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A.W. Franks의 수집을 통해 본 빅토리아기 인류학적 수집

Title
A.W. Franks의 수집을 통해 본 빅토리아기 인류학적 수집
Other Titles
Anthropological Collecting in Victorian Era in the Case of A.W. Franks’Japanese Collection in British Museum
Authors
조현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빅토리아기(1837-1901)에 활동한 영국박물관의 학예사 어거스터스 월러스턴 프랭크(Augustus Wollaston Franks KCB, 1826-1897)의 일본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이다. 그의 수집은 당대 새롭게 부상한 인류학을 지적 기반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를 통해 빅토리아기 인류학적 수집 양상과 함의를 알아보고, 일본 문물에 부여된 인류학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세기 중반, 영국에서는 학회와 대학을 중심으로 새로운 학문이 탐구되었고, 영국박물관에는 과학 탐구와 대중 교육에 기여하는 근대적 박물관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었다. 1860년대 중후반 영국에서 인류학이 대두하면서, 학자들은 선사시대 고고학과 민족지학을 탐구하며 인류가 밟아온 문명 발전과정과 각 단계의 특성을 연구했다. 이 때 선사시대 유물과 민족지 유물은 과거와 현재의 야만적 수준을 시사하는 물질문화로서, 인류 문명을 과학적·실증적으로 탐구하는 데 필요한 기반자료로 다뤄졌다. 19세기 전반까지 영국박물관의 주 수집대상은 서양 고전고대와 근동의 유물과 호고주의적 유물, 장서류와 자연사 컬렉션이었다. 그러나 1851년, 프랭크는 영국박물관에 채용된 뒤로, 고고학협회와 인류학회에서 활발히 활동하면서 얻은 인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선사시대 유물과 민족지학 유물 컬렉션을 형성하여 인류학자들의 탐구기반을 마련했다. 그의 수집을 계기로 영국박물관은 전(全) 세계, 전 민족, 전 시대를 아우르는 보편연구박물관(universal survey museum)으로 거듭났다. 일본 컬렉션은 프랭크의 인류학적 수집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1858년 일본이 서구 열강과 교역을 재개하며 일본 문물이 영국에 유입되었고, 1862년 주일 총영사 러더포드 알콕(Rutherford Alcock)경은 런던 만국박람회 일본관 전시에서 일본 문물을 소개했다. 이후 영국에서는 자포니즘(japonism) 열풍이 불었다. 영국에서 일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일본 문물 수용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면서, 영국의 수집가들은 일본 유물을 활발히 수집했다. 일본은 오랜 기간 쇄국 정책을 펼치며 서양에 잘 알려지지 않은 데다 서구 문명을 제한적으로 수용하였기 때문에 프랭크는 일본인을 아직 서양에 직접적으로 정복되지 않아 고유의 민족 문화를 보유한 민족이라고 여겼다. 기존 영국의 일본 문물 수용에 관한 연구는 도자기나 회화가 심미적 감상이나 예술 및 디자인 발전을 목적으로 수집되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졌다. 그러나 프랭크의 일본 컬렉션은 공예품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일본에 체류한 인류학자와 탐험가와 교류하면서 선사시대 유물과 민족지학 유물을 수집했다. 선사시대 유물은 일본에 석기 시대가 존재했으며, 선사시대 이래 일본의 물질문화가 석기-청동기-철기, 토기-홍도-석기의 순서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한편 민족지학 유물은 동시대 일본 열도에 존재한 두 민족, 일본인 민족과 아이누의 민족성과 기술적 발전 수준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수집되었다. 프랭크가 수집한 아이누의 무기, 의복 등은 그들이 여전히 야만적인 수준으로 살아간다는 점을 시사한다. 반면 일본인은 아시아에서 금속 문명을 수용한 뒤로 발전하여 독창적인 문명을 이루었다. 프랭크는 도자기와 네츠케, 츠바 등 상당 수준의 기술력과 미감을 요하는 공예품을 수집하였는데, 이는 일본인의 기술수준과 중세적 사회·경제·문화적 풍토를 반영한다. 프랭크가 관할한 영국 및 중세 고 유물 및 민족지학 부서는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유물을 포함했는데, 그는 인류 또는 영국인이 밟아온 문명 발전 과정을 인지할 수 있도록 컬렉션을 배열했다. 일본의 선사시대 유물은 유럽의 선사 유물 다음에 놓여 유럽을 중심으로 상정된 물질문화의 발전 법칙의 타당성을 보강하는 주변 장치로 활용되었다. 공예품은 중세관과 도자기관 사이에 위치한 아시아 살롱에 놓여, 중세적 기술 수준과 미감을 보여주는 사례로 다뤄졌다. 반면 아이누의 유물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극지방의 야만인들의 것과 함께 전시되어 야만을 표상하게 되었다. 이처럼 프랭크가 모은 일본 컬렉션은 당대 인류학의 지적 논리에 전유되었다. 그가 수집한 일본 유물은 단지 3차원의 오브제가 아닌, 일본인 민족의 발전 수준과 민족성을 반영하는 산물로 다뤄졌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랭크는 당대 유행한 인류학을 토대로 일본 컬렉션을 형성하였다. 과학이 중시되고 박물관이 과학을 위한 탐구 자료를 제공하며 대중을 교육해야 한다고 여겨지던 시대, 프랭크가 형성한 방대한 일본 컬렉션은 그가 당대 새로운 인간과학, 인류학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수집하였음을 보여준다. 일본 컬렉션은 유럽이 이미 지난 지 오래되어 확인하기 어려운 야만의 시대, 중세의 기술수준과 풍토를 보여준다고 간주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본의 유물은 본래의 맥락에서 이탈하여 서양의 새로운 인간과학, 인류학에 전유되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일본을 사례로 비유럽의 유물이 인류학적 차원에서 수집된 매커니즘과 각 유물에 부여된 의미를 밝힘으로써, 특정 민족의 문화가 서구 과학의 맥락에 전유된 경위를 짚고자 한다. 나아가 인간과학을 지향하며 이루어진 빅토리아기 인류학적 수집에 내포된 식민주의적 함의를 알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인류학과 박물관학을 토대로 간학문적으로 접근하여 일본 컬렉션 수집과 그 과정에서 일본에 부여된 이미지를 파악하고, 그럼으로써 빅토리아기 수집문화를 확장하여 이해하고자 한다.;This thesis is a study on collecting of Japanese collection by Sir. Augustus Wollaston Franks KCB(1826-1897), a curator of the British Museum in the Victorian era(1837-1901). His collecting was based on the newly emerging anthropology at that time. In this regard, it aims to understand the anthropological collecting in Victorian era and clarify the anthropological meaning given to Japanese things.