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체계(System)’ 개념을 통해 본 한스 하케의 작업

Title
‘체계(System)’ 개념을 통해 본 한스 하케의 작업
Other Titles
The system concept in the work of Hans Haacke
Authors
이연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에서 다루는 독일계 미술가 한스 하케(Hans Haacke, 1936- )의 작업은 미술 작품을 완결된 하나의 대상으로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개념미술의 영역으로만 한정할 수 없는 독특한 국면을 드러낸다. 하케는 작은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시각적 차원을 넘어 발생하는 변화의 상황을 작업으로 제시했다. 그의 작업은 물리학적, 생물학적, 사회적 주변 환경과의 관계 속에 위치하며 그것이 위치한 전체적인 맥락을 통해 그 의미가 드러난다. 이러한 특성은 작가의 전(全)작업의 근간이 된 이른바 ‘체계(system)’의 개념을 통해 설명이 가능하다. 그의 작업의 목표는 자연과 인간 삶의 모든 요소들이 다른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체계’라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그 동안 학계에서 하케의 작업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의 작품을 만들어진 시기에 따라 1960년대 초반과 중후반으로 나누고, 전자는 독일 제로그룹과 밀접한 것으로서, 후자는 미국의 미술사학자 잭 번햄(Jack Burnham, 1931-)의 체계 미학(System Aesthetic) 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논의해 왔다. 하케가 생물학자 폰 버틀란피(von Bertalanffy, 1901-1972)의 일반 체계 이론(General System theory)을 알게 된 것에도, 그리고 그가 스스로 자신의 작업을 체계와 연관시킨 것에도 번햄의 미학 이론이 주요 변수가 된 것처럼 서술해 온 것이다. 또한 선행 연구들은 하케의 1960년대 후반 이후의 작업을 이전 시기와는 다른 성격으로 전환된 것처럼 해석하면서 그에게 ‘제도비판 미술’ 작가라는 수식어를 붙였고, 그 결과 그의 1970년 이후 작업은 정치적인 측면만 주로 부각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케의 작업을 ‘체계’의 개념으로 통괄하여 분석했다. 먼저 가변적이고 형태가 없는, 변화하는 상황 그 자체를 작업의 대상으로 삼은 하케의 작업의 연원을 독일 제로그룹 미술가들과의 교류 속에서 연구하고, 하케가 폰 버틀란피의 열린 체계의 개념을 적용하는 과정 및 하케의 작업과 번햄의 미학 이론의 관계 등을 연속적인 흐름 속에서 읽어나갔다. 그리하여 번햄과 하케는 거의 동일한 시기에 각자의 관심에 근거하여 폰 버틀란피의 일반 체계 이론을 접하게 되었고, 번햄의 체계 미학 이론이 확립되기 전부터 하케는 이미 작가적 직관으로 체계의 개념과 상통하는 작업을 시도해 왔음을 추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배경을 기반으로 체계의 개념을 통해 하케의 전(全) 작업을 물리학적․생물학적․사회적 범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유동적 매체를 이용한 하케의 작업은 폰 버틀란피의 열린 체계 개념을 환기시킨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동식물을 활용한 하케의 작업을 통해 자연과 생태계로 확장된 의미의 체계 개념이 드러나는 양상과 이러한 생물학적 체계 개념이 인간 사회에 확장․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체계를 다룬 하케의 작업은 피에르 부르디외의 ‘상징적 권력(symbolic power)’과 ‘상징적 자본(symbolic capital)’ 개념이 사회 체계에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시킨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그의 작업이 정치․경제․문화 등 사회의 각 체계가 서로 얽혀 관계의 망을 이루면서 인류의 삶과 역사를 이끌어 왔음을 역설한다는 것을 밝혔다. 하케의 작업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물리학적․생물학적․사회적 범주의 체계들은 서로 중첩되고 상호 관련된 것이며, 한 작품에 두 가지 이상의 범주가 혼재되어 있기도 하다. 관계들의 합으로 이루어진 체계를 인식하게 하는 하케의 작업은 물리학적 체계와 사회적 체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사회 구조 내에 존재하는 수많은 하위 체계들 ‘사이의 관계’에도 주목하게 만든다. 반세기동안 지속되어 온 하케의 작업은 다양한 의미와 층위의 체계가 서로 얽혀 드러내는 입체적인 면모가 삶의 구조이자 원리라는 것을 보여주는 여정이다. 본 연구가 제도 비판 미술로 주로 회자되어 온 하케 작업에 대한 연구 지평을 넓히고, 미술 이론에 예속된 것이 아닌 예술적 직관에 의해 발현되어 온 그의 작업의 진면목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This thesis examines the work of Hans Haacke(b.1936- ), which shows the unique feature that cannot be limited in Conceptual art in terms of not presenting itself as a complete object. Haacke presents changing conditions as an artwork resulting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iny elements and it is beyond visible dimension. His works are located in relations of physical, biolog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Their meaning is revealed by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situated. These features of Haacke’s works can be explained by the system concept which is basis of his oeuvre. The goal of his works is to express that all the elements and aspects of our lives are the system made up by the relation with other elements. To date, studies of Haacke’s work have not been holistic. Many researchers have divided his work into two parts: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1960’s, and have suggested that the earlier period is related to Zero Group in Germany while the latter is in accord with the system aesthetic theory of Jack Burnham(b.1931-). Many have described Burnham’s aesthetic theory as a decisive factor for the fact that Haacke studied Ludwig von Bertalanffy’s(b.1901-1972) General System theory and associated his own work with system concept independently. Furthermore, earlier studies have interpreted that Haack’s work subsequent to the middle of the 1960s revealed a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 and labelled him an ‘institutional critique’ artist. Critiques of Haacke’s work that followed the middle 1960’s have focused exclusively on its political aspects. In contrast with this limitation of earlier studies, this thesis analyzes Haacke’s works with system concept. First, this thesis studies his early work, which deals with changing conditions that are variable and immaterial, in interaction with Zero Group artists. Moreover, it tries to research the process by which Haacke applied von Bertalanffy’s open system concept to his work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aacke’s works and Burnham’s aesthetic theory. Thus, it insists that Haacke and Burnham recognized von Bertalanffy’s General System theory around the same time and that Haacke already had been working in accordance with system concept with his artistic intuition. It seems fair to suggest that Burnham’s aesthetic theory and Haacke’s work had been built and developed through mutual exchange, rather than a one-way influence. Next, it examines the system concept which is manifested in Haacke’s oeuvre categorizing as physical, biological, social sections. First, this thesis suggests that Haacke’s works using the flexible medium are influenced in general by the interaction of the physical force keeping the system steady state and that this is reminiscen to Bertalanffy’s open system concept. Second, it argues that Haacke’s works using plants and animals broadens the meaning of the system to nature and the ecosystem, and that biological system concept can be applied to human society. Last but not least, it observes that his works on the social system convey that the concepts of symbolic power and symbolic capital by Pierre Bourdieu are activated in society. Furthermore, it assures that his works demonstrate that each social system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s entwined forming the network of interrelation and has been the essence of life and the history of mankind. Continuing for a half century Haacke’s works are a journey showing that the revealed stereoscopic aspect by various layers of system is both the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our l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view of Haacke’s works, discoursed only in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critique art, and discover the true color of his works developed by his own artistic intuition which is not subordinate to art the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