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1 Download: 0

초등학생 대상 구강보건교육의 근거 및 적용가능성 평가 분석

Title
초등학생 대상 구강보건교육의 근거 및 적용가능성 평가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Applicability on Evidence-Based Oral Healt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outh Korea
Authors
황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정훈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 내용의 효과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추정하여 초등학생 구강보건교육 현황을 파악하며 국내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요결과를 도출하고 충치예방에 효과적인 교육내용의 국내 현황과 제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시작연도에는 제한 없이 2017년 12월까지 출간된 국내·외 문헌 검색기간으로 하였다. 국내 데이터 베이스는 각 용어의 [제목], [초록], [주제어]로 구분하여 검색하였으며, 국내 데이터 베이스(Korea Med)와 국외 데이터 베이스의 경우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맞는 검색필드와 불리연산자, 절단검색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문헌은 총 673건이었으며, 서지정보 프로그램(EndNote X8)을 이용하여 중복제거를 한 후, 제목/저자/연도 정렬 후 수작업으로 중복제거를 진행하였다. 중복제거를 통해 남은 문헌은 520건이었다. 선택된 문헌은 논문 제목과 초록을 확인하여 1차 선택/배제를 진행하여 94건이 선택되었으며, 2차 선택/배제는 원문 확인 후 제외 기준을 만족할 경우 배제하여 총 25건이 선정되었다. 추가적으로 선정된 25건 문헌의 참고문헌과 국내·외 치의학·치위생학·보건학 학술지를 수작업을 통해 3편을 추가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28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의 특성을 파악하고 문헌의 질 평가를 통해 질 높은 문헌의 내용을 근거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추가적으로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학년별 학습계획안 내용을 참고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초등학생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국내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 도구를 이용하여 전국 보건치과위생사 81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구강보건교육 연구는 모두 non-RCT(비무작위연구)로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 무작위대조 실험연구)와 SR(Systematic Review: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한편도 포함되지 않은 반면, 국외 구강보건교육 연구는 RCT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국내 구강보건교육 내용은 복합중재연구가 많아, 단일중재교육이 많은 국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국내 연구의 평가방법은 치면세균막 지수가 가장 많은 반면, 국외 연구는 우식경험영구치(유치)면 지수(DMFS, dmfs), 우식경험영구치(유치) 지수(DMFT, dmft)로 평가하는 연구가 많았다. 둘째, 문헌의 질 평가 결과, 국내문헌의 비뚤림 위험은 대상군 선정과 교란변수 영역에서 비뚤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대부분 영역에서는 비뚤림 위험이 낮았다. 국외문헌의 경우 배정순서은폐와 그 외 비뚤림 영역에서 비뚤림 위험이 높았다. 셋째, 비뚤림 위험에 대한 주요 도메인(Key Domains)은 국내문헌의 비뚤림 평가 도구인 RoBANS의 경우 대상군 선정, 선택적 결과 보고, 그 외 비뚤림 영역을 선정하였으며, 마찬가지로 국외문헌의 비뚤림 평가 도구인 RoB의 경우 무작위 배정순서 생성, 선택적 보고, 그 외 비뚤림 영역을 선정하였다. 주요 도메인 영역에서 비뚤림 위험이 낮은 문헌들로는 국외문헌 10편과 국외문헌 4편이 선정되었다. 넷째, 국내 적용가능성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70%이상 이미 교육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구강보건교육 내용은 회전법 교육, 불소치약 사용 교육, 칫솔질 실기교육(칫솔질 시범 후 대상자가 직접 칫솔질 시행), 칫솔모 선택 교육(중간정도의 부드러운 모를 사용), 칫솔보관 교육(칫솔 보관함에 관리하기)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교육방법 및 매체에 관한 내용으로 바스법(Bass method)과 치실 사용 교육, 어머니 참여형 교육, 폴리페놀 껌 씹기 교육, 간식 섭취 후 무설탕 껌 씹기 교육에 대해 70% 이상이 교육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교육방법 및 매체에 관한 내용으로 영상매체교육 또는 컴퓨터 기반 학습 교육은 70%이상 이미 교육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내용을 근거로 추후 구강보건교육내용으로 포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근거중심 연구를 지속하는 등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겠다. 또한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국내 적용에 대한 전문가 교육과 지원 등 다각도적인 노력이 함께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외 문헌의 체계적 문헌 고찰과 구강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국내 적용가능성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는 구강보건교육 내용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기반 자료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tents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oral health educa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n oral healt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n related literatures both from South Korea and abroad to investigate on the current trends in effective contents of oral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its limitation. This is significant in providing evidence allowing to actively apply in ora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The study performed a literature search on papers from both South Korea and abroad published from the earliest record until December 2017. The search was in words on each terms by [title], [abstract] and [keyword] for Korean databases. In cases of the KoreaMed and other foreign databases; boolean operators, search field and truncation were used. A total of 673 articles were retrieved initially then the duplicate articles were removed us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program (EndNote X8) and were also manually removed after sorting the articles by title/author/year. The remaining articles after de-duplication were total of 520. 94 articles were identified after scree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that met the first inclusion/exclusion criteria. The total of 25 articles were selected satisfying the criteria that the full text was read for second inclusion/exclusion. Apart from 25 selected articles, 3 more literatures were retrieved for final selection additionally from major journals of dentistry, dental hygiene and public health sciences in both South Korea and abroad by handsearching resulting in final 28 literatures for the review. The review examined on characteristics (contents) of selected articles respectively and composed the survey questionnaires based on the evidence-based data provided by quality-proven literatures after the thorough quality evaluation. The questionnaires are additionally referred to the contents of syllabus by each grade of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81 national public dental hygienists from April to May 2018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ora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of South Kore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oo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ly, the oral health education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all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non-RCT) studies that no systematic review or RCT were included whereas the most of studies from abroad were RCT based studies. The contents of oral health education of Korea are mostly based on multimodal intervention studi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ies from overseas which comprehense single intervention studies. Besides, the studies of South Korea mainly depend on dental plaque index score as the assessment method for oral health whereas the overseas studies tend to use [DMFS, dmfs] or [DMFT, dmft] score for assessment. Secondly, as a result of quality evaluation of study articles, the studies of Korea showed relatively higher bias risk in selection of participants and in confounding variables but otherwise the risk was low in most of other domains. In case of overseas studies, the bias risk was high at allocation concealment and at other bias. Thirdly, in case of RoBANS which is a domestic bias assessment tool for studies from Korea, the domain were selected as follow; Selection of participants , Selective outcome reporting and other bias. Likewise, Randomized sequence generation, Selective outcome reporting and other bias were main domains for RoB which is a bias assessment tool for overseas studies. There were 4 local korean studies and 10 overseas studies selected as low bias risk literatures from set domains. Fourthly, the result showed the followings which are the contents from the Oral health education that more than 70% of participants responded as currently performing; rotating brushing method education, fluoride tooth-paste education, practical brushing education (Inducing self-practice brushing after demonstration), selecting brush education (Leading to choose middle-soft brush), toothbrush storage education (storing brush in particular container). Fifthly, more than 70%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are not performing in following contents of Oral health education in which related to education method and medium such as; Bass method and floss education, mother participation education, polyphenol gum education and chewing sugar-free (polyol) gum after snack education. Sixthly, more than 70%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re already performing media education or computer-based learning education as the content of education method and medium. Based onthe results of the study,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include evidence-based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in the future and continue the evidence-based study in oral healt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Furthermore, the study claims that there should be a multi-angled effort such as expert training and support for applying an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for school children in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in South Korea with systematic review on studies from both Korea and abroad would provide evidence-based data to help i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and program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