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9 Download: 0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Title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 of nurses' communication style and health literacy on self-care behaviors that elderly diabetic patients acknowledge in comprehensive nursing-care service wards
Authors
임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가간호행위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의 질 높은 자가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Y구 소재 일 대학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만 65세 이상의 노인 당뇨병 환자로, 총 130명을 편의 추출하여 2017년 11월 1일부터 2018년 2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로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정수연(2013)이 개발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김수현(2017)이 개발한 단축형 한국인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 측정도구(S-KFHL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자가간호행위는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김영옥(1998)이 개발한 당뇨병 자가간호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 23.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post hoc,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3.98±6.50세였고, 남성이 52.3%(68명), 중졸 이하가 46.9%(61명)이었고,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는 56.2%(73명)이었다. 대상자 중 44.6%(58명)가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었다. 본인건강에 대하여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46.9%(61명)이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은 대상자가 50.8%(66명)이었다. 대상자는 당뇨병 이외에도 한 개 이상의 다른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96.2%(125명)이었으며, 고혈압이 69.2%(90명)로 가장 높았다. 최근 1년 동안 입원한 대상자는 61.5%(80명)이었고, 대상자의 의료기관 방문 빈도는 년 7-9회가 45.4%(59명)로 가장 높았다. 당뇨병으로 인한 입원 경험은 6.2%(8명)이었고, 당뇨병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64.6%(84명)이었으며, 최근 1개월 동안 저혈당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7.7%(10명)로 나타났다. 2.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 중 평균 3.81±0.45점으로 나타났고, 정보 제공적 의사소통 유형과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은 3.90±0.49점과 3.71±0.50점으로 정보 제공적 의사소통 유형이 친화적 의사소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서 높은 건강정보이해능력(high health literacy)의 수준을 보인 대상자는 50.8%(66명)이었고,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low health literacy)의 수준을 보인 대상자는 49.2%(64명)였다.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 수준은 최소 20점부터 최대 100점이고, 평균 61.18±10.64점이었으며, 5가지 영역 중 약물복용 영역이 4.45±0.3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운동 영역은 2.34±1.00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배우자 유무(t=2.826, p=.005), 동거유형(F=7.236, p<.001), 직업 유무(t=-2.159, p=.033), 당뇨교육 경험(t=1.994, p=.04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정보 제공적 의사소통 유형은 배우자 유무(t=2.027, p=.045), 동거유형(F=4.733, p=.004), 직업 유무(t=-2.146, p=.03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은 배우자 유무(t=3.183, p=.002), 동거유형(F=7.49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성별(t=3.987, p<.001), 연령(F=8.701, p<.001), 교육수준(F=36.034, p<.001), 배우자 유무(t=-3.399, p=.001), 동거유형(F=6.536, p=<.001), 본인건강 지각정도(F=4.887, p=.009), 건강관심정도(F=17.730, p<.001), 당뇨교육경험(t=3.438, p=.001), 월수입(F=16.977, p<.001), 직업 유무(t=-2.079, p=.04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는 교육수준(F=12.404, p<.001), 배우자 유무(t=-3.025, p=.003), 동거유형(F=4.290, p=.006), 본인건강 지각정도(F=3.736, p=.026), 건강관심정도(F=18.65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노인 당뇨병 환자들이 지각하는 간호사의 정보 제공적 의사소통 유형(r=.274, p=.002), 건강정보이해능력(r=.571, p<.001)은 자가간호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건강정보이해능력(β=.361, p<.001), 정보 제공적 의사소통 유형(β=.278, p=.004)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건강관심정도(β=.390, p<.001), 동거유형(β=.201, p=.042), 교육수준(β=.184, p=.022), 성별(β=.162, p=.044)이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총 4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조기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환자와 간호사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환자의 상태, 검사, 투약 등에 대한 간호사의 정보 제공적 의사소통 유형의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정확한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의 측정과 향상이 환자의 자가간호행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중재 방법으로 제시됨에 따라 차별화 된 간호중재 방안을 개발함으로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조기치료 및 간호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communication style and the extent of their health literacy and to discern the impact of nurses’ communication and health literacy on self-care behaviors, as perceived by elderly diabetic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care service wards. Further,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nursing-care service-system environment through high-quality self-management. Research participants were 130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who are older than 65 years and live in comprehensive nursing-care service wards of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Nurses’ communication style, as perceived by participants, was measured by the tool developed by Jung, to assess patients’health literacy,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Test, developed by Kim(2017) and self-care behavior by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Kim(1998) to discern diabetic patients’ self-care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post hoc, and mul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version 23.0. Key study findings follow.