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성인 뇌전증 환자의 불안 및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성인 뇌전증 환자의 불안 및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Sleep Quality in Adult Epilepsy Patients
Authors
오정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성희
Abstract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sleep quality in adult epilepsy patients. A total of 147 adult epilepsy patients were recruited for data collection between February 5th 2018 and June 15th 2018. They took anticonvulsants and routinely attended an outpatient neurology clinic at a tertiary hospital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patients as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scales: a Korean version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K-BAI) to measure anxiety, a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K-BDI-II) to assess depression, and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to evaluate quality of sleep. The SPSS 21.0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42.04±13.83 years, and 56.5% were male. Of the patients, 51.7% had an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than a college degree. 87.1% had cohabiting family members, and 46.3% earned one to three million won monthly. 2.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Of the patients, 56.5% were diagnosed as having epilepsy for more than 5 years, and 64.6% were diagnosed as susceptible to generalized seizure. 46.9% had multiple epileptic episodes per year, and 57.8% reported taking monotherapy. 23.8% had comorbidity, and 44.9% indicated a mild levels of stress. 53.7% evaluated themselves to be generally healthy. 3. Anxiety,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of Participants The mean score was 10.08±5.75 for anxiety on a scale from 0 to 63, 15.74±6.39 for depression on a scale from 0 to 63, 7.40±2.90 for sleep quality on a scale from 0 to 21. 4. Anxiety,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in accordance with General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is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education, the presence of cohabiting family members, monthly income, and religion. It also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m by the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seizure frequency, the number of antiepileptic drug, comorbidity, stress level, and perceived health status. 5. Correlation between Anxiety,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in Participants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anxiety,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6.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Stress level and education were factors that affect sleep quality in the patients. The study findings revealed 27.9% of explanatory power in adult epilepsy pati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ed that major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in adult epilepsy patients were stress level and education. Of those two, stress level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that manages stress of the patients while considering their general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본 연구는 성인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 및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뇌전증 환자의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증상관리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뇌신경센터 신경과 뇌전증 클리닉에 내원하는 성인 뇌전증 환자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147명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불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는 Beck, Epstein, Brown, & Steer(1988)이 개발한 벡 불안척도(BAI)를 Lee et al.(2014)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벡 불안척도(K-BAI)를 사용하였고, 우울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는 Beck, Steer, & Brown(1996)이 개발한 벡 우울척도(BDI)를 Lim et al.(2014)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벡 우울척도 2판(K-BDI-Ⅱ)을 사용하였다.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는 Buysse et al.(1989)이 개발한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를 최희정 등(2012)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2.18±13.74세였으며 성별은 남성이 83명(56.5%), 교육 정도는 대학교 졸업 이상이 76명(51.7%), 동거가족 유무는 있음이 128명(87.1%), 월수입은 100~300만원이 68명(46.3%)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2.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 대상자 중 뇌전증 진단기간은 5년 이상이 83명(56.5%), 발작형태는 전신발작이 95명(64.6%), 발작빈도는 1년에 수회 이상이 69명(46.9%), 항경련제 수는 1가지 약물이 85명(57.8%), 기타질환은 있음이 35명(23.8%), 스트레스 정도는 조금 받음이 66명(44.9%), 건강상태는 보통이 79명(53.7%)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불안, 우울, 수면의 질 불안은 0~63점 범위로 평균 10.08±5.75점, 우울은 0~63점 범위로 평균 15.74±6.39점, 수면의 질은 0~21점 범위로 평균 7.40±2.90점으로 측정되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불안, 우울, 수면의 질 불안은 성별(t=-2.775, p=.006)에 있어 남성보다 여성의 불안 정도가 더 높았으며, 스트레스 정도(F=5.306, p=.002)는 매우 많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이 스트레스가 거의 없는 사람보다 불안 정도가 높았다. 우울은 월수입(F=5.807, p=.004)에 있어 100만원 이하인 사람이 300만원 이상인 사람보다 우울 정도가 높았고, 발작빈도(F=3.052, p=.031)에 있어 1주에 수회 이상 발작을 하는 사람이 1년에 수회 발작을 하는 사람보다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면의 질은 동거가족 유무(t=-2.535, p=.012), 항경련제 수(F=3.501, p=.03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동거가족이 없는 사람이 수면의 질이 더 낮았고 2가지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보다 3가지 이상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이 수면의 질이 더 낮았다. 5. 대상자의 불안, 우울, 수면의 질 간의 관계 불안과 우울(r=.627, p<.001), 불안과 수면의 질(r=.252, p=.002), 우울과 수면의 질(r=.231, p=.005)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면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스트레스 정도(β=-.245, p=.002), 교육 정도(β=.203, p=.012)였다.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은 낮았으며 교육 정도에 있어 대졸 이상인 사람보다 고졸인 사람이 수면의 질이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모형은 성인 뇌전증 환자의 수면의 질을 27.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4.311, p<.001).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인 뇌전증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스트레스 정도와 교육 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였다. 따라서 성인 뇌전증 환자의 수면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성인 뇌전증 환자의 수면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