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차범석 희곡의 병리적 증후와 관객 지향성 연구

Title
차범석 희곡의 병리적 증후와 관객 지향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thological syndromes and audience oriented attitude of Cha Bum-seok’s play
Authors
신영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우숙
Abstract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athological syndromes of characters represented in Cha Bum-seok's play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and identify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anxiety and audience orientation. Cha Bum-seok's play are characterized by a pathology of desire and anxiety that has not been met and pathological syndromes that penetrate the works of the total period. The anxiety of the characters was represented in connection with the issues of the capital, the sex and the state, which were the main discourse at the time. This study categorizes characters’ mental disorders to secure objectivity of the differences by Period instead of discussing their pathological syndromes only in madness or neurosis. In addition, the study derives implications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for the characters based on the defense mechanism, the response mechanism that pathological subjects choose to compensate for their suppressed desires. It is believed that this research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oppressed subjects in each era. A psychoanalytic approach using psychopathology and abnormal psychology will be a useful methodology for analyzing opposing between desire and oppression. The preceding study on Cha Bum-seok' play had been aimed at a genre theory approach with a focus on realism or redundancy drama. In addi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each period, failing to obtain a diachronic point of view. Studies related to female characters point to limitations that existed as other, although women tried to resist. However, this study accepts the Lacan's theory and considers female characters as a subject of desire. And in the process of showing the emotions of the impulse and anxiety of the characters on the stage, this study confirms the point where the melodramatic elements and popularity meet the pathological characters. The research about the location was conducted in a narrow perspective based on local connections. However, in the play of Cha Bum-seok, the meaning of the place was extended to multi-layered and fluid, shifting away from a fixed location and interacting with the narrative of the pathological characters. Also, the change in the writer's perception of the position and ability of the audience has been reflec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dramatic style.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ed body, pathologic syndrome, and defense mechanism of male in Section A, female in Section B. The Section C focus on the writer's perception based on the dramatic style, location, and popularity that are characteristic of each period. First, Chapter II analyzes the pathology of the weak in the structure of capital in the work of the . Section A examines the pathological syndromes of the acquisition of immoral capital after checking the relationship of power through the body of a man with practical but social significance. The perception of trying to control an opponent by deception and the attitudes of men using aggressive force appear to be the development of the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which fails as super-ego. Eventually, the male who show the desire of the Imaginary are punished and their desire is delayed. Section B aims to the ideology of consumerism and pays attention to the female body as a reflection body. They have a double meaning in that they constantly produce superficial desires but are effectively used. In other words, while focusing on settling the ruling ideology in the discourse of capitalism, it is suppressed by the contradiction of power relations. The delay of desire leads to the Depressive Disorder and regenerates the loss of an ideal-I. In Section C examines the meaning of the place where the logic of power acts as an attribute of the internalized hierarchy and gives oppression to the characters. Also, this research studies the narrative in which the pathological syndromes of characters in the immature ego are reversed by coincidence, discrepancy of fate, and misunderstanding. In Chapter Ⅲ, the desire of the characters who face the Real by impulse is examined as sexuality theory. Section A analyzes the impulsive body of a man who became the subject of anxiety due to his weakened