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0 Download: 0

조선시대 꿩그림[雉圖] 연구

Title
조선시대 꿩그림[雉圖] 연구
Other Titles
The Pheasant Paintings of Joseon Dynasty
Authors
오송이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pheasant paintings of Joseon Dynasty. Pheasant paintings were favored by not only the court but also the common people.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pheasant paintings and development in styles and iconographies. Pheasants were familiar creatures to the Joseon people since they were easily found in fields and mountains. They gained various symbols due to this acquaintance. This paper explains the representations that is helpful in comprehending pheasant paintings along with related literatures and old sayings. The various representations of pheasants played a critical role in depicting them into paintings. The birth of East Asian pheasant paintings as a single subject begin with the development of flowers and birds paintings. The advent of Huang Quan (黃筌), a court painter during the Five Dynasties, is pivotal in the development of pheasant paintings, and the style of his paintings was succeeded by his son Huang Jucai (黃居寀) who was also a court painter during the Northern Song period. The majority of Northern Song court pheasant paintings were created by Huang Jucai and Huang Quan according to Xuanhe Catalogue of Paintings (宣和畵譜). Until the Northern Song era, pheasants frequently appeared in paintings with bamboo trees or in winter sceneries. Furthermore, rather than particular flowers, they were often times depicted with diverse species. During the Southern Song and Yuan dynasty, it is assumed that pheasant paintings had been constantly painted and the iconography of pheasants in combination with winter sceneries with apricot blossoms, camellias, and bamboo trees began to gain popularity. The spread of the stylized pheasant paintings was stimulated by Ming court painters such as Luji (呂紀). The influx of Chinese painting styles brought fame to Ming painters such as Lin Liang (林良) and Luji in Joseon. Therefore, the influence of Ming imperial painting style of pheasants can be witnessed in Joseon court painters’ during the mid-Joseon period. Meanwhile, it is noteworthy that Kushihuapu (顧氏畵譜), frequently copied and appreciated by literati and painters of Joseon, included pheasant paintings. Pheasant paintings in Joseon Dynasty were gained popularity especially after 18th century and they were mainly painted in ink-wash drawing. This paper examines the style and composition of pheasant painting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ypes of paintings. The first one is using pheasants as the centerpiece along with decorative flowers and trees. Pheasant paintings in the style of flowers and birds paintings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classical composition. Diverse trees and flowers are painted, including apricot blossoms, camellia, and bamboo trees, and the written poems for the paintings emphasized the fancy feathers and upright characters of the bird. In these paintings, the splendid pigments of cock pheasants were highlighted along with the surrounding flowers and other decorative elements. Another type consists of pheasants situated in a distant view which makes them smaller compared to the vast landscape. There is a conspicuous seasonal and poetic atmosphere in these paintings. Last but not least is the pheasant-hunting scene type where hawks and pheasants are depicted on a single panel. Specifically, hawks target or chase after the pheasants in these paintings. In this type, a pheasants’ behavior or minor elements centering the hawks provide a narrative screen. The pheasant paintings of Joseon does present certain influences from Ming imperial painters. Yet, there are plenty of masterpieces with magnificent techniques of Joseon painters. Pheasant paintings were among the panels of flower and bird painting theme. Several 19th century resources offer an explanation on how these panels were utilized in royal court and among commoners. The panels were arranged in places where the king waits during the royal celebrations (進饌) and, for commoners, they were used for wedding ceremonies. based on the Royal Protocols (儀軌) and record paintings. Pheasant