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3 Download: 0

존 체임벌린(John Chamberlain)의 조각에 나타난 뉴 리얼리스트적 특성 연구

Title
존 체임벌린(John Chamberlain)의 조각에 나타난 뉴 리얼리스트적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 Realist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s by John Chamberlain
Authors
이승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ew realist characteristics in the works by John Chamberlain (1927-2011). He continued the works displaying formative senses by using the industrial materia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ized society since 1950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at he had the viewpoint and the attitude as the new realist who emerged in the modern art wor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rough analyzing his entire sculptures after going beyond the existing studies, which had been limited to using his wastes. The process of Chamberlain establishing his formative viewpoint exerted immense influence on the art trends of the same era. Since the 1950s - the time when he began to create sculptures, the art trends of new realism began to appear. New realists tried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era by introducing industrial objets in their works and they displayed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succeeding the formative senses of abstract expressionism originating from the previous age. He showed two characteristics in diverse ways by interacting with the artists with new tendencies. In addition, he learned the viewpoints of combining life and art while attending Black Mountain College, which put emphasis on the social roles of art. Chamberlain sculpted his works by changing main materials in respective periods such as end-of-life vehicles, synthetic resins, industrial metallic materials, and so on. In spite of using various materials, harmony of social meaning and formative value was consistent. Since 1957, he naturally reflected mass production and reality of automobile industry by using end-of-life vehicles. The corroded and scratched surfaces of the vehicles showed the traces of daily life in which vehicles were used and meant that waste has been reproduced as an artwork with a new value. In addition, the old colors of the scrap metal delivered formative senses similar to abstract expressionism by bringing about formative effects. Afterward, since 1966, he explored formativeness hidden in materials by using synthetic resins such as urethane foam and plexiglass - the key materials supporting the system of mass production. He aimed to aesthetically transform the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resins which can be transformed easily and easy to use and even the limitation of being temporary and having weak durability. He reflected the meaning of industrial society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resins and sublimated into aesthetic values by putting emphasis on paradoxical forms. In the latter period, he began to fragmentalize materials by using various industrial metallic materials including galvanized steel sheet, aluminum foil, and chromium plating sheet. The combination of smaller fragments made the reflection of his formative intention easier and put focus on the whole formative beauty. Moreover, he maximized formativeness by adding new colors or drawing patterns to metallic materials. The outline and the wrinkles of fragmentalized metals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metallic materials and created new formative effects. The works of the latter period may seem like putting more focus on formative beauty but he sought a balanced point between elements reflecting the present age and formative values by partially revealing the original forms of industrial metallic materials and deriving humorous meanings through work titles. The studies on the new realist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by Chamberlain aimed to identify that he had not merely pursued pure formativeness or focused on social consciousness so as to deliver social messages. His works ar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he aimed to explore the balanced point of two attitudes reflecting formative aspect or social meaning. He is a true new realist in the sense that he discovered new aesthetic values in materials representing modern society and created sculptures possessing pure formativeness.;본 논문은 존 체임벌린(John Chamberlain, 1927-2011)의 작품에 나타난 뉴 리얼리스트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체임벌린은 1950년대부터 산업사회의 특성들이 반영된 산업 재료들을 이용해 조형적 감각을 드러내는 작업들을 지속해왔다. 본 연구는 체임벌린의 폐기물을 이용한 작품에만 국한된 그동안의 연구들에서 더 나아가 그의 전체적인 조각 작품 분석을 통해 그가 전후 현대미술계에 부상한 뉴 리얼리스트로서의 시각과 태도를 견지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체임벌린이 조형적 시각을 형성하는 과정에는 동시대 미술동향들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가 활동을 시작한 1950년대에는 뉴 리얼리즘 경향의 미술들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뉴 리얼리스트들은 산업 오브제를 작품에 도입하여 동시대의 리얼리티를 반영하고자 하고자 했으며, 전 세대인 추상표현주의의 조형적 감각 또한 계승하는 공통된 특징을 보였다. 체임벌린은 이런 새로운 경향의 작가들과 교류하며 두 가지 특성을 작품 속에 다양하게 담아냈다. 또한 그는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던 블랙마운틴 대학에서 수학하며 삶과 예술을 결합하는 것에 대한 시각들을 체득하게 되었다. 체임벌린은 폐자동차, 합성수지, 산업적 금속재료 등 시기별로 주재료를 달리하며 조각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의미와 조형적 가치간의 조화는 일관되게 나타났다. 1957년부터 작가는 폐자동차라는 재료를 사용하며 대량생산 및 소비되는 자동차 산업의 현실을 작품에 자연스럽게 반영했다. 폐자동차의 부식되고 긁힌 표면들은 실제로 자동차가 사용되었던 일상의 흔적을 그대로 보여주며, 폐기물이 새로운 가치를 지닌 예술작품으로 재생산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또한 고철의 낡은 색채들은 섬세한 조형적 효과를 창출하여 추상표현주의와 유사한 조형적 감각을 전달했다. 이후 1966년부터 작가는 대량생산 체제를 뒷받침했던 핵심재료인 우레탄 폼, 플렉시 글라스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해 재료에 잠재된 조형성을 탐구했다. 체임벌린은 쉽게 변형할 수 있고 이용이 편리한 합성수지의 특성과 함께, 일회적이고 내구성이 취약한 한계까지도 작품에서 드러내 예술적으로 변용하고자 했다. 그는 합성수지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산업사회의 의미를 반영하였으며, 역설적인 형태 또한 부각시켜 예술적 가치로 승화시켰다. 후기에 접어들며 폐자동차뿐 아니라 아연도금철판, 알루미늄 포일, 크롬도금철판 등 다양한 산업적 금속재료를 이용하기 시작한 체임벌린은 재료들을 더욱 파편화하기 시작했다. 더욱 잘게 잘린 파편들의 조합은 작가의 조형적 의도 또한 쉽게 반영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부분보다 전체적인 조형미에 더욱 집중하게 만들었다. 이에 더해 체임벌린은 금속재료에 새로운 색을 입히거나 패턴을 그려 넣는 방법을 통해 조형성을 더욱 극대화 하였다. 파편화된 금속들의 윤곽과 구겨짐은 금속재료의 특성을 부각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조형적 효과를 창출했다. 후기 작품들은 형식적인 조형미에 더욱 집중 한 것처럼 보이지만, 체임벌린은 여전히 부분적으로 산업적 금속재료의 본래 형태를 노출하였으며, 작품 제목을 통해 해학적인 의미를 도출하는 등 현 시대를 반영하는 요소와 조형적 가치 간의 균형지점을 모색했다. 체임벌린의 작품에 나타난 뉴 리얼리스트적 특성을 알아본 본 연구는 그가 단순히 순수한 조형성만을 추구하거나, 혹은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회의식에만 치중한 것은 아니었다는 사실을 밝히려 노력했다. 체임벌린은 조형적인 측면이나 사회적 의미를 반영하는 두 가지 태도의 균형지점에 대해서 탐구 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체임벌린은 현대 사회를 대변하는 재료들 속에서 새로운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순수 조형성을 갖춘 조각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진정한 뉴 리얼리스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