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4 Download: 0

청각장애 초등학생을 담당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경험 연구

Title
청각장애 초등학생을 담당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경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o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 비율 증가는 청각장애 교육 분야에서 일어난 전 세계적인 변화인 신생아청각선별검사(Newborn-hearing screening test)의 보급, 인공와우이식술 등 기술공학의 발달, 법 개정에 따른 통합교육의 법적인 보장 결과라 할 수 있다.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청각장애 학생의 비율은 국내의 경우 전체 청각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약 75%(교육부, 2017), 미국은 6~21세 학령기 청각장애 학생의 88.4%(U. S. Department of Education, 2017)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 추세에 따라 통합된 청각장애 학생들이 연령에 적합한 성과를 올리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많은 연구자들이 학생 변인에 따른 말 인지, 언어발달, 학업 성취를 측정하고, 설문을 통해 교사, 학부모, 또래들의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과 통합교육 실태를 조사해 왔다. 조기에 청각 재활이 이루어져 연령에 맞게 언어가 발달된 청각장애 학생들은 학업 성취와 교우관계에서 또래와 유사한 발달이 기대되었으나 개인에 따른 성과의 차이가 크다고 나타났고, 고학년이 될수록 학업 이해와 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커져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에서는 통합된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이해가 부족하여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자리 배치나 FM시스템 사용과 같은 기본적인 지원 요구도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학부모의 스트레스 요인이 되고 있다. 통합교육의 질적인 성과를 심층적으로 고찰하려는 연구 접근이 특수교육계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청각장애 학생이 소속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헌 고찰과 설문 조사가 주를 이루고, 이에 대한 국내의 질적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다. 이에 본 연구는 청각장애 초등학생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들의 구체적인 경험과 그 의미를 질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비롯한 복합적인 현안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초등학생을 지도해 본 통합학급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연속적 분석 기법을 통해 전사된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주제와 13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들은 첫째, 청각장애 초등학생의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요인, 둘째, 청각장애 초등학생의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 요인, 셋째, 통합학급 교사의 청각장애 학생 통합교육 지원에 대한 경험, 넷째, 청각장애 학생 통합교육 노력의 성과, 다섯째, 청각장애 초등학생 통합교육에서 남은 과제였다. 도출된 주제 간의 유기적 관계를 고찰한 결과, 청각장애 초등학생의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요인과 교수 요인은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성과는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 요인을 강화, 확장시키는 반면, 지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지원 요구와 어려움들은 통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요인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주제와 관련된 청각장애 초등학생의 통합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요구가 연구 결과에 제시되었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논의점이 제시되었다. 첫째, 청각장애 초등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경험 여부에 영향을 받는데,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에 긍정적인 교사도 지원 필요성은 크게 인지하지 못하는 등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양가적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역량 부족으로 인한 지원의 어려움으로 청각장애 학생 교육과 관련된 교사 연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교사 연수 방법과 내용이 논의되었다. 둘째,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 요소를 학생의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또래 학생들에 대한 장애 이해 교육, 특수학급 교사의 정보 제공 및 지원, 학부모의 협조와 교육, 교실의 음향학적 환경 개선이 제시되었고, 각각의 논의와 관련된 고려점이 제안되었다.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정책 개선을 위한 고려점으로 (1)청각장애 교육을 위한 통합학급 교사 및 특수학급 교사 대상의 교사 연수 및 지원의 필요성, (2)청각장애 교육 전문가의 관리 및 순회지도 제도의 필요성, (3)학부모의 의사소통 및 협력 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 (4)지속적인 언어 재활 및 청능 기기의 지원과 더불어 교실의 음향학적 환경 개선의 필요성, (5)청각장애 학생의 자기 옹호 및 권리 주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연구 대상을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로만 한정시킨 점은 연구를 확장 적용하는데 있어서 제한점으로 작용하므로, 연구 대상과 학교 수준이 확장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되고 제안된 방안들이 통합된 청각장애 학생의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관심과 관련 연구를 촉구시키고, 일반교육에 녹아든 특수교육이라는 진정한 통합의 관점에서 현실성 있게 통합교육을 준비할 수 있도록 교사를 비롯한 전문가와 학부모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increase in the inclusive education rat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s a worldwide change in the field of deaf and hard of hearing education. These changes include the spread of new-born hearing screening,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skills such as cochlear implants, and the legal guarantee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legal amendments such as IDEA 2014 (Scheetz, 2004).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ttending general schools is reported to be about 75% of the tot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Korea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017) and about 88.4% of 6-21-year-old school children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in the United States. (U. S. Department of Education, 2017).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find out whether inclusiv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re performing as expected to their peers. They have measured the impact of student variables on speech recognition, language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etc.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eachers, parents, and peers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perceive the inclusiv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ho have early hearing rehabilit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similar to their peers will have similar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with peers. However,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individuals is significant. In addition, as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got older, they tended t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achievement and in forming friendships, which has a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 on them. Particularly in Korea, it is difficult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eir class becaus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expertise in education for them. There is also a lack of basic support for students with hearing difficulties, such as seat placement and use of FM systems. Parents are under a lot of stress because they have to ask teachers to help their children. Attempts to study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depth have been attempted in special education research. However, research o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general class teachers about inclusiv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s mostly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 research approach that attempts deep understanding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lex issues including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qualitatively examining the specific experienc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bou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For this study,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experi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hard of hearing.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ive themes emerged as follows: (a)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not be chang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 (b) the teaching factors that can be chang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c) general education teacher's effort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d) outcome of inclusive education effort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e) the remaining tasks in inclusiv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t was found that a cyclical organic relationship to have an effect on the derived topics. Teachers' perceptions, experiences and need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related to each sub-theme are presented in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two points of discussion were presented : Firs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influenced by thei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eachers who were positive in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hearing difficulties also showed an ambivalent perception that they did not recognize the necessity of supporting them. Therefore, the necessity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inclusiv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as raised, and the training method and contents were discussed in this regard. Second, the inclusive educa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examined focusing on external factors.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for peer students, information and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operation and education for parents, and improvement of classroom acoustics were proposed with respective considerations.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to improv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 (a)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support for teachers of inclusive and specialized classes for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b) the need for the management of hearing impaire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c) the efforts to establish a system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arents, (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classroom acoustics with continuous language rehabilitation, and (e)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to enhance the self-advocacy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subjects was limited to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it was propos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with expanded the study subjects and school levels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