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안소진-
dc.creator안소진-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0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0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7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71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7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받은 간세포암 환자의 불확실성, 불안, 사회적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6년 1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서울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1회이상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중 재시술을 받기 위해 소화기 내과 간암병동에 입원한 환자 8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불확실성은 Mishel 등의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을 정재원 등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불안은 Spilberger 등의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 등이 번역한 도구로, 사회적지지는 Zimet 등의 Multiple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를 신준섭 등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Cella 등의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General version 4의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version 24.0을 이용하여 각 변수들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로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안, 사회적지지 및 삶의 질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Hiera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총점 평균 97.8±13.28점, 사회적지지는 29.51±7.97점, 불안은 29.51±7.97점, 삶의 질은 45.96±9.82점으로 나타났다. 2.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의 경우 배우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558, p=.011). 3. 대상자의 삶의 질은 간세포암 진단시기(F = 2.579, p = .033)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암을 진단받은 지 1년 미만인 대상자의 삶의 질(42.71±7.74)이 암을 진단받은지 2년이상 3년 미만인 대상자의 삶의 질(54.60±9.40)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불안(r=.215, p=.048)과 사회적지지(r=.455, p <.001)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삶의 질은 암을 진단받은 시기가 오래될수록(t=2.28, p=.02),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t=4.31, p <.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받은 간세포암 환자의 삶의 질에 진단시기와 사회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진단시기에 따라 적절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전문적인 간호중재를 통하여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for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undergoing hepatic artery chemoembolization. Specific aims are (1)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anxiety,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nd (2) to assess related factors with quality of life. The study participants are 84 patients for receiving reoperation of hepatic arterial chemoembolization due to recurrence of local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tertiary hospital, Seoul from November 2016 to February 2017. The primary outcome is quality of life and main predictors of interests are uncertainty, anxiety, and social support. The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General version 4. Uncertainty was measured by the translated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and anxiety was assessed by translated version of the State anxiety inventory. Social support was assessed using Multiple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in counts and percentages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i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continuous variables. ANOVA with the Scheffe method for post hoc tests and t-test were performed to assess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disease related factor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uncertainty, anxiety,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with quality of life. Al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versio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uncertainty is 97.8±13.28 and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is 29.51±7.97. The mean scores of anxiety and quality of life are 29.51±7.97 and 45.96±9.82, respectively. 2. The levels of quality of life i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spouse compared to those without a spouse (t=2.558, p=.011).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duration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F = 2.579, p = .033).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in a year reported lower levels of a quality of life score than those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over 2 to 3 years (42.71±7.74 and 54.60±9.40, respectively).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r=.215, p=.048) and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r=.455, p <.001). 5. The longer dur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s well as greater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t=2.28, p <.02 and t = 4.31, p <.001,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dur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quality of life. A nursing intervention increasing social support is required the improve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ho receives reoperation of hepatic arterial chemoembolization due to reccurence of local hepacocellular carcinom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8 A. 간세포암과 간동맥화학색전술 8 B. 불확실성 11 C. 불안 14 D. 사회적지지 17 E. 삶의질 20 Ⅲ. 연구방법 23 A. 연구설계 23 B. 연구대상 23 C. 연구도구 24 D. 자료수집방법 27 E. 자료분석방법 28 F. 윤리적 고려 29 G. 연구의 제한점 2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30 B.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안, 사회적지지 및 삶의 질 34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37 D.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안, 사회적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42 E.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44 Ⅴ.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8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7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간동맥 화학색전술을 받은 환자의 불확실성, 불안, 사회적지지와 삶의 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ncertainty, anxiety,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nets undergoing hepatic arterial chemoembolization-
dc.format.pagev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