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미-
dc.contributor.author박희수-
dc.creator박희수-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50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5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3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3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648-
dc.description.abstract가정폭력은 가정 내의 사적인 문제로 공권력의 개입이 꺼려져 왔으나, 1980년대 여성운동의 성장에 힘입어 점차 범죄라고 인식되었다. 그에 따라 1997년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시행되기에 이르렀다. 그 후 20여 년 간 가정폭력에 관한 두 특별법은 새로운 제도의 신설과 개정을 거듭하며 발전되어 왔고, 가정폭력 분야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함께 축적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가정폭력 범죄의 ‘처리절차’에 주목하였다. 그 동안 응급조치, 임시조치, 긴급임시조치, 피해자보호명령 등 피해자의 보호를 위한 각종 조치들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피해자가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는 것은 가정폭력 범죄의 처리절차 자체의 문제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응급조치의 경우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폭력행위 제지 및 가정폭력 행위자와 피해자의 분리조치를 하여야 하나, 가정폭력 행위자가 거부하는 경우 이를 강제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임시조치와 긴급임시조치의 경우 사법경찰관의 신청에서부터 법원의 결정에 이르기까지 긴 절차를 거치는 동안 결정의 적시성을 상실하는 문제, 위반 시 과태료 규정만을 두고 있어 제재로서의 실효성이 적고 금전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피해자에게 전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경찰에게 응급조치를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임시조치 및 긴급임시조치의 벌칙규정을 강화하는 한편, 가정폭력전담재판부를 설치하여 가정폭력에 관한 모든 사건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렇듯 검찰 중심의 형사절차에서 법원 중심의 민사절차로 개선하고, 나아가 가정폭력에 관한 두 특별법을 일원화한다면, 「가정폭력방지법」상의 제도들이 사법절차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피해자의 보호·지원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Public authority has been reluctant to intervene in domestic violence because it is a private matter in the home, but domestic violence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crime, supported by the growth of the women's movement in the 1980s. As a result,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Crimes” an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Victims Protection” were enacted and enforced in 1997. Over the next two decades, two special acts on domestic violence have been developed and renewed, and various studies on domestic violence have been accumulated.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dures of handling”domestic violence crimes in particular. In the meantime, various measures have been taken to protect victims, such as emergency measures, temporary measures,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victim protection orders. However, it is analyzed that victims are still not sufficiently protected due to the problem in the procedures of handling domestic violence crimes. In the case of emergency measures, police officers who have been dispatched to the scene should take measures to restrain violent acts and separate persons who commit domestic violence from victims, but the police officers cannot force the wrongdoers to be separated if they refuse it. In the case of temporary measures and urgent temporary measures, while going through a long procedure from application of the judicial police officer and a decision made by a court, the decision loses its timeliness. Furthermore, since there is only regulations imposing a fine for violations, it is less effective as a sanction, and the monetary burden is substantially transferred to the victim.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giving the police the authority to enforce emergency measures and strengthening penalty provisions of temporary measures and urgent temporary measure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exclusive courts for domestic violence shall be established so that all cases of domestic violence can be handled in an integrated manner. If the prosecution-oriented criminal procedures is improved to be a court-oriented civil procedures, and the two special acts on domestic violence are unified, systems of“The Act on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will be organically linked with the judicial procedures to reinforce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victi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구성 3 C. 연구방법 4 Ⅱ. 가정폭력처벌법상 가정폭력 범죄의 처리절차 5 A. 가정폭력처벌법 개관 5 1. 입법배경 및 주요내용 5 2. 가정폭력처벌법의 적용범위 6 3. 가정보호사건 8 B. 가정폭력 범죄의 처리절차상 문제점 9 1. 처리절차 개관 9 2. 경찰 단계 10 3. 검찰 단계 13 4. 법원 단계 16 C. 소결 24 Ⅲ. 가정폭력 범죄의 대응에 관한 외국 입법례 26 A. 개관 26 B. 주요 내용 27 1. 미국 27 2. 영국 30 3. 독일 34 4. 호주 37 5. 일본 39 C. 소결 41 Ⅳ. 가정폭력 범죄의 처리절차 개선방안 43 A. 법의 목적과 인적 규율범위 수정 43 1. 피해자의 보호로 법의 목적 일원화 43 2. 법의 적용대상 확대 45 B. 응급조치 46 1. 경찰의 권한 강화 46 2. 응급조치 단계에서의 가정폭력 재범위험성 조사표 활용 49 C. 임시조치 및 긴급임시조치 58 1. 불이행에 대한 벌칙 강화 58 2. 신청주체 확대 및 법원 중심으로 절차 개선 60 D. 가정폭력전담재판부 설치 64 1. 운용사례 64 2. 가정폭력전담재판부의 처리절차 67 3. 효과 68 E. 가정폭력에 관한 두 특별법의 일원화 69 F. 소결 71 Ⅵ. 결론 73 참고문헌 76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04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가정폭력 범죄의 처리절차 개선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피해자보호절차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 82 p.-
dc.contributor.examiner정현미-
dc.contributor.examiner강동범-
dc.contributor.examiner조균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