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학령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에 대한 관련요인 연구

Title
학령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에 대한 관련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in Preschool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uthors
윤매화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아동은 구어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하면서 유아기부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통합교육환경에 배치되어 교육을 받고 있다(Nikolaraizi & Hadjikakou, 2006; Tobey et al., 2013). 그러나 말명료도와 같은 구어 의사소통의 제약으로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Most 2007; Weisel, Most & Efron, 2005) 또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말명료도가 소음 상황에서 약 20% 정도 감소되기 때문에 많은 의사소통 단절을 경험할 수 있다(Tobey et al., 2011). 따라서 영어권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점수가 59% 미만일 때 성인청자가 아동의 말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보고하면서 이 점수를 통합교육환경 배치를 결정하는 기준점수로 활용하고 있다(Ertmer, 2010; Khwaileh & Flipsen, 2010). 학령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점수와 수용어휘 능력은 학령기의 말지각, 언어능력, 작업기억 능력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학령기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조기에 확인하고 중재목표를 설정하는데 임상적 의의를 갖게 되었다(Blamey et al., 2001; Svirsky et al., 2000). 즉, 문장 수준의 말명료도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보조 장치의 이득, 통합교육환경 배치 여부, 중재목표 설정 및 중재종결 여부 결정 등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Ertmer, 2010). 따라서 국외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말·언어 평가 시 듣기 및 말·언어능력, 학업적인 요소 등과 함께 말명료도도 반드시 평가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Most, 2007). 국내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일상적인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잘 반영하여 문장 수준에서 살펴본 말명료도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일상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하는 친숙한 문장에 대한 말명료도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일상적 의사소통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에서 듣기연령이란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이후 인공와우를 사용한 기간 또는 인공와우를 통한 청각경험 기간을 말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인공와 우이식 아동의 문장 수준의 말명료도가 정상적인 발달 특징을 따르며 지속적으로 발달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생활연령뿐만 아니라 듣기연령, 인공와우이식 연령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Chin, Tsai & Gao, 2003; Ertmer, 2007; Flipsen & Colvard, 2006; Khwaileh & Flipsen, 2010; Svirsky, Chin & Jester, 2007; Wu, Sun & Liu, 2008). 24개월 이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아동의 문장 수준의 말명료도는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청력 아동보다 지체되어 있으나 비슷한 발달 특징을 나타내면서 듣기연령 3-6년 사이에 78-94%의 높은 수준을 성취하였다(Svirsky, Chin & Jester, 2007). 그러나 25개월 이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아동의 문장 수준의 말명료도는 개인차가 매우 크고 정상적인 발달 특징을 확인할 수 없었다(Habib et al., 2010; Svirsky, Chin & Jester, 2007). 즉, 인공와우의 기술발달 및 신생아청각선별검사를 통해 조기 인공와우이식을 받고 중재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더 명료한 발화를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Peng, Spencer & Tomblin, 2004; Tobey et al., 2000). 특히 아동에게 맞는 적절한 매핑(mapping)과 청각-구어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중재가 뒷받침되어 듣기 능력을 최우선으로 활용할 때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은 더 자연스럽고 더 높은 수준에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Tobey et al., 2000). 본 연구에서는 정상청력 아동과 생후 24개월 이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하였다. 더불어 각 집단별로 문장 말명료도 능력과 듣기 및 말·언어 수행력요인(말지각력, 단어 자음정확도, 문장 따라말하기), 연령요인(생활연령, 듣기연령) 간의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문장 말명료도 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정상청력 아동 69명, 인공와우이식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문장 따라말하기, 단음절 말지각 검사, 단어 조음검사, 수용어휘 검사, 동작성 지능 검사를 진행하였다. 문장 따라말하기 검사는 연구자가 들려주는 문장을 아동이 그대로 따라말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둘째, 청력이 정상이고 청각장애 발화에 대한 경험이 없고 일반적으로 아동과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성인청자 75명에게 정상청력 아동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이 말한 녹음된 문장을 헤드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들려주고 듣고 이해한 대로 받아 적도록 하였다. 동일한 문장목록의 학습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서 성인청자에게 다른 아동들이 말한 4개의 문장목록을 들려주었다. 성인청자 57명에게는 정상청력 아동의 문장 발화만을 들려주었고 성인청자 18명에게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발화만을 들려주었다. 집단 간 문장 말명료도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듣기연령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에서 문장 말명료도 능력과 듣기 및 말·언어 수행력요인(말지각력, 단어 자음정확도, 문장 따라말하기), 연령요인(생활연령, 듣기연령)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집단에서 문장 말명료도 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점수가 정상청력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듣기연령별로 살펴보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점수는 듣기연령 3년에 정상청력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지만, 듣기연령 4년 이후에 정상청력 아동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상청력 아동과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 모두 문장 말명료도 능력과 말지각력, 단어 자음정확도,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의 수행력요인 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수행력요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상청력 아동과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 모두 단어 자음정확도와 말지각력 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상청력 아동 집단의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은 말지각력, 단어 자음정확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은 말지각력, 단어 자음정확도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별로 문장 말명료도 능력, 말지각력, 단어 자음정확도,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과 연령요인(생활연령, 듣기연령)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상청력 아동 집단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 말지각력, 단어 자음정확도,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은 생활연령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 단어 자음정확도는 생활연령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 말지각력은 생활연령과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 단어 자음정확도, 말지각력은 듣기연령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상청력 아동 집단에서 문장 말명료도 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던 단어 자음정확도는 문장 말명료도를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경우 문장 말명료도 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던 듣기연령, 단어 자음정확도,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은 문장 말명료도를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듣기연령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를 가장 잘 예측해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문장 따라말하기 능력은 정상청력 아동 집단에 비해 양적 및 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대치, 생략, 첨가의 오류유형 순으로 오류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치 