masculinity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that hide cognitive doubts, hostility and anxiety beyond impulsive actions. Section B considers the aspect of a woman who expresses sexual desire as well as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ㆍ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ㆍ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at was divided into a high stimulus seeking woman who divides in The Real. Although the play showed attempts to break up the patriarchal system and interfere with the ruling ideology, it focused on examining the female characters that divided in the Real. In Section C, it is confirmed that i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the characters who showed sexual desire, excess and the erotic contributed to bringing in audience during the period of .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s the introduction of eclectic styles on to express the complex psychology of characters in the play, and looks at the point where the place also encounters pathological syndromes,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y. A narrative in which pathological characters dream of escaping from a place is be seen as a metaphor for the lack of attachment to a place and self-confidence. Chapter IV captures and discusses that the pathological syndromes of the characters is revealed by oppression by the statism and the ethics of the sublime. The consciousness injected to the characters corresponds to the logic of Park Chung-Hee’s administration collectivism, which gives priority to group value over individuals. This is equally true of female characters represented in Section B as communication body, as well as called men who can read the mechanisms of dominant order in Section A. The male characters who experience anxiety due to the severity of the hypertrophied super-ego exhibit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And this study analyzes the syndromes of oppression through a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f female characters suffering psychological pain due to the invasive of negative accidents. Section C confirms that the purpose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by borrowing the epic style is revealed as a narration of calling accompanied by the sentimental. Places show the process of taking root by participating in community life, and look at the expanding aspect of local communities. Although the relationship-oriented attitude forming the shared value in the space of trans-boundaries is set as an ideal, it sees the presupposition of the oppression and sacrifice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Finally, the intention and theatrical meaning that Cha Bum-Seok intended to convey to the audience by reproducing the pathological syndrome on stage. Cha Bum-seok borrowed melodramatic elements to exteriorize the human desire and anxiety underlying society, and wanted to be able to sympathize and criticize the problems facing the same era. However, the most of the anxieties revealed by the characters are derived from moral anxiety, so that the writer's consciousness that emphasizes ethics can be derived. The early characters were negatively represented by choosing a immature defense mechanisms in which problems between himself and the outside world were central. On the other hand, this is confirmed by the author's view of positively describing the late characters who chose an internal boundary, a mature defense mechanism in which problem of the self and super-ego, is central. The pathological syndromes and the defense mechanism that are revealed in the works of Cha Bum-seok are revealed with the desires of the characters moving from the Imaginary to the Real and the subject of the Symbolic. However, the structure in which taboos are operated with the expression of desire, while dealing with the return of the oppressed, satisfies the desires of the audience, denounce violence, and shows the function of ideology. The play was performed, it represented a character who expressed desire so that attract an absolute audience. However, the writer's dramaturgy of plays, which places moral occult, is ultimately regarded as a strategic attitude that combines success and lessons. After all, for Cha Bum-seok, who has a sense of sociability and audience, the pathological syndromes of characters on the stage were suitable for being borrowed as a device that directly reveals contemporary anxiety. After diagnosing pathological syndromes, it analyzed the contact point with melodramatic elements, and considered audience perceptions and dramatic styles. This research c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helped broaden the simple approach to Cha Bum-seok's research and identified the uniqueness of Cha Bum-seok's play.;본고는 차범석 작품에 재현된 인물들의 병리적 증후를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고찰하여 당대의 불안을 드러낸 작가의식과 관객 지향성 등을 규명하고자 한다. 