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1 Download: 0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관리자 코칭리더십의 매개효과

Title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관리자 코칭리더십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ed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in the Context of Professional NPO Fundrais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uthors
이경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In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of today, the learning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pursing two objectives, individu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is situation, the self-directed informal learning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 is emerging as a way of achieving these two objectives. Also, the coaching leadership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to solve their problems and develop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is emerging while pursuing learning transfer which is the ability of learners to apply the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 acquired in a learning event to the job, with a resulting improvement in job performance. This is highly recommended to the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who don’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have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Republic of Korea. Recently, with a continuous growth of fundraising activities and social contribution of NPOs, there is a movement in the both political and academic worlds to standardize and implement these methods. Also, the importance of learning in the fundraising field of NPOs is being emphasized. However, the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heavily rely on learning know-how over time and conducting self-directed learning rather than obtaining professional degrees by completing authorized training courses or having systematic training support related to fundraising. It means that the informal learning which addresses immediate learning needs at work and the coaching leadership which promotes growth and learning based on belief in potential capabilitie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be a realistic alternative for human recours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tudies attempting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and coaching leadership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tudies involved with NPO due to being a special area and professional fundraiser which is also a special occup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give a detailed descrip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by verifying the predictive power of informal learning on learning transfer and the mediated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f managers involved in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tudies related to informal learning and coaching leadership and give a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ethods and leadership in the fundraising field of NPO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Question 1. Does informal learning of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predict learning transfer? Question 2. Does manager’s coaching leadership perceived by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urveyed 200 professional fundraisers of 5 NPO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5 February to 31 March 2018 for about 8 weeks in person and 179 valid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 final analysis.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drawn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of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learning transfer showed that the sub-variables of informal learning: learning with others, self-examination, and environmental scanning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transfer.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nformal learning is an effective way to apply the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 to the job and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the analysis of the mediated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perceived by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showed that each of sub-variables of coaching leadership: direction, accountability, and relationship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sub-variables of informal learning: learning with others, self-examination and environmental scanning and learning transfer.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coaching leadership is the process of informal learning which enables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be consciously aware of what they experienced and learned in the past and develop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Also, this can be interpreted coaching leadership has an effective role in increasing learning transfer by promoting informal learning and supporting the strength development of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n the process of helping them evaluate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These findings show that it is required to have more interest and support to increase learning transfer of professional NPO fundrai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other h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0 fundraisers who are mainly in charge of requesting donations to the public from 5 NPO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ut of 4,120 NPO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generalization, follow-up studies need to consider fundraising volumes and various fundraising roles as well as expanding the research area to the rest of the Republic of Korea. Second, this study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This could introduce the possibility to overlook the error between the level of self-recognition by the respondent and the real standar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use a variety of measurement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same survey measurement to measure independent, mediator and dependent variables from the same responde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ould result in overestimation by the common method bias. To decrease errors from the common method bias, it is necessary to use a variety of measurement methods such as interviewing, evaluating others, providing a free independent response environment and changing respondents in the future research. Fourt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mediator variable of coaching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ther mediator, moderator and extraneous variables exist in addition to coaching leadership.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sider various variables that may affect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and expand the research model. Fifth, this study selected and used variables of informal learning and coaching leadership which have been theoretically verified by advanced research. However, it is required to conduct various studies by devising and including other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verified variables.;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과 조직의 학습은 개인의 발달과 조직의 성과 향상 두 가지 목적을 함께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오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학습 방법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인 무형식학습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학습을 통하여 획득한 지식, 기술, 태도의 현업 적용도 즉 학습전이 및 성과 향상을 도모하는 가운데 조직 구성원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잠재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코칭리더십 또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체계적인 교육 훈련 기회가 부족한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 국내 비영리기관의 모금활동과 사회공헌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이를 정착시키고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학계와 정계, 현장 등에서 나타나고 있고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 분야에 있어서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인력은 모금기관에서 모금 업무를 일정 기간 담당해온 사람들로 모금과 관련된 전문적인 학위과정 및 공인된 교육과정을 이수하였거나 체계적인 교육 지원을 받았다기 보다는 시간의 경과 속에 나름대로 노하우를 터득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활동을 수행해나가는 방법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 이는 일터에서 즉각적인 학습 요구를 해결하는 무형식학습과 조직구성원의 잠재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성장과 학습을 촉진하는 코칭리더십이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들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무형식학습과 코칭리더십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비영리기관과 모금전문가라는 특수한 영역과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학습전이에 대한 무형식학습의 예측력과 관리자 코칭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 분야에서 무형식학습과 코칭리더십의 효과성을 입증하여 무형식학습과 코칭리더십 관련 연구 확산에 기여하고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 분야 학습 방법 및 리더십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의 무형식학습은 학습전이를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가 인식한 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은 이들 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상기의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국내 서울 수도권 소재 5개 비영리기관의 모금부서 소속 모금전문가 2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5일부터 3월 31일까지 약 8주간 직접방문을 통한 설문을 시행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 설문지 179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적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분석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형식학습의 하위변인인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은 학습전이를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금전문가가 무형식학습을 통하여 획득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이 업무 적용도, 즉 학습전이에 있어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무형식학습이 소속 기관 및 개인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모금전문가가 인식한 관리자 코칭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코칭리더십의 하위변인인 방향제시, 수행평가, 관계는 무형식학습의 하위변인인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모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과거 경험이나 학습된 내용을 의식적으로 자각하게 하여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무형식학습의 과정이며 코칭리더십이 모금전문가의 잠재역량을 스스로 최대한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에서 모금전문가의 무형식학습을 촉진하고 강점 개발을 지원하며 학습 동기를 부여해줌으로써 학습전이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내 비영리기관 모금전문가 학습전이 증진을 위해서 무형식학습과 코칭리더십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모금활동을 수행하는 국내 비영리기관 4,120개 중 서울 수도권 소재 5개 비영리기관에 소속되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기부를 요청하는 역할을 주요 역할로 수행하는 200명의 모금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정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모금 규모와 다양한 모금 역할을 고려하고 전국으로 연구 영역을 확대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자기보고식(self-report)설문 형식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응답자 스스로가 인식하는 정도와 실제 수준 간의 오차를 간과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 형식 외 심층면접, 관찰 등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예측변인, 매개변인, 그리고 결과변인이 모두 설문 형식이라는 동일한 측정도구와 동일한 응답원에 의해 측정되었다는 점에서 변인 간의 관계가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로 인해 과대평가 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면접, 타인에 대한 평가 진행, 독립된 공간에서 자유로운 응답 환경 제공 등 각 변인의 측정 방법과 응답자를 달리하는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을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코칭리더십 외 다른 매개변인, 조절변인, 외생변인 등으로 작용하는 변인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연구 모형을 확장해나갈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으로 검증된 변인들을 무형식학습 및 코칭리더십의 하위변인으로 선택하여 활용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이론적으로 검증된 변인들 외 다른 변인들을 고안 및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볼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