오류에서 의미적 대치에 비해 음소적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대치하는 음운적 대치 오류가 더 많이 나타나 오류유형별 순위 및 대치 오류 특징에서 두 집단의 유사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24개월 이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은 술 후 3년 동안 개인차가 존재하면서 정상청력 아동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하지만 듣기 발달 과정 속에서 단어-문장 수준의 조음능력 간 연결고리가 적절히 발달하게 된다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말명료도 능력은 정상청력 아동과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듣기 발달과 청각적 문장처리 능력 간 연결고리는 정상청력 아동과 다른 양상을 나타내면서 문장 말명료도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말명료도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구어 의사소통 능력이 적절하고 지속적으로 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말지각력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청각적으로 문장 수준의 언어를 기억하고 순서화하는 능력의 발달에 대한 중재가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Newborn hearing screen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s, and advancements in cochlear implant technology have greatly increased the potential of children with hearing loss to become intelligible speakers. Therefore The proportion of children educationally mainstreamed with hearing age-mates reportedly increases with each year of cochlear implant use. Measures of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may be necessary for (a) determining if intervention is needed, (b) setting intervention goals, and (c)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is study was to compared performance of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CIs)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NH).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and speech perception,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sentence repetition outcome measures, chronological age, post implantation age. And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ed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Participants were 69 children with NH(34 males; 35 females) and 23 children with CIs(13 males; 10 females), and 75 adults with normal hearing acting as listener judges of intelligibility. Chronological age of two groups of children ranged from 3 years to 6 years 11 months. In case of children with CIs, post implantation age ranged from 25 months to 67 months. They received a cochlear implant before 2 years of age. Adults listener’ages ranged from 19 years to 37 years. They were normal hearing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who reported having no or minimal experience with the speech of the hearing impaired. All children are individually participated in sentence repetition task, open-set monosyllabic speech perception test, and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APAC),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R), Korean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All adult listeners wear headphones as they listened to each sentence twice and write down they understood. 57 adult listener judged with children with NH and 18 adult listener judged with children with CIs. Each adult listener transcribed as many as 4 lists of different speakers, to avoid a learning effect. The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of each child was judged by three adult listeners. To compare performance of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the study conducte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after control of post implantation age. And the study measur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speech perception,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sentence repetition outcome measures, chronological age, post implantation age) and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in each group. Then the study conducted stepwise regression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ed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in each group. First, result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That is, children with CIs were significantly less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score than children with NH, when controlling for the post implantation age. But the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milar when after 4 years of post implantation age. Second, the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scores of each groups of childr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peech perception score,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sentence repetition score, chronological age, post implantation age. The important thing, however, is that sentence repetition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peech perception score,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chronological age in children with NH. On the other hand, sentence repetition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peech perception score,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chronological age, post implantation age in children with CIs. Also, post implantation age was more important than chronological age in or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CIs. Third, in the children with NH,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was predictors of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hildren with CIs, post implantation age,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sentence repetition performance were predictors of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Individual difference in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score of children with who received a cochlear implant before 2 years of age can be persist for 2-3 years of hearing age after implantation. But, if intervention be persisted, sentence speech production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CIs will be able to catch up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children with NH after 4 years of post implantation age. Also, post implantation age,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sentence repetition performance provide us with information about intervention planning be able to do successful oral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CIs. That is, to suitably and successfully develop on general or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CIs, speech perception should be a first priority. On the basis of this speech perception, emphasizing that intervention for auditory memory and sequential processing skills may be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children with C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