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최수현-
dc.creator최수현-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58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5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5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6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중재 연구를 분석하여 참여자의 연령에 따른 심리적 외상의 회복 단계별 중재의 내용, 활동논거, 활용된 음악 등 심리적 외상치료를 위한 음악중재의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기간을 산정하지 않고 2018년 4월까지 시행된 선행연구 23개를 선정하였으며 심리적 외상의 회복 단계별 음악중재를 분석하기 위하여 외상의 회복 단계를 안정화 단계와 외상기억의 재구성 단계로 설정하고 단계별 음악중재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23편의 연구에서 참여자의 안정화단계를 목표로 진행 한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안정화 단계 이후, 외상기억의 재구성과 관련한 중재가 시행된 연구도 10편(43%)으로 나타났다. 아동 및 청소년 내담자의 중재초기에 안정감과 신뢰감 확보를 위하여 주로 노래 부르기가 활용되었으며 성인 및 노인대상 중재에서는 즉흥연주, 노래 부르기, 언어적 개입 등 더욱 다양한 중재방법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안정화 단계를 위하여 전 연령대에서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그 중에서도 즉흥연주와 개사하기, 노래 만들기 등의 표현적인 활동이 주로 활용되었다. 수용적인 활동으로 가사토의나 음악감상, GIM 등이 활용되기도 하였다. 외상성 기억을 떠올리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즉흥연주나 개사하기 등이 활용되었으며 음악과 심상을 활용하여 외상성 기억을 간접적으로 다루기도 하였다. 외상기억 재구성 단계에서는 노래 만들기, 개사하기와 같은 창조적 활동이 주로 활용되었으며, 이 단계에서 세션 내 그룹의 역동이나 사회적 지지가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에서 활용된 음악은 의미 있는 가사나 활동을 위한 구조 등이 고려되었으나 논거에 대하여서는 언급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상경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음악중재를 외상치료의 단계에 따라 분류하고 중재 내용을 분석하여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중재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심리적 외상 중재에서 특별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나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한 초점화 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al intervention study for people who were traumatized and to ensure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for traumatic treatment such as the contents of intervention by recovery stages according to the age of participants, activity arguments, applied music, and security of stability and confidence for client in the early stage of intervention. In this study, 23 preliminary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stages of trauma treatment were set as stabilization stage and remodeling stage of traumatic memory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ll studies of the domestic trauma victims, therapeutic intervention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stabilization stage of the client, and in addition, 10(43%)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traumatic memory. In the early stage of intervention of children and teenagers, singing was mainly used to secure stability and confidence. Also, more various mediation methods were used for intervention of adults and the elderly such as improvisation, singing, and verbal intervention. For the stabilization stage of the participants, arbitration was carried out mainly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control among the entire age group, including improvisation, rewriting lyrics, and making songs. As an acceptable activity, song discussions and listening music GIM were used. To recall traumatic memories,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improvisation MI and rewriting lyrics were directly used to remind traumatic memories or indirectly handle traumatic memories by using music and images. In the work related to reconstruction of traumatic memories, creative activities such as making songs and rewriting lyrics were mainly used, and it showed the most use of social support in the group. Meaningful lyrics or structure for activities was considered for music used in the intervention, but the argument was often not mentio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musical interventions aimed at people who were traumatiz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trauma treatment and analyze the arbitration content to provide interventional-related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at clinical sites. Also, Also, it is meaningful that more focused intervention should be don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such as the items to be considered in psychological trauma intervention and the stage of recove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A. 심리적 외상 7 1. 심리적 외상의 정의 및 개념 7 2. 심리적 외상의 원인 및 유형 8 3. 심리적 외상의 증상 및 영향 12 B. 심리적 외상을 위한 중재 14 1. 심리적 외상을 위한 치료적 중재 14 2. 심리적 외상의 회복 단계 16 C. 심리적 외상 중재와 음악치료 19 Ⅲ. 연구방법 22 A. 분석 대상 22 B. 분석 절차 25 C. 분석 기준 및 항목 26 D. 자료 처리 33 Ⅳ. 결과 및 논의 34 A. 결과 34 B. 논의 62 Ⅴ. 결론 및 제언 65 A. 결론 65 B. 제언 67 참고문헌 69 부록1. 분석대상연구 79 부록2. 분석대상 제외 연구 81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76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심리적 외상 치료를 위한 음악중재 연구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Music interventions Studies Focusing on Psychological Trauma-
dc.creator.othernameChoi, su hyun-
dc.format.pagev, 84 p.-
dc.contributor.examiner이진형-
dc.contributor.examiner송인령-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