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3.98±6.50 of those, 52.3%(68) were male, and 46.9%(61) completed a middle school or lower educational level. Of participants, 56.2%(73) were married and 44.6%(58) lived with their spouses. Of participants, 61 people, 46.9%, considered their health to be average and 50.8%(66) showed high interest in health 96.2%(125) had more than one disease in addition to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was highest, at 69.2%(90). Inpatients in the last year were 61.5%(80) and 45.4%(59) visited a medical institution seven to nine times a year,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6.2%(8) were diabetes inpatients and 64.6%(84) were trained about diabetes, whereas 7.7%(10) experienced hypoglycemia in the most recent month. 2. The average score for nurses’ communication style, as perceived by patients, was 3.81±0.45 of 5.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 and affiliative communication style were 3.90±0.49 and 3.71±0.50 and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 was higher than affiliative communication style 50.8%(66) had high health literacy and 49.2%(64) had low health literacy. Participants’ self-care behavior level ranged from a score of 20 to 100 and the average score was 61.18±10.64. Among five domains, taking medicine was highest with a score of 4.45±0.33 and physical exercise was lowest with a score of 2.34 ±1.00. 3.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emerged in nurses’ communication styles, as perceived by participants, depending on marital status(t=2.826, p= .005), types of cohabitation (F=7.236, p<.001), employment status (t=-2.159, p= .033), and diabetes education experience (t=1.994, p=.048).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rose in nurses’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s, by participants’perception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2.027, p=.045), types of cohabitation (F=4.733, p=.004), and employment (p=.004).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emerged for nurses’ affiliative communication style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3.183, p=.002) and types of cohabitation (F=7.494, p<.001).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rose in participants’ health literacy, depending on gender (t=3.987, p<.001), age (F=8.701, p<.001), educational level (F=36.034, p<.001), marital status (t=‑3.399, p=.001), types of cohabitation (F= 6.536, p<.001), perception of their own health (F=4.887, p=.009), interest in health (F=17.730, p<.001), diabetes education experience (t=3.438, p=.001), monthly income (F=16.977, p<.001), and employment status (t=-2.079, p=.040).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emerged in participants’ self care behavior depending on participants’ educational level (F=12.404, p=<.001), marital status (t=-3.025, p=.003), types of cohabitation (F=4.290, p=.006), perceptional of their own health (F=3.736, p=.026), and interest in health (F= 18.658, p<.001). 4. A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emerged between nurses’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s (r=.274, p=.002) and elderly diabetic inpatients perceptions of health literacy (r=.571, p<.001) and self-care behavior in nursing-care service wards. 5. The most important factor impacting participants’ self-care behavior in nursing-care service wards was an interest in health (β=.390, p<.001), followed by health literacy (β=.361, p<.001),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s (β=.278, p=.004), types of cohabitation (β=.201, p=.042), educational level (β =.184, p=.022), and gender (β=.162, p=.044) and they represented a total of 42.5% of descriptive impact. In this study, results suggested the need for an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between patient and nurse for the early recovery of elderly diabetic patients who are in comprhensive nursing-care service wards. Also, the need emerged for informative communication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between nurses and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s can improve factors. In addition, the measurement and improvement of an accurate health literacy level of elderly diabetic patients is an important intervention method to increase the self-care behavior of patienst. Therefore, by developing a distinguished nursing intervention plan, early treatment of diabetic patients and quality of care may be 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