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2 Download: 0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 그리고 그 대응방식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 그리고 그 대응방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wareness of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Class’ and Ways of Dealing with Them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uthors
이수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혜영
Abstract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인재 양성을 위하여 초등학교부터 영어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바람직한 영어교사의 자질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수업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해석되고 실행되는 맥락이기 때문에 교실 사태의 복잡성과 변화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우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 어려움, 그에 대한 대응방식, 그리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의사결정을 할 수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영어수업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그러한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교사들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영어수업의 어려움’이란 영어수업을 계획, 실행, 반성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수업 내․외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경험하는 영어과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한 곤란함이나 어려운 처지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 그리고 그 대응방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수집 절차를 거쳤다. 우선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교사의 관심의 발달, 영어수업 전문성, 영어수업 어려움의 개념과 특징에 관하여 고찰한 후 ‘수업의 요소 및 영어 수업전문성 기준’을 바탕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영어교육 경험 여부, 영어교육경력 3년 이상 여부에 따라 연구 참여자들을 네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별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1, 2차 면담은 영어수업 어려움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과 영어수업 어려움을 유발하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질문하였고, 3차 면담에서는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대응방식을 탐색하였다. 각 집단에서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을 개념도로 나타냈고, 영어교육 경력에 따라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처하는 대응방식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은 크게 ‘교사의 영어활용능력 차가 크며 원어민과 협력해야 한다’, ‘개별 학생의 영어수업에 대한 수준 차가 크다’, ‘영어수업은 흥미롭지만 유의미하게 계획하고 상황을 고려하여 실행해야 한다’의 세 군집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수업의 어려움을 집단별로 살펴보면, 교원양성기관에서 영어교육을 받았고 영어교육 경력도 3년 이상인 A집단과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영어교육 경험은 없으나 영어교육 경력은 3년 이상인 C집단은 초등교사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영어수업 어려움과 같은 형태로 나타났다. 반면, 교원양성기관에서 영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지만 영어교육 경력이 3년 미만인 B집단은 교사․학생․원어민 교사와 같은 인적 요인, 학습의욕을 고려한 평가와 피드백, 교육과정․학생이나 학급의 특성 등을 고려한 수업 계획 순으로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영어교육 경험이 없고 영어교육 경력이 3년 미만인 D집단은 영어수업을 위한 전문성을 쌓기 위한 교사의 노력, 효율적인 수업 운영을 위한 규칙과 질서의 정립, 수준별 수업의 운영,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거나 학습동기유발을 하기 위한 학습분위기 조성 순으로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영어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경험이 없는 교사들에 비해 ‘개별 학생의 영어수업에 대한 수준 차가 크다’와 ‘영어수업은 흥미롭지만 유의미하게 계획하고 상황을 고려하여 실행해야 한다’에 대해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교육 경력이 3년 미만인 교사들은 3년 이상인 교사들에 비해 모든 군집에 대해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어교육 경력이 3년 미만인 교사들이 제시한 영어수업 어려움 상황은 초등교사가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3가지 군집과 8가지 세부 요소로 구분하여 12가지 유형, 25가지 상황으로 제시하였다. ‘영어와 교사’와 관련된 영어수업의 어려움 상황은 ‘동료교사와의 협력’,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 ‘영어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한 노력’, ‘교실영어 사용’, ‘교사의 수준 높은 영어활용’과 관련된 상황으로 나타났으며, ‘영어와 학생’과 관련된 영어수업의 어려움 상황은 ‘수준별 수업’, ‘학생 및 학급 특성 이해’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어와 수업’과 관련된 영어수업의 어려움 상황은 ‘교육과정을 활용한 수업 계획’, ‘학습동기유발 및 학습 분위기 조성’, ‘계획과 실행의 괴리’, ‘학생 반응에 대한 대응’, ‘차시별·영역별 평가’의 형태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교육 경력에 따라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영어교육 경력이 낮은 교사들은 스스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교사 중심의 대응을 하는 편이지만,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저경력 교사들에 비해 동료교사나 학습 공동체, 혹은 학생들의 도움을 통해 어려움에 대응하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변인에 따라 인식하는 영어수업 어려움의 유형에 따라 영어수업에 대한 관심 분야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원양성기관에서 영어교육을 받았던 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은 대부분 ‘학생’요인에서 기인하였다. 이것은 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지식 측면이 아니라 개별 학생에 대한 이해, 학급운영 및 교수기술과 관련된 개념을 의미한다. 하지만 교원양성기관에서 영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어수업 어려움은 대부분 ‘효율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은 영어수업의 목적이나 방법보다는 본인의 영어수업이 학생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어려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영어교육 활동을 둘러싼 요소들에 대해 어떻게 유연성을 발휘하느냐와 관련된다.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어수업 어려움은 ‘생태적 측면’즉 환경요인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근무하는 학교환경과 가르치는 학생과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에서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영어수업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과 대비되는 측면이다. 영어교육 경력이 낮은 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어수업 어려움은 ‘교사’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은 교사의 ‘자기 이해’와 관련된 측면으로, 교사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교사효능감, 가치관이나 신념체계, 전문적 성장에 대한 적극성 등이 포함된다. 둘째,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해 영어교육 경력이 낮은 교사들은 ‘교사 자신을 향한 것’을 중심으로 대응하려고 하지만,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교사 자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것’을 통해 대응하고자 한다. 