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6 Download: 0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랜드마크 건축물의 미디어사파드 디자인 연구

Title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랜드마크 건축물의 미디어사파드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dia Facade Design of Landmarks to Improve City Image : The Case of Sewoon Plaza
Authors
김정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고기영
Abstract
세계화와 도시화, 제조업 쇠퇴 국면 속에서 도시 정부가 중심이 되어 자본 유치 및 방문객의 유치 등을 위해 도시의 공간을 판매하고 있다. 다른 도시와는 차별화되는 이미지, 도시 정체성을 구축하는 일이 도시의 경쟁력이 되었으며 이를 위해 랜드마크 건축물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자는 두바이 버즈칼리파, 호주 오페라 하우스는 도시의 랜드마크 건축물이며 미디어파사드가 더 기억에 남는 랜드마크 건축물임을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파사드의 랜드마크로서 특성을 활용하여 도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도시의 가치를 창출 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랜드마크 건축물 개발의 타당성과 미디어파사드의 역할을 밝히고, 미디어파사드의 디자인 경향과 표현 방식을 적용하여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목표로 본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 되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용어 정의를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준거가 되는 랜드마크 건축물 개발의 타당성과 미디어파사드의 역할을 밝히고, 디자인 연구에서 적용할 미디어파사드의 디자인 경향과 표현방식을 문헌과 사례를 근거로 연구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랜드마크 건축물의 미디어파사드 사례 연구를 통해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현황 파악과 디자인 연구 시 고려 할 사항을 밝히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응용연구의 과정으로 도시 이미지 개선이 필요한 세운상가를 디자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여 기존 건축물에 미디어파사드의 디자인 경향과 표현방식을 적용한 디자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한계점과 의의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랜드마크 건축물은 도시 이미지를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 중 도시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영향력이 큰 요소이며, 다른 요소에 비하여 독립적인 특징을 갖기 때문에 개별적 개발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랜드마크 건축물 개발을 통한 도시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미디어파사드는 건축 형태, 재료, 시각 메시지가 일체화 된 컨텐츠를 통해 도시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컨텐츠는 공간 이미지와 스토리가 결합되어 도시 이용자의 감성과 심리적 기대에 따라 활동 정서를 확장 시킨다. 앞으로의 랜드마크 건축물은 건축 파사드와 미디어의 일체화 경향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활용하여 도시 이용자의 시간과 상황에 따른 다양한 감성과 심리적 기대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디자인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도시 이미지 개선이 필요한 세운상가의 디자인 연구 과정에서 경관조명의 부재로 도시 이용자의 활동 패턴에 따른 야간 이용자의 활동정서를 만족 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관조명 측면에서 미디어파사드 디자인을 계획하여 기존 건축물과 컨텐츠가 일체화된 미디어파사드 시스템 환경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건축물을 활용해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이미지로 새로운 정체성 확보와 이용자의 다양한 감성과 심리적 기대에 따른 활동 정서를 제공한 디자인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미디어파사드의 디자인연구를 통해 미디어파사드의 연구 범위를 확대 시켰다는 점과 현장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고자 한다.;In the decline of globalization, urbanization and manufacturing, the city government takes the leads in selling the space of the city for attracting capital and visitors. The construction of image and urban identity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cities has become a competitive power of the city,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landmark buildings has emerged. This researcher noted that Dubai Buzz Khalifa and the Australian Opera House are the landmark buildings which makes media facade more memor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ity and to create the value of the city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as the landmark of media fa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landmark architecture development and the role of the media facade and to present the media facade design model to improve the urban image by applying the design trends and expression method of the media facade.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In Chapter I,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nd the definitions of terms. In chapter Ⅱ,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landmark architecture and the role of the media facade,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tudy, were investigated. The design tendency and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media facade applied in design research were studied bas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n chapter Ⅲ, I tried to show the media facade design status and to consider the points to consider in design research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media facade of landmark buildings. In chapter IV, Sewoon Plaza, which needs improvement of urban image, was selected as the target of design study, and a design model applying the design trend and expression method of media facade to existing buildings was presented. In chapter V, describes the conclusion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ndmark architecture is an influential factor in recognizing the city among the physical elements constituting the urban image, and it can be developed independently because it has independ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facto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rban image through development of landmark architecture. Second, the media facade conveys the message of the city through the integrated contents of architecture form, material, and visual message. Content is combined with spatial image and story to expand activity emotion according t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pectations of city users. The future landmark architecture should be designed to satisfy various emotions and psychological expectations according to the time and situation of city user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tendency of the architectural facade and the media. Third, in the process of design research of Sewoon Plaza, the problem was found that the nighttime user's activity emotion can not be satisfied according to the activity pattern of the urban user because of the absence of landscape illumination. In the aspect of landscape lighting, the media facade design was planned to provide a media facade system environment in which existing buildings and contents were integrated. Through this, a design model that provides new identity with contents image based on media using existing buildings and provides activity emotion according to user's various emotions and psychological expectations was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scope of media facade research through the design research of the media facade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field uti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