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한국 여성주의 미술에 나타난 여성주의 문학과의 관련성

Title
한국 여성주의 미술에 나타난 여성주의 문학과의 관련성
Authors
권한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The study is about the existence of feminist art since 1980, which had different dimension from those of feminist liberation movement. The study analyses the feminist art from the view point of relation with feminist literature, mainly 'Alternative culture(Ddomoon, 또 하나의 문화)'. Leading by Women Art Research Society, the artists highlighted women's subjectivity by representing grass-roots women's struggle which had been excluded within Minjung art. On the other hand, the artists who had interacted with Ddomoon tried to create their own culture which valued femininity. Among Women Art Research Society(Yeomiyeon, 여성미술연구회), some women artists (Kim Jinsook, Park Youngsook, Yun Suk Nam, Jung Jeong Yeop) participated in Ddomoon, interacting with feminist scholars and feminist writers in the mid 1980s. This currency became the basic resources for creation of feminist arts in cultural dimension. We need to notice that Ddomoon was founded in 1984 and became interchanging community among women artists. The members of Ddomoon wanted to make alternative culture which overcome patriarchal system imbedded in daily life. Meanwhile they sought for women literature as an axis of movement. Actually, among active participants in Ddomoon, the existence of poetess and novelist need to be counted. Also, Mook, 『Alternative culture』 became a space for debate on women literature. Active member, Go Jung hee, Kim Hyesoon, etc, believed that literature should restore women's experience and showed vision for women's liberation. These perspectives came to suggest new subject to women writers. Among women writer's activities, we need to pay attention that they had contact point with feminist artists. There were three categories in contact points; collaborating exhibition, collaborating publication, and sharing literature subject. The turning point to start regular meeting between feminist artists and feminist writers was an illustrated Poem Exhibition called 《Let's open the confined water, as below BotmulJeon》(《우리 봇물을 트자》, 이하 《봇물전》). The Exhibition was suggested by Ddomoon and women writer and artist had intensive interchange for a year. The preparing process became major stimulating resources for women artists. This was an embodiment process of feminist literature subject such as women's self consciousness, childbirth and motherhood, sisterhood and women's history. Feminist artist sought methodology to embody the narrative and image in literature. After 《Botmuljeon》, the meeting of artists continued in exhibition such as Go Jung-hee memorial ceremony. In this way literature language expanded the meaning of feminist arts by participating in the type of motif, exhibition title, preface. Another collaboration area of feminist literature and feminist art is that of publication. Heading by Ddomoon's mook after mid 1980s, feminist publication movement produced visual image which combined literature, such as 『The Women's New paper』(『여성신문』, 1988), project book 『An Ideology called Marriage』(『결혼이라는 이름의 이데올로기』, 1993), quarterly magazine 『If』(『이프』, 1997). In the process of making image loaded in publication, artists could experiment new formations like collage, photo, drawing, etc which carried feminist values. The creative works were copied massively and loaded in publication media, and became a foundation for popularization of feminist language. After Ddomoon activism, series of literature text and publication movement became a effective mechanism for artist to actualize feminist politics. Affinity between literature and art emerged in their common subject. Writers commonly dealt with motherhood and sisterhood and the restoration of women's history. They emphases motherhood and sisterhood as the bases of women's solidarity and restoring women's history to deconstruct male centered history and