영어교육 경력이 낮은 교사들은 스스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교사 중심의 대응을 하는 편이지만,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저경력 교사들에 비해 동료교사나 학습 공동체, 혹은 학생들의 도움을 통해 어려움에 대응하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경력이 낮은 집단은 기술적 반성과 해석적 반성을 주로 하고 발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해 교사 자신에 중심을 두어 대응방식을 찾으려고 하는 반면에,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집단은 ‘생태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높고 비판적 반성을 주로 하기 때문에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외부에서 찾으려고 한다. 셋째,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경험이 축적되면서 신장된 영어수업 전문성을 바탕으로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응한다. 저경력 교사들은 영어수업의 어려움 상황에 대하여 수업전문성의 일부만을 활용하여 대응한다. 또한 수업전문성을 활용하여 대응하는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고경력 교사들은 저경력 교사들에 비해 다양한 유형의 수업전문성을 해당 어려움에 대한 대응에 활용한다. 넷째, 전문적인 대화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영어교사교육이 개선되어야 한다. 영어수업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 상황은 교원양성기관이나 교사를 재교육하는 과정에서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야 한다. 또한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반성적 영어수업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수업 컨설팅이나 멘토링과 같은 공식적인 제도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편안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비공식적인 학습 공동체 활동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다른 교과에 비해 특히 영어교과를 가르치는 것을 두려워하고 경력교사라고 하더라도 영어수업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영어교과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영어수업과 관련된 교사 요인, 학생 요인, 수업 요인으로 인한 어려움이 교사의 관심의 발달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복합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 발달, 역할의 발달, 문화 발달의 측면을 고려하여 교사가 스스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자신의 성취에 대한 목표를 정하고 전문성 발달을 위한 노력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사 개개인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연수나 컨설팅, 멘토링 등의 공식적 지원과 상호작용을 통한 관계를 형성하여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비공식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영어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이나 교사교육에 대한 해법은 교실 수업을 통해 찾아야 한다. 영어수업에 대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이론적 지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고취시키는 교사교육이 밑바탕 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이를 실제 수업이 이루어지는 맥락에 따라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탐구의 장을 마련하여 교사가 수업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수업행동을 개선하고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개념도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자가 응답한 내용을 핵심 문장으로 추출하는 작업에 일부 분석팀과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화에 대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더욱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하여 개념도 방법에서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 작업 결과 나타나는 양적 통계에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realistic idea and solution about suppor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analyzing their difficulties with teaching and treating method in English class. Since previous researches about English class have paid attention to anxiety, we need to focus on complexity in English class.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class’ means feeling embarrassment or experiencing difficult situation about goals,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s of English class that teachers feel becaus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class. To analyze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 during English class and their treating method, 22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o collect their responses for a qualitative study about occurrence context, causes, and responds. The 1st and 2nd interviews were about general difficulties and specific situations where the difficulties occur, and the 3rd interview was about teachers’ treating method for the difficult situations.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class of each group was presented by a way of concept mapping, and the treating method of difficult situations were analyzed by Nvivo.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3 common facto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knowledged about English class: cluster 1 as‘Teachers' English competency is different and they have to cooperate with native teachers', cluster 2 as‘The level difference of students in English class is huge’, and cluster 3 as‘English class should be interesting but meaningful and it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class environment'. The group who received education from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has 3 years or more English education career is shown with the same result. And the group who didn’t receive education from teacher training institute but has 3 years or more English education career is also the sam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4 factors aware by the group who received education from teacher training institute but has less than 3 years English education career in English class, found in cluster 1 as human factor, in cluster 2 as setting atmosphere, in cluster 3 as assessment and feedback, in cluster 4 as class planning difficulties. And there are 4 factors aware by the group who didn’t receive education from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has less than 3 years English education career, found in cluster 1 as teachers’ effort for professionalism, in cluster 2 as making rules and regulations, in cluster 3 