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2 Download: 0

국내·외 호흡재활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 활동 및 치료 논거 분석

Title
국내·외 호흡재활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 활동 및 치료 논거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Music Application and Therapeutic Rationale in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Authors
이승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외 호흡재활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 28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연구 특징과 음악 활동 내용 및 치료 논거를 분석하였다. 국내·외 연구를 대상으로 1999년부터 2018년 5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연구를 포함하여 국내·외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 및 현황, 연구 참여자의 진단명, 종속변인, 호흡재활을 위해 사용된 주요 음악 활동 및 중재의 내용과 치료 근거를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분석 연구에서 가장 많은 연구 참여자의 진단명은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천식이었는데 국내에서 이루어진 호흡재활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에서는 호흡기에 직접 문제가 있는 이러한 진단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행되지 않았다. 국내에서 진행된 호흡재활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은 음악치료에 국한되어있었으나 국외에서는 의학, 간호학, 물리치료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음악 활동을 통한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진행해왔음이 나타났다. 분석 연구에서 호흡재활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한 활동은 노래 부르기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호흡재활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에서 호흡 기능과 연관 있는 음악 요소, 실제 활동 내용, 적용 원리를 제시한 연구는 12편이었으며 해당 연구들에 대한 추가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중 8편의 연구들은 음악치료에 학문적 바탕을 둔 연구자에 의한 연구였으며 4편의 비 음악치료에 학문적 배경을 둔 연구에 비하여 음악 요소와 관련된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자세히 기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취주 악기 연주 활동을 수행한 연구들의 공통점으로는 리듬을 관련 음악 요소로 보고했으며 특정 주법을 구체적 활동 내용에 서술하였고 노래 부르기 활동을 수행한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음악 요소는 악구였으며 끊어 부르기, 악센트, 음고 조절 등을 실시했다고 보고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호흡재활을 위하여 음악 활동을 사용하고자하는 음악치료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배경에서 진행된 음악 중재 연구에 대한 방향성과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중재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reviewed 28 studies published from 1999 to May 2018 and analyzed content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f music intervention and therapeutic rationale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The study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e of included studi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ependent variables and types of music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music application and the therapeutic rationale of music and music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inging was the most used music activities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asthma were major clinical diagnosis in respiratory rehabilitation using music activities in included studies. However, the interventions for these research participants were only held in foreign countries.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the range of participant’s diagnosis and discipline was limited in domestic research. The music application and therapeutic evidence were more descriptive in studies researchers conducted by music therapy field. Especially, they gave detailed correlation between mechanism of respiration and music activities and musical elements such as, tempo, phrase, rhythm. There were 12 selected studies which were high ratings on the description of intervention components, musical elements and respiratory mechanism. Among these studies, eight studies were conducted by researchers whose academic backgrounds were music therapy and these presented more detailed music applications related to musical elements. In terms of music application, selected studies which conducted playing wind instruments for main activity stated specific playing technique such as staccato technique related to rhythm and other studies which conducted singing for main activity stated specific singing methods related to phrase.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music application and these rationale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