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9 Download: 0

현대정신분석학과 양자역학으로 본 목회상담의 새 패러다임 연구

Title
현대정신분석학과 양자역학으로 본 목회상담의 새 패러다임 연구
Other Titles
An Interdisciplinary Paradigm for Pastoral Counseling Presented by Modern Psychoanalysis and Quantum Mechanics : One-Mindedness as a Transcendent Position
Authors
정회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정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과학이 현대인의 영성에 줄 수 있는 통찰을 정리하고, 그것의 목회상담학적 의의를 밝히는 데에 있다. 특별히 현대정신분석학과 양자역학의 발견들을 통해 마음의 영성적 측면을 도출할 것이며, 본 연구가 갖는 목회상담학적 의의를 현대목회상담학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세 가지로 설명할 것이다. 먼저 현대 영성에는 두 가지 분명한 흐름이 있다. 첫째는 영성의 탈종교화와 보편화이며, 둘째는 영성에 대한 일반 학문분야의 높아진 관심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맞춰, 현대정신분석학과 양자역학의 논의들이 함축하는 마음의 영성적 측면을 마음의 하나된 측면과 초월적 측면으로 제시하고, 두 측면을 제임스 그롯슈타인의 초월적 자리 개념으로 통합하여, ‘하나된 마음으로서의 초월적 자리’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고 있는 목회상담학적 의의를 목회상담의 세 가지 패러다임, 즉 안톤 보이슨이 제안한 ‘살아 있는 인간문서’로의 패러다임, 보니 밀러-맥르모어가 제안한 ‘살아 있는 인간 망’으로의 패러다임, 마지막으로 ‘살아 있는 인간 망’ 이후의 패러다임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현대정신분석학과 양자역학은, 그 전제에 있어 신과 같은 초월적 존재나 영성을 따로 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음의 영성적 측면에 대해 드러내놓고 논의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학문분야의 발견들은, 기존의 뉴턴물리학적 세계관에 반하는, 마음의 영성적인 측면을 분명하게 가리킨다. 여기서 뉴턴물리학적 세계관이란, 양자물리학이 등장하기 이전의 물리학을 말하는 것으로, 그 세계관은 대표적으로 결정론, 국소성, 객관성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결정론이란 모든 운동은 법칙으로 설명 가능하며, 더불어 한 물체의 초기 조건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물체의 다음 상태를 결정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가정을 의미한다. 국소성이란 만물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는 가정을 지칭한다. 마지막으로 객관성이란 시공간의 물리적 세계는 인간 의식 바깥에, 인간 의식과 상관없이 객관적 세계로 존재한다는 가정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계관은 우리의 사고방식에 깊게 스며들어 있다. 그러나 현대정신분석학의 상호주관성과 양자역학의 실험결과들은, 그러한 사고방식에 반하는 마음의 측면들을 보여준다. 대표적으로 현대정신분석학의 상호주관성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마음이, 물리적 도구를 통하지 않고도 서로 소통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마음의 하나된 측면을 함축하고 있으며, 양자역학의 관찰자 개입 현상은, 물리적 세계의 상태가 인간의 의식에 의해 확정되는 실험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마음의 초월적 측면을 드러낸다. 더불어 이 두 측면은, 하나된 마음으로서의 초월적 자리로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20세기 이후의 목회상담 패러다임에 대해 살펴본다. 첫 번째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록된 문서에서 살아 있는 인간문서로의 변화이며, 두 번째 패러다임의 변화는 살아 있는 인간문서에서 살아 있는 인간 망으로의 변화이다. 마지막 세 번째 변화는 살아 있는 인간 망 이후의 패러다임으로, 이 패러다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뚜렷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회상담학적 의의를, 이와 같은 세 가지 목회상담 패러다임과 관련하여 제시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첫째, 특정 종교의 기록된 문서에 의존하지 않고 영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하나의 학제간 패러다임을 제공하였다. 이는 기독교 영성이 비기독교인에게 소통될 수 있는 기본 바탕을 제공하며, 또한 영성에 대한 학제간 연구를 촉진하는 움직임이 될 것이다. 둘째, 현대 두 학문을 통해 본 연구가 제시한 마음의 비국소성과 물질세계의 비국소성은, 살아 있는 인간 망 패러다임 안에서의 연구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여 그 논의를 풍부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심리내적 모델(살아 있는 인간문서)과 심리외적 모델(살아 있는 인간 망)이 통합된 하나된 마음으로서의 초월적 자리는 살아 있는 인간 망 이후의 목회상담 패러다임을 암시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insights can contemporary science give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spirituality? Second, what kind of insights can an interdisciplinary study give to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Concerning the first question, this study specifically looks into the contemporary findings and discussions among the two fields of modern psychoanalysis and quantum mechanics and explain how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human mind can be derived from the findings of these two fields. Moreover, in terms of the second question, its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will be given according to the three major changes found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after 20th century. When it comes to contemporary spirituality, there are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irst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de-religionized and therefore, more and more generalized. Second, contemporary science shows more and more interest in the subject of spirituality. Concerning this current tendency, the thesis, which aims at deriving spirituality of the mind from the findings of contemporary science and explaining its implications on pastoral counseling can never be more proper and timely. Even though neither the field of modern psychoanalysis nor the field of quantum mechanics has any premise on spirituality or a transcendant Being, their contemporary findings do obstinately point to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human mind. In this thesis,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human mind mean, first, its one-mindedness which represents that our minds are connected beyond our separate bodies, and second, its transcendence which represents that the states of the physical world are actually determined by the human consciousness. Through the first two chapters of the body, it will be explained how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human mind can be derived from each field, specifically the intersubjectivity in modern psychoanalysis and the quantum measurement problem in quantum mechanics. And through the concept of transcendent position presented by James Grotstein, these two characteristics will be integrated into our minds’ “one-mindedness as a transcendent position.”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pastoral counseling will be explained according to the three major paradigms in the field of 20th pastoral counseling. Those are as follow: first, ‘the living human document’ presented by Anton Boisen, second, ‘the living human web’ presented by Bonnie Miller-McLemore, and third, the paradigm after ‘the living human web.’ First of all, concerning the first paradigm, this thesis presents an interdisciplinary paradigm where spirituality can be discussed without relying on any religious document or tradition. It will eventually provide a method for pastoral counselors to talk about Christian spirituality to non-Christians and moreover, will promote more vigor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spirituality. Second of all, this thesis provides theoretical explanations for the studies within ‘the living human web’ and therefore enriches its discussions through the findings of non-locality both in the human mind and the physical world. Third of all, by proving that there is a position in our mind which transcends the physical world, this thesis provides a perspective where two major studies(one on the human document and the other on the web) can be integrated into one paradigm. And this new position of the mind suggests how the paradigm will manifest itself from he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