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국내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가창 중재 연구 고찰

Title
국내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가창 중재 연구 고찰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Use of Singing in Intervention Studies for Language Development for Domestic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ren
Authors
이찬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 대상 언어발달을 위한 가창 활용 중재 연구에서 학문적 배경에 따라 가창 활용 방법과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노래 부르기가 활용되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여, 언어발달에 가창 활동이 효과적인 치료 매개체로 적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분석 대상 선정기준에 적합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중재연구 29편을 최종으로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 중재 특성 및 종속변인에 따른 중재 내용 분석과 노래선정 기준, 활동 논거 기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해 가창 중재가 음악치료 이외의 언어치료, 특수교육 분야에서도 치료적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각 학문 분야에 따라 각각의 치료적 원리로 다양한 접근 방법들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음악치료분야에서는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자가 직접 자작곡한 노래를 라이브로 제공한 형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음악치료 외 분야에서는 가사 및 선율의 반복성, 단순성 등의 기준을 가지고 노래를 선정하여 녹음된 기존 음악활용이 중재에 많이 적용되었다. 중재 내용에서는 수용언어 향상을 위해 음악치료 분야에서는 노래부르며 몸동작하기 활동이 많이 적용된 반면, 이외 분야에서는 보조 자료를 사용과 가사 반복 따라 읽기를 통해 어휘 내용 이해하는 활동이 주로 이루어졌다. 표현언어에서는 전반적으로 문답형 노래부르기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분야별 차이로는 음악치료분야에서 가사토의하기, 발성을 통해 음고 변화 표현하기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고,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한소절씩 번갈아 부르는 선창-후창 노래부르기를 통해 아동이 자발적으로 언어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음악치료 외 분야에서는 언어 기능 발달을 위해 가창 활동이 사용된 논거보다는 아동들의 흥미, 학습동기 유도를 위해 가창 활동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29 intervention studi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analysis target, and the analysis of interven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inging in intervention was used as a therapeutic medium in the field of language therapy and special education, other than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the existing song provided by the researcher himself live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In the mediation, music therapy was used to sing and work in order to improve the language of acceptance, while other areas mainly understood vocabulary contents by using supplementary materials and reading along with the lyrics. A number of interrogative singing programs were performed in the language of express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field were to discuss lyric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to sing a song through voice, and to express changes. In addition, outside of music therapy, the vocal activity was engaged to induce children's interest and motivation rather than the case on which the singing activity was used to develop the language fun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