paintings in royal record paintings is similar in composition and style to court paintings in the mid-Joseon period, which clarifies its influence to the 19th century paintings. Flower and bird painting panels originating from Changdeok Palace estimate to be created after the end of 19th century shows a highly stylized depictions of camellia, apricot flowers, bamboo trees, moon, somnolent birds, pheasant chicks and many more. This style of royal pheasant paintings were disseminated to the commoners and recreated by them. On the other hand, ink-wash style pheasant paintings also gained continuous popularity. Temple murals present wonderful exemplars in illuminating on how pheasant paintings were enjoyed among common people. 19th century temple murals were embellished with iconographic themes that catered to the commoners and pheasants were one of them. Pheasants were combined with other species of birds such as phoenix and auspicious birds in both ink-wash and ink color flowers and birds paintings. Hence, pheasant paintings of temple murals provide diverse aspects spurred by the flourish of flowers and birds paintings which represent the auspicious messages.;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꿩을 소재로 그린 꿩그림[雉圖]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꿩그림은 궁중에서부터 민간까지의 다양한 계층에서 그려지며 애호되었다. 이에 꿩그림이 그려지는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고 전개상과 제작양상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꿩은 산과 들에서 쉽게 접할 수 있어 친숙한 동물로 인식되었다. 사람들의 삶에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꿩은 다양한 상징을 가지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꿩그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상징을 중심으로 소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문헌과 고사를 살펴보았다. 꿩의 다양한 상징은 꿩이 그림의 소재로서 제작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된다. 꿩그림은 唐代에 화조화가 발전함에 따라 단독 주제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꿩그림의 전개에서 五代의 궁정화가 黃筌(903-965)의 등장이 중요하며 황전의 아들인 黃居寀(933-993)가 北宋의 화원이 되면서 황전의 화풍을 계승하였다. 北宋代『宣和畫譜』에 의하면 북송황실의 꿩그림에는 황전과 황거채의 그림이 다수를 점하였으며, 북송대까지는 꿩이 대나무와 그려지거나 겨울경에 그려지는 경향이 있었고 특정한 종류의 꽃을 함께 그리기 보다는 다양한 꽃과 함께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꿩그림은 채색화와 수묵화로 꾸준히 그려졌으며 南宋과 元代를 거치며 꿩이 겨울을 배경으로 매화·동백·대나무와 함께 그려지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구성의 꿩그림이 정형화되며 확산되는 데에는 明代 궁정화가 呂紀(1477-?)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한편 꿩은 매와 함께 그려지기도 하였으며 꿩이 매에게 쫓기는 장면이나 잡히는 장면 등이 연출된다. 중국의 서화와 화풍이 조선으로 전해지면서 화조화에서는 특히 명대의 林良(?-?), 여기 등의 화가가 조선에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명대 궁정양식의 꿩그림은 조선 중기 화원의 작품에서 그 영향이 간취된다. 한편 조선의 문사들과 화가들에게 감상과 임모의 대상이 되었던 『顧氏畵譜』에 꿩그림이 있어 주목된다. 꿩그림은 특히 18세기 이후 활발하게 그려졌으며 본고에서는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작품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꿩을 중심소재로 하여 꽃과 나무 등으로 배경을 구성한 것이다. 화조화로서의 꿩그림의 대표적인 유형이며 전통적인 구성방식이라 할 수 있다. 매화·동백·대나무를 비롯하여 다양한 나무와 꽃이 함께 그려졌으며 題詩가 더해져 꿩의 화려한 문양과 올곧은 성질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수꿩의 화려한 색채가 강조되었으며 주변의 꽃 등의 소재들과 조화를 이루기도 한다. 두 번째 유형은 꿩이 遠景에 놓이면서 화폭에서 꿩의 비율이 작아지고 산수가 배경으로 넓게 펼쳐진다. 계절적, 시적감각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이며, 자연의 사계를 읊은 시의도, 와유문화 등과 연결된다. 세번째 유형은 꿩사냥을 주제로 하는 유형으로 매와 꿩이 한 화폭에 그려지며 매가 꿩을 노리고 있거나 꿩을 쫓는 장면 등이 연출된다. 이 유형에서는 매를 중심으로 꿩의 행동이나 부차적인 소재들의 움직임을 통해 서사적인 화면이 연출된다. 조선의 꿩그림은 명대의 궁정화가 여기, 임량의 작품과 화보의 영향이 엿보이지만 화가들의 기량이 돋보이는 작품이 많다. 꿩그림이 한 폭을 담당하고 있었던 화조화병풍이 왕실과 민간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19세기의 자료가 있다. 『儀軌』와 기록화를 통하여 進饌에 왕이 대기하는 장소에 화조화병풍이 배설되었고 민간에서는 혼례 때 화조화병풍을 펼쳐놓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왕실의 기록화에 그려진 꿩그림은 조선 중기의 화원의 꿩그림과 구도와 소재가 유사하여 그 영향이 19세기에도 이어졌음 알 수 있다. 19세기 말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창덕궁에서 이관된 화조화병풍 중 꿩그림에서는 매화·동백·대나무와 함께 달, 조는 새, 새끼꿩 등의 도식화된 양상을 볼 수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왕실의 꿩그림은 민간에까지 확산되어 재생산되었다. 한편 수묵담채의 꿩그림도 계속해서 호응을 받으며 전개되었다. 민간에서 향유되었던 꿩그림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서 사찰벽화가 있다. 19세기 사찰벽화에는 민중들을 위하여 당시 성행하였던 화제의 그림으로 벽을 꾸몄고 꿩그림도 성행하였던 화제 중 하나였다. 꿩그림은 수묵 또는 채색화조화의 소재로서 애호되었던 각 종류의 새들과 짝을 이루었으며 봉황과 학 등의 상서로운 새와 한 공간을 꾸미기도 하였다. 화조화의 성행에 힘입은 꿩그림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며 기복·길상의 상징을 나타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