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new disciplines were explored in the U.K., led by academic societies and universities. The British museum was required a role as a modern museum contributing to scientific inquiry and enlightening the public. In the mid- and late 1860s, as anthropology rose in Great Britain scholars studi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human civi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by researching prehistoric archaeology and ethnography. In this case, prehistoric relics and ethnographic artifacts were regarded as material cultures indicating the savagery in the past and present and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scientific and empirical exploration of human civilization. Until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main collection in the British Museum were the western ancient and classics, the near east relics, the books, the antiquities, and the collection of natural history. However, after employed at the British Museum in 1851, Frank formed a collection of prehistoric and ethnographic relics. His collecting was based on the anthropological knowledge gained from the activity in Archaeological Association and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the Great Britain and Ireland. His collection provided the anthropologists with a basis for inquiry. Through his collection, the British Museum has became a universal survey museum owning the collection encompassing the entire world, the entire nation, and the entire era. Then Japanese collection is an example of Frank’s anthropological collecting. In 1858, when Japan ended its seclusion policy for two centuries and resumed trade with the Western posers, Japanese artifacts flowed into the Britain. After Sir Rutherford Alcock, the consul general at Japan in 1862, introduced the Japanese culture at the World Exposition in London, the Japonism began in England. Franks thought that Japan was not directly conquered by the West and retained its own national culture, as Japanese culture was limited to Britain and Japan also restrictively accepted Western civilization while in its seclusion policy. Not only did he collect Japanese artifacts on an aesthetic level, he collected prehistoric relics and ethnographic relics altogether. Victorian anthropologists collected prehistoric artifacts in Europe, where iron-ware was used to build civilization, and ethnographic artifacts were brought from contemporary barbarians such as Asia and Africa. However, Japan is the rare case where both categories of artifacts are collected. His collection of prehistoric relics suggests a process of the change in Japanese material culture since prehistoric times. Ethnographic relics show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national culture of the two peoples, the Ainu and the Japanese, coexisting in the Japanese archipelago since prehistoric times. As such, Frank’s Japanese collection was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anthropology of civilization and the level of barbarism, as well as timely overview of the process of human civilization. As seen above, as western science and anthropology became the intellectual foundations of the Victorian collection, non-European cultures snatched were classifi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western knowledge system, and here we can see the colonial implications of Victorian anthropology and anthropological collecting. Considering Foucault’s statement that knowledge is power, Franks’anthropological collection is like an epistemological victory over weak nations. Also, it is a three-dimensional archive of the empire integrating the customs, habits, and cultural information of the na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d the mechanism for how non-European artifacts were collected anthropologically and what meaning was given to each case of Japan thus examining how the culture of a particular nation is monopolized by western science. Furthermore, we examined the colonial implications of the Victorian anthropological collection aiming human science. Until now,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pattern of the Victorian anthropological collection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activities of the curator of the British Museum called Franks, focusing on the Japanese collection. In this article, we further investigated the reason why the image of medieval and barbarism was given to not only the Japanese collection but the Japanese people by illuminating the collection of Japanese in the context of the birth of a new division of ethnography, english and medieval relics. Also, on an anthropological level, although Japan has unprecedently accepted Western civilization among Asian countries, this thesis considers that what the West expected of Japan was the traditional and indigenous climate before it was influenced by Western civilization.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specific disciplines on the change of collection method at the time, and to open a new direction of museological study by naming the new collecting pattern of Victorian period as‘Anthropological collec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