to seek common vision for women. Women's culture is devaluated under male dominant society. The artists started to express women's value in positive way by reconsidering women's value through literature language and visualizing. As shown above, since 1980s, literature has been an important agency for feminist artists to reify feminist consciousness and proceed feminist art. Considering feminist arts are epistemological criticism on sexist culture, feminist literature could be a catalyst for feminist arts. The study is meaningful to cast light on the existence of 1980s' feminist art which has not been noticed. The study reveals that feminist art has proceeded through interchanging with pan-cultural feminist movement and literature movement. The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not see Korean feminist art from a single axis called art, but we need multiple approach to see Korean feminist art, especially from the contact point with literature.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subdivides the member of Women Art Research Society in 1980's women's art history, and draws feminist art topography in detail. ;본 논문은 1980년대 이후 한국 페미니즘 미술의 전개과정 속에서 여성해방 운동 차원의 것과는 다른 ‘여성주의 미술’이 존재했음을 주목하고 이를 ‘또 하나의 문화’(이하 또문으로 통칭)를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주의 문학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연구다. 여성미술연구회를 중심으로 제작된 미술이 투쟁하는 기층 여성의 재현을 통해 민중미술에서 배제된 여성 주체를 부각하고자 하였다면, 또문과의 교류가 바탕이 된 미술은 여성성에 가치를 부여하고 이에 바탕을 둔 독자적 문화를 창조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중반 여성미술연구회의 활동에 참여하던 여성 미술가들 중 일부(김진숙, 박영숙, 윤석남, 정정엽)는 또문에 또한 관여하면서 여성학자들, 여성문인들과 교류하였고 이러한 흐름은 문화적 차원의 여성주의 미술을 만들어내는 밑거름이 된 것이다. 1984년에 창립된 또문은 여성 예술가들의 교류 공동체로서 주목을 요한다. 또문의 구성원들은 일상에 내재한 가부장제를 극복할 대안적인 문화를 만들고자 하였으며, 여성문화 운동의 한 축으로서 여성문학에 대한 탐구에 천착하였다. 실제로 당시 또문에 활발히 참여한 이들 가운데에는 시인, 소설가 등 여성 문인들의 존재를 빼놓을 수 없으며,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는 이들이 여성문학에 대한 논의를 펼치는 장으로 기능하였다. 또문에 활발히 참여하였던 고정희, 김혜순 등의 여성 문인들은 문학이 여성적 체험의 영역을 복원하고 여성 해방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시각은 여성 문학의 새로운 주제를 제시하는 결실로 이어졌다. 이러한 문인들의 활동 가운데 특별히 주목할 점은 미술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여성주의 미술과도 접점을 이루었다는 점이다. 여성 문인들과 미술가들의 만남이 확인되는 것은 크게 세 가지 영역, 즉 공동의 전시와 출판물, 그리고 문학적 주제의 공유라는 차원에서이다. 여성 문인들이 여성 미술가들과 본격적으로 만난 계기는 1988년에 열린 여성 해방 시화전 《우리 봇물을 트자》(이하 《봇물전》으로 통칭)였다. 또문의 제안으로 이뤄진 이 시화전은 여성 시인들과 미술가들의 1년여 간의 집중적 교류를 통해 제작된 시화를 전시한 자리였으며, 이러한 준비 과정은 여성 미술가들의 작업에 주요한 자극원이 되었다. 여성의 자의식, 출산과 모성, 자매애, 여성사 등을 주제로 한 문학적 텍스트의 형상화 과정에서 여성 미술가들은 문학에 담긴 내러티브, 이미지 등을 형상화 할 방법을 탐구하였고 이는 표현 양식의 다양화로 이어졌다. 여성주의 문학과 미술의 관련성이 확인되는 또 다른 영역은 출판물이다. 여성 미술가들은 또문의 무크지를 필두로 『여성신문』(1988), 기획 단행본 『결혼이라는 이데올로기』(1993), 여성주의 계간지 『이프』(1997) 등 1980년대 중·후반 이후 전개된 페미니즘 출판 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글과 결합된 출판물의 이미지를 생산해왔다. 이들 출판 매체에 수록할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미술가들은 콜라주, 사진, 드로잉 등 여성주의의 가치를 담을 새로운 형식을 실험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창작물들은 대량 복제를 특성으로 한 출판 매체에 수록됨으로써 여성주의 언어를 대중화하는 토대가 되었다. 문학과의 관련성은 미술작품과 문학작품의 주제가 공통적이라는 점에서도 드러난다. 문인들은 공통적으로 모성과 자매애, 여성사 복원이라는 주제를 다루어왔는데, 여성 미술가들 또한 남성 지배사회에서 폄하된 여성적 가치를 문학의 언어를 통해 재고하고 이를 시각화함으로써 여성적 경험에 대한 관심과 그 가치에 대한 긍정을 표현해왔다. 이렇듯 1980년대 이후 여성 미술가들이 페미니스트로서 의식을 구체화하고 여성주의 미술을 전개해 나가는 데 있어 문학은 중요한 동인이었다. 여성주의 미술이 성차별적 문화에 대한 인식론적 비판임을 감안할 때, 여성주의 인식을 전제로 한 여성주의 문학은 여성주의 미술의 촉매제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의 한국미술사에서 상대적으로 조명되지 않았던 문화적 차원의 여성주의 미술의 존재를 규명하고 이를 여성운동, 문학운동이라는 범문화적 영역과의 교류 속에 전개되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 여성주의 미술을 미술이라는 독립된 영역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당대 사회운동, 특히 문학과의 접점이라는 다층적 접근을 통해 바라본 것인데 이는 한국 여성주의 미술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안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1980년대 한국 여성주의 미술사에서 주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여성미술연구회 출신의 미술가들을 세분화하여 1980년대 여성주의 미술의 지형도를 좀 더 구체화한 점 역시 본 연구가 남긴 성과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