as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cluster 4 as setting atmosphere. Second, compared to the group who has not experienced English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e group who has experienced English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 feels more difficulties with cluster 2(The level difference of students about English class is huge) and cluster 3(English class should be interesting but meaningful and it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class environment). The group who has less than 3 years English education career feels more difficulties with every cluster. Third, 25 difficult situations that teachers who has less than 3 years English education career are classified with 3 clusters about teaching difficulties and 12 detail factors. The difficult situations regarding‘teachers’are about ‘Cooperation with co-teachers’, ‘Cooperation with native teachers’, ‘Effort for English class professionalism’, ‘Using classroom English’and‘Using high-level English in class’. The difficult situations regarding ‘students' are about ‘Class by level’,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or ‘classes' characteristics’. The difficult situations regarding ‘classes' are about ‘Lesson planning using curriculum’, ‘Motivation and making class atmosphere’, ‘The gap between planning and performing’, ‘Treating students' responses’ and ‘Evaluation’. Finally, the methods for treating difficult situations that teachers who have more than 3 years of English education career are different from teachers who have less than 3 years of English education career.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focus on themselves by trying to find the teacher-centered methods for treating difficulties. But the experienced teachers see outer factors and they ask help from co-teachers or students to treat difficulties. They believe participating in teachers' communities is a good way to get ideas and to cooperat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search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types of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class and teachers' concerns about English class are different according to factors. Awareness of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by the teachers who has experienced English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 come from student factor. It’s about understanding individual students and teaching technique for class management. But the awareness of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by the teachers who has not experienced English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 come from effectiveness factor. Teachers concern about their influence and students out come from their teaching. For those teachers who has 3 years or more English education career, teaching difficulties come from environmental consideration, meaning multiple interaction with school environment, students,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But for those teachers who has less than 3 years of English education career, teaching difficulties come from teacher factor, meaning it is related with teacher’s self-understanding, including teacher’s self-efficacy, values and belief structure. Second,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use technical or analytical reflection about their classes, trying to treat difficulties with teacher-centered method. But the experienced teachers critically reflect on their classes, not only focusing on themselves, but on outer factors. Third, the experienced teachers treat difficulties using professionalism through experiences.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use only the part of professionalism and they still feel difficulties on the process of treating difficulties. But the experienced teachers use various kinds of professionalism. Final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s that English teachers’ education needs to be improved with professional communication.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class and the ways of dealing with them should be cover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 or during re-education for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have formal and informal opportunities for reflective English class, such as, class consulting or mentoring, and learning from communities, respectively. The proposal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experienced teachers are more afraid of English class and feel difficulties compare to other subjects. So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to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reat teaching difficulties according to features in English class. Second, teaching difficulties and teachers' concerns occur gradually and complexly by surrounding environment. Teachers should technically, analytically and critically reflect on themselve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They need formal support, such as consulting or mentoring, and informal support, such as learning communities for interaction. Thir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English by interview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research by a certain frame due to various and multilateral characteristic classes. There needs to be more diverse viewpoints of English class and they need to be researched with a variety of analysis frames.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can be found at the end of the thesis to make up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thesis that used concept mapp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