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7 Download: 0

니콜라 셰페르(Nicolas Schöffer)의 작업에 나타난 총체예술 개념

Title
니콜라 셰페르(Nicolas Schöffer)의 작업에 나타난 총체예술 개념
Other Titles
The Concept of ‘Total Art’ in the Works of Nicolas Schöffer : Focus on the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Authors
이정모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니콜라 셰페르(Nicolas Schöffer, 1912~1992)의 작업에 나타난 총체예술 개념을 미술과 과학기술이 결합된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셰페르는 1940년대 말부터 전기 동력장치를 활용한 키네틱 아트(Kinetic Art), 라이트 아트(Light Art), 사운드 아트(Sound Art) 등을 제작했다. 특히 그는 컴퓨터 전자두뇌에 근거한 사이버네틱 아트(Cybernetic Art)의 선구자로 언급된다. 그는 또한 무용, 음악, 연극 등 공연예술과 건축까지도 작품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며 미술과 다른 예술 장르를 결합하는 것에도 적극적이었다. 이러한 셰페르의 작업 태도는 지속적으로 과학과 예술, 삶의 상호작용과 융합을 추구해 온 것으로, 총체예술(total art)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먼저, 셰페르는 자신의 미학 ‘공간역동주의(Spatiodynamism)’를 발표하고 이후 작업에서 평면과 입체를 혼용하기 시작했다. 이 때 그는 환경을 작업의 중심요소로 삼고 열린 작업을 추구했다. 열린 작업을 통해 그는 역동성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그가 역동성을 통해 구현하려던 것은 비결정성(indeterminacy) 혹은 불확실성(uncertainty)으로, 관람자가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그는 강철이나 알루미늄, 플렉시글라스 등 산업 소재를 사용해 수직·수평의 골조를 조립했으며, 조명의 위치와 색채를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그는 점차 역동주의 미학의 관심사를 공간에서 공간을 구성하는 환경적 요소인 빛으로 옮겼는데, 이와 함께 그의 작업도 입체조각과 스크린, 조명을 활용해 그림자 회화를 연출하는 ‘움직이는 광선회화(moving light paintings)’로 전개되었다. 그는 입체와 평면, 물질과 비물질이 혼재하는 작업, 더 나아가 전시공간의 한계를 벗어나 환경을 활용하는 작업을 통하여 작업이 곧 환경의 일부가 되는 확장된 지평을 보여주었다. 한편, 셰페르는 무용, 음악 등 공연예술 분야와의 협업을 시도하고 시각예술에 공연예술의 특성을 도입하였다. 그는 사이버네틱 조각과 인간무용수가 함께하는 공연을 통해 기계와 인간이 상호 소통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그는 또한 음악가의 퍼포먼스를 기계조각과 움직이는 광선회화의 시각적 효과와 병치시킴으로써 음악의 박자와 리듬의 변화에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사이버네틱 아트의 시각적 효과에 주목하게 했다. 그는 이러한 작업을 전통적인 전시장이나 무대를 벗어나 실제 공간에서 선보이기도 했으며, 무대의 여러 요소를 자신의 작품으로 대체한 총체극을 제작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셰페르는 움직이는 기계조각과 인간이 실제의 시·공간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소통하는 과정을 제시하였고, 동시에 장르의 통합,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객과의 소통을 구현하는 열린 작업을 시도했다. 또한, 셰페르는 미술이 도시 공간을 비롯한 일상의 영역에 직접 침투할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건축 및 도시설계, 엔터테인먼트 분야를 통해 구현했다. 그는 과학기술과 결합한 도시환경 작업을 통해 기계와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에 대한 신념을 드러냈다. 한편으로 그는 TV의 형식을 모방하거나 TV 송출방식을 활용해 자신의 작업을 보다 대중 친화적인 방식으로 제시하고자 했으며, 작품을 산업생산품의 유통방식으로 판매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그는 디스코텍의 실내를 디자인하거나 대중가요의 뮤직비디오를 연출하는 등 대중문화와 긴밀하게 관련된 작업을 지속하였다. 이러한 셰페르의 시도는 순수예술과 실용미술을 결합하는 것이었으며, 새로운 전시방식 및 유통방식을 실천함으로써 대중의 삶에 보다 가깝게 다가가려던 의도를 표출한 것이었다. 이처럼 총체예술로 집성된 셰페르의 작업은 예술의 사회화를 위한 그의 일관된 실천이었다. 그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협업, 과학기술을 활용한 작업을 통해 시대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조응하면서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응하는 통찰력을 제시한 미술가였다. 그러나 기존 미술사는 그의 작업에 대한 논의를 역동주의 미학이나 사이버네틱 아트에 국한해왔다. 이에 본고는 그의 작업 전반을 관통하는 총체예술 개념을 통해 그의 미술사적 위치를 재조명하고, 아울러 국내의 기존 미술사에서 편향되었던 1950년대 이후의 프랑스 미술사의 맥락을 다시 조망하고자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Total Art in the works of Nicolas Schöffer(1912~1992),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aspect of combining Art and Technology. Since the late 1940s he has started to create Kinetic Art, Light Art, Sound Art and so on with electric power devices. Especially, he was noted as a pioneer of Cybernetic Art by utilizing electronic brain. Also, he was enthusiastic for combining other genres of art such as performing arts or architecture into the plastic art. He continuously intended to create interactions between art and technology, art and other genres, and, art and life. Therefore we should define Schöffer’s artworks as the concept of ‘Total Art'. First, Schöffer published his own aesthetic thesis “Spatiodynamism” and then began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his work. He pursued an ‘open’ work to make the environment central element in his work. To be specific, what he thought ‘open’ work was to make ‘unexpectedness’; to make the spectators experience indeterminacy or uncertainty. In order to produce these unpredictable factors and maximize sight effects in his work, Schöffer used structures of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 and lights. He believed that the frame with industrial materials like stainless steel, aluminum, or plexiglass could maximize the visual effects as by the spectators’ eyes moving. As he gradually paid more attention to light, his dynamic theories and works also developed as ‘moving light paintings'. To create these paintings, he used light and shadow; he shone a spotlight on his kinetic sculpture and made its moving shadows on screen. Furthermore, he tried to make his works become parts of the environment. By mixing different mediums- flat and cubic materials, or material and non-material things, he intended to make his work involved in the environment. Owing to this environmental work, his work was both to contain and constitute space and time. On the other hand, Schöffer tried to collaborate with performing arts such as dance, music, etc., and to br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nto his visual works. He composed performances of his own cybernetic sculpture and human dancers to show interaction between the machine and human beings. Schöffer also juxtaposed musicians’ performances with his moving light paintings. At this point he metamorphosed his work into visual-music. And he even produced a total theatre containing his own visual pieces. He sometimes showed the performances outside of traditional venue or stage in real space and time. By combining visual arts with performing arts, Schöffer could practically present the them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machines and living things. Moreover, he was also to provoke interaction with the spectators. Schöffer has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that fine art(s) meets the City life. He found the possibility in architecture, urban design, entertainment, and so on. To accomplish his object, he took advantage of technology. This was because he believed in Utopia of technology;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machine. To reveal his own purpose, he imitated mass media. He mimicked the format and transmission method of TV. Above and beyond these trials, he presented his work in a more familiar manner to the public. He had his pieces manufactured in factories and sold in department stores like the way industrial products were. And besides, he continued to work closely with pop culture. He co-produced a music video of pop star and designed discotheque’s interior. These attempts of Schöffer's own were not just to combine fine art(s) with practical arts, but also to be close to daily life of the public; by practicing familiar but brand-new ways of formation, exhibition, production, etc. As above, the works of Schöffer were thus the accumulation of total art. What he has practiced throughout his whole life as an artist, was a consistent step forward to the socialized art. In this way, Schöffer was to prove himself as an artist of insights, and of going on ahead in his generation rather than caught up with the age. But, previous research of his works has limited the discussion to dynamic aesthetics or Cybernetic Art. Therefore, by this paper, I expected to extend his position in art history that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ioneer of Cybernetic Art. Moreover, it would give us a chance to broaden our horizons on the French history of contemporary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