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혜원-
dc.contributor.author서지윤-
dc.creator서지윤-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07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0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6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61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72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space, to investigate the focalization pattern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and then to identif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To do this, we first discuss the observation program, and then present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observation program. Based on this, we will classify the observation programs into four categories, and then look at the patterns of focalization according to each type. The most basic attributes of an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that is, 'seeing', raises the question of who and what to watc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an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in terms of focalization theory. In order to produce a visual arts program, the intention and message of the person making and processing the text are inevitably included in the process of editing the image.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observation program, we must concentrate on what is shown, from what point of view. For this reason, this paper focuses on the focalization theory of narrative in order to examine the program of observation and entertainment. Focalization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the problem of the position and the view of the narrator.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have the nature of television -'seeing' and 'showing'- and the presence of cameras that mediat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ubject of sight, the camera filming it, and the narrative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mera on the basis of the focalizaiton theory.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involve the nature of 'seeing' and 'watching' television and the presence of cameras that mediat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ubject of sight, the camera of the screen and the narrative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mera in the television screen on the basis of the focalization theory. In this study, we will classify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based on various levels of space. Make sure that the background is foregrounded or not of the main elements of the narrative and apply the Bronfenbrenner ecological system theory. And we will classify the types of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by checking whether the narrative progresses mainly in the inner space or the outer spa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First of all,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performing narrative focusing on people shows interactions with family members and close friend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mily or exposes private life through this. To do this, documentary filming techniques are actively utilized such as interview and fly-on-the-wall camera. It also provides direct interviews and explanations in the studio to help them understand narrative. In the second type, episodes of a similar type proceed simultaneously, intersecting in parallel, repeating certain events and proceeding with narrative. It emphasizes intera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various objects by describing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erson and object. For the inner space - centered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space itself already contains narrative. It depicts the characters in this space gradually getting closer and having a family bond. Informative function is reduced, but it shows a character that actively reveals the subjective impression and stories.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pace - centered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is a sort of travel narrative that depicts the characters moving through space and experiencing new places. As the journey progresses, they seem to grow and grow in inner solidarity. Peole watching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sees the narrative world through the eyes of the creators who are the focalizer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feature of the television as a mass media. By watching the program, people participate in the narrative relatively emotionally rather than physically. And I get the experience of the surrogate experience and the surrogate satisfaction by agreeing and identifying with the person in the story of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macroscopically and will approach it analytically through classification. It classified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not only from the narrative but also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at it tried to make an overall approach to the observation and entertainment program without conducting research focusing on some works.;본 연구의 목적은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공간에 따라 분류하고 각 분류에 따른 초점화 양상을 살펴본 뒤 이에 따른 서사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관찰 예능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한 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분류할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기반으로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네 가지로 분류한 후 각 유형에 따른 초점화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이 기반하는 텔레비전이라는 매체와 관찰이라는 형식, 일상성이라는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을 관찰 즉, ‘보는 것’이라 했을 때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텔레비전이라는 매체적 특성과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초점화 이론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텍스트를 제작하고 가공하는 사람의 의도나 메시지가 필연적으로 담기게 된다. 그러므로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보여지는지’ 즉, ‘어떤 관점에서 무엇을 보여주고자 하는지’에 집중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의 초점화(focalization)이론을 중심으로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초점화란 소설의 화자 또는 서술자의 위치와 시각의 문제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보여주고’ ‘보는’ 텔레비전의 본질 및 이를 매개하는 카메라의 존재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점화 이론을 기반으로 텔레비전 스크린을 통해 관찰 예능을 보는 시선의 주체와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 속 시선의 대상이 되는 서사의 의미를 살펴보고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층위의 공간을 기준으로 삼아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분류하였다. 먼저, 배경이 서사의 주요 요소로 전경화되는지 혹은 후경화되는지 확인하고 브론펜 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을 적용하여 구분한다. 그리고 서사가 주로 내공간에서 진행되는지 외공간에서 진행되는지 살펴보며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유형을 분류한다. 이를 통해 관찰 예능 프로그램이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인물 위주로 서사가 진행되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와의 교류를 보이며 이를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강조하거나 사적 생활을 노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대상을 몰래 찍는 관찰카메라 형식과 인터뷰 등의 다큐멘터리 촬영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리고 서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대상의 직접적인 인터뷰나 스튜디오에서의 설명을 제공한다. 두 번째 유형은 비슷한 유형의 에피소드들이 동시에 진행되며 병렬적으로 교차되고, 특정한 사건을 반복하며 서사를 진행한다. 인물과 대상의 내면적 상황을 서술함으로써 다양한 대상들 간의 교류와 통합을 강조한다. 내공간 중심형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공간 자체가 이미 서사를 내포한다. 인물들은 공간에 따라 특정 역할을 부여받고, 이 역할을 수행하면서 서사를 이끌어나간다. 이 유형의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주로 공간 속의 등장인물들이 점차 가까워지고 가족적인 유대감을 갖는 모습을 묘사한다. 반면 외공간 중심형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일종의 여행서사로서 공간을 이동하며 새로운 곳을 경험하는 인물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여정이 진행됨에 따라 이들은 내적 결속을 다지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기행 서사로서의 정보성은 떨어지는 반면 인물의 주관적인 감상과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특징을 보인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대중들은 초점화자인 제작자들의 눈을 통해 서사 세계를 보게 된다. 이는 대중매체인 텔레비전이 지니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시청자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시청함으로써 물리적으로 서사에 참여하기보다는 비교적 정서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그리고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이야기 속 인물에 동감하고 동일시하며 대리체험과 대리만족의 경험을 얻는다. 본 연구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거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분류를 통해 이에 대한 분석적으로 접근하였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서사학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하고자 하였으며, 일부 작품에 집중해서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관찰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을 하고자 했다는데 기존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7 Ⅱ.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유형 분류 13 A. 관찰의 의미와 초점화 13 B. 공간에 따른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유형 24 Ⅲ.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초점화 양상 34 A. 인물 중심 관찰 예능 39 B. 사건 중심 관찰 예능 42 C. 내공간 중심 관찰 예능 44 D. 외공간 중심 관찰 예능 47 Ⅳ. 초점화 양상에 따른 서사적 특징 50 A. 하위모방적 일대기 서사 51 B. 교감과 통합을 지향하는 반복적 서사 53 C. 재현된 내공간을 통한 역할 수행 서사 55 D. 결속과 성장을 강조하는 여행 서사 58 Ⅴ. 결론 60 참고문헌 64 부록. 관련 작품 목록 69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95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초점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ocalization of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dc.creator.othernameSeo, Ji Yoon-
dc.format.pagei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