achieve the inherent purpose of grammar inquiry when unlocking the educational value connoted in the concept of vagueness in the grammar education field. Unlike the existing viewpoints toward ‘vagueness’ as an ‘unclear expression’, it calls for a shift of viewpoint to pay attention to vagueness as an ‘internal trigger of inquiry’ which stimulates voluntary will of inquiry and sustains it. And the vagueness here is specialized in the concept of ‘grammatical vagueness’ in that it becomes a logical standard of grammar inquiry that stimulates an independent inquiry through a ‘cognitive conflict’. For specific discussions, Chapter II establishes the concept of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on a theoretical basis. For this, the study haa analyzed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grammar inquiry, starting with the discussion of inquiry learning by Kim Gwang-hae (1992, 1995, 1997). Based on this, the concept of grammar inquiry required at this point has been reestablished to identify the status of grammar education in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Based on these review results, the study has solidified the theoretical basis by postulating the concept standard as grammatical ‘vagueness’, ‘cognitive conflict’, and ‘linguistic thinking activity’ and clarifying the concept of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Chapter III has sought to examine the aspects of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among learners on an empirical basis. For this, the study has observed the point of cognitive conflict occurs learner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grammar and the process of resolving it. Admittedly, ‘grammar learners’ are a subject who has a certain extent of knowledge of grammar as they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nd are exposed to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y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and expand the knowledge of grammar by leaning on the preliminary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The grammatical knowledge that they refer to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exploring grammatical vagueness provides a clue for the process of building knowledge with grammatical vagueness as a medium in that they are in the middle of recognizing the nature of grammar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grammar inquiry.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of immature concept and the method of inquiry they show in the process of inquiry can serve as a substantial basis to pay attention to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education. To internalize the independent knowledge of grammar by triggering spontaneous will of inquiry among inquiry subjects means to build core knowledge of grammar and to recognize and understand various grammatical phenomena.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aspects and patterns of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among learners in order to collect empirical data as to selecting the content,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election of education elements and materialization. Chapter Ⅳ has covered designing the content of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education on a practical basis. For this, education elements and inquiry development structure have been theorized based on the empirical data that were analyzed earlier. Based on this, the three principles of grammatical vagueness inquiry task design have been presented along with the example of task implementation with focus on passive express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versify the selection of content of grammar inquiry education as part of an effort to systematize the content of thinking-oriented grammar education. In particular, it finds its meanings as a practical action to materialize the fundamental goals grammar education with ‘grammar’ and ‘grammatical thinking’ used as the key ax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