차범석 작품에는 충족되지 않는 욕망의 결핍과 불안에 의한 병리적 증후가 전 시기의 작품을 관통하는 특징이 드러난다. 이때 인물들의 불안은 당대 주요 담론이었던 자본, 성, 국가주의 등의 문제와 연계되어 노출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들의 병리적 증후를 광기나 신경증으로만 논의하는 것에서 나아가 시기별 차이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인물들의 정신장애를 범주화했다. 또한 병리적 주체들이 억압된 욕망을 보상하고자 선택한 대응법인 방어기제를 토대로 인물에게 내포된 함의와 작가의식을 도출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으로 각 시대별 무대 위에 재현된 억압된 주체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질 것이라 예상된다. 정신병리학과 이상심리학을 원용한 정신분석적 접근은 욕망과 억압 사이의 길항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이 될 것이다. 그 동안 차범석과 관련된 선행 연구는 리얼리즘을 기조로 한 장르론적 접근이나 중복되는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되어 왔다. 또한 시대별로 대별되어 진행된 연구기에 통시적인 시각을 확보하지 못했다. 여성인물과 관련된 연구는 저항을 시도했음에도 타자로서 존재하는 한계를 지적하는 것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본고는 라캉의 이론을 수용해 여성인물 역시 욕망하는 주체로 간주하고 논의를 출발한다. 그리고 무대 위 인물들의 충동과 불안의 정동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멜로극적 요소와 통속성이 병리적 인물과 조우하는 지점을 짚어낼 것이다. 장소 역시 고착화된 지역성에서 벗어나 병리적 인물의 서사와 맞물리며 다층적이고 유동적인 의미로 확대됐음을 확인하겠다. 이와 함께 관객의 위치와 능력에 대한 작가인식의 변화가 극양식의 변모에 반영됐음을 도출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장의 A절에서는 남성을, B절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재현된 몸과 병리적 증후, 방어기제를 분석하고, C절에서는 각 시기별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극양식과 장소성, 통속적 요소 등을 토대로 작가인식을 집중적으로 살피겠다. 우선 Ⅱ장에서는 <제작극회> 시기의 작품을 대상으로 자본의 구조에서 약자에 위치한 인간의 결핍 욕망이 병리적으로 재현된 양상을 분석한다. A절에서는 실제적이지만 사회적 의미가 담긴 남성의 몸을 통해 권력 관계를 확인한 후 부도덕한 자본의 획득 과정에서 드러난 병리적 증후를 살핀다. 부정이나 속임수로 상대를 통제하려는 인지와 공격적인 힘을 행사하는 남성들의 태도는 반사회성 성격장애로 나타나며 이는 초자아 발달이 실패했음을 의미한다. 결국 상상계의 욕망을 보인 남성인물들은 윤리적 심판을 받고 욕망이 지연된다. B절에서는 소비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며 반영적 몸으로 대상화된 여성의 몸에 주목한다. 이들은 자본 담론 안에서 지배 이데올로기에 안착하는 것에 주력했음에도 권력 관계에 의한 모순으로 억압받는데, 이때 욕망의 지연이 우울장애로 연결되며 이상적인 자아상을 상실한 모습으로 재현되었음을 확인한다. C절에서는 내재화된 위계성의 속성으로 권력의 논리가 작동해 인물에게 억압을 주는 장소의 의미망을 검토하겠다. 또한 미성숙한 자아에 머무는 인물들의 병리적 증후가 우연의 일치와 운명의 엇갈림, 오해 등으로 반전을 맺는 서사를 살피겠다. Ⅲ장에서는 충동으로 실재계와 대면하는 인물들의 욕구를 성 담론으로 고찰한다. A절에서는 약화된 남성성으로 불안의 주체가 된 남성의 충동적 몸을 분석하고, 충동적인 행동 너머에 인지적 의심과 적대감, 불안의식을 숨기는 편집성 성격장애의 특징을 확인한다. B절에서는 성욕을 표출한 여성의 몸과 함께 실재계에서 분열하는 여성이 높은 자극 추구로 대별되는 B형 성격장애(연극성ㆍ자기애성ㆍ경계성 성격장애)로 드러난 양상을 논의한다. 여기서는 가부장의 해체와 지배 이데올로기를 훼방하는 시도를 보여주었지만 실재계에서 분열하는 모습으로 재현된 여성인물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겠다. C절에서는 핵심 욕망이 성욕으로 점철된 인물들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과잉의 서사와 관능성이 극단 <산하> 시기 관객을 영입하는데 기여했음을 확인한다. 또한 인물들의 복잡한 심리를 드러내고자 절충적인 극양식이 도입됐음을 짚어보고, 장소 역시 이분화된 양상에서 탈피해 병리적 증후와 조우하는 지점을 살피겠다. 이때 병리적 인물들이 장소에서 도피를 꿈꾸는 서사는 장소에 대한 애착과 자기 확신이 부재함을 증명하는 은유로 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산하> 후반 작품을 대상으로 인물의 병리적 증후가 국가담론으로 출발한 공동체주의와 숭고의 윤리에 의한 압제로 드러났음을 포착하고 논의를 진행한다. 인물에게 주입된 의식은 당시 박정희 정권에서 요구한 집단주의로, 개인보다 집단의 가치를 우선시한 논리와 상응한다. 이는 A절에서 지배적 질서의 메커니즘을 읽을 수 있는 호명된 남성뿐만 아니라 B절에서 소통의 몸으로 재현된 여성인물에게 동일하게 드러난다. 비대해진 초자아의 엄격함으로 불안을 겪는 남성인물들의 강박성 성격장애와 부정적인 사고의 침습으로 심리 내적인 고통을 겪는 여성인물들의 범불안장애를 통해 억압의 증후를 확인할 것이다. C절에서는 서사적 양식을 차용해 관객 인식을 변화시키려는 목적이 소명을 강조한 서사로 드러남을 확인한다. 장소는 공동체 생활에 참여함으로써 뿌리 내리는 과정을 보여주며 로컬공동체의 의미로 확대되는 양상을 짚어본다. 탈경계의 공간에서 공유된 가치를 형성하는 관계지향적인 태도가 이상적인 것으로 설정되었지만 작품 속 인물들의 억압과 희생이 전제되었음을 포착해서 논의를 진행한다. 끝으로 차범석이 병리적 증후를 무대 위에 재현함으로써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한 의도와 연극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차범석은 사회 근저에 자리한 인간의 욕망과 불안을 외면화하기 위해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차용했고 동시대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비판할 수 있길 요구했다. 그러나 인물들이 드러낸 불안이 대부분 도덕적 불안으로 점철되었다는 점에서 윤리를 강조한 작가의식을 도출할 수 있다. 초기 인물이 자기와 외부 세계간의 문제가 중심인 하위 방어를 택해 부정적으로 재현된 반면 내적 경계, 즉 자아와 초자아의 문제가 핵심인 상위 방어를 택한 후기 인물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작가의 시선으로 이를 입증한다. 이처럼 차범석 작품 속에 드러난 병리적 증후와 방어기제는 상상계에서 실재계, 상징계의 주체로 나아가는 인물들의 욕망과 맞물리며 드러난다. 그런데 억압된 것의 귀환을 다루면서 욕망의 발현과 함께 금기가 작동되는 구조는 관객의 욕망을 충족시키고 폭력을 고발하는 동시에 이데올로기의 작동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극 상연에 있어서 절대적 존재인 관객을 유치하고자 욕망을 표출한 인물을 재현했지만 도덕적 비의를 위치시킨 작가의 극작술은 궁극적으로 흥행과 교훈을 결합한 전략적인 태도로 간주된다. 결국 사회성과 관객을 염두에 두고 창작 활동을 한 차범석에게 무대 위 인물의 병리적 증후는 동시대의 불안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장치로 차용되기 적합했다. 본고는 이를 구체적으로 범주화해 멜로드라마적 요소와의 접점을 분석하고 관객 인식과 극양식의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단선적인 차범석 연구 방법의 지평을 넓히는데 일조하고 차범석 연극만의 특수성을 규명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