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1 Download: 0

경제동화칼럼기반 프로젝트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Title
경제동화칼럼기반 프로젝트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the Project-Based-Learning through the economic fairy newspaper column ; A Case-Study on teaching the fical policy in Economics class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민식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erience - centered teaching method as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nge of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educational paradigm. Starting from the 7th curriculum, Korea 's educational paradigm is experiential and learner - centered education. This required a complete change in the three main elements of education, namely,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education. The learner was reconsidered as an educator, the instructor as a provider, and the instructor was asked to transfer instructor‘s educational sovereignty to the learner. Above al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ore closely describes the recommendations, which are very rich in educational goals, curricula, and educational evaluations. Future talent is certainly different from previous talent. If the talent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creative and convergent, it is obviou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normative reference evaluation and result oriented curriculum based on the existing results-oriented evalu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hat is responsible for cultivating the human resources. The educational paradigm has changed, and the main position to respond to this change has been the teacher as well as a change in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fess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research and activities best fit the above purpose in order to follow the educational paradigm. Secondly, I began to study the problem of the position of the professor in secondary consideration. The reasons for choosing high school economic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controversial debates since the economic subject has become a subject with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is whether the economic subject centered on theory and theory is in conformity with the cultiv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 goal of value education required by social studies. To solve this problem, from the 7th curriculum that was the basis of experiential learner - centered education, the economic curriculum has been promoting the ethical and economic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the educational goal of the intrinsic value of economic edu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paradigm. Second, from this, researches have been going on in order to introduce experiential learner - centered education into economic education in earnest in the course of economics. From experimental economics education to economics education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role play, demand and supply game, The attempt in this economics subject was the internal effort of the economics subject which tried to respond to the paradigm of the 7th education at the time, which is why the paradigm of current education has more implications for the economics subject than other subjects. As in other fields, pedagogical research can not ignore the trend of fashion. Currently, experience-based learning is a project-based learning that focuses on economics subjects and public education curriculum among many cases of learner-centered class. In order to develop the material for project-base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aterial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2015 revised economics subject curriculum, such as "Literary works, newspaper articles, History records, and other various types of materials“, we use the story column article as a main element for project learning. We compared this with lecture class and applied unit selected economic stabilization policy of macro part. Although the fairy tale column became the primary criterion, the debate about how to orient the current "monetary policy" to the curriculum of the integrated society by economics education researchers is a major controversy point in th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olicy "on the same issue.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it will be enough to reveal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btain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PBL class and lecture class were not significant. Project-based learning is a new paradigm, but the evaluation is not aimed at quantitative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qualitative evaluation that focuses more on how the learner affects the qualitative attitude and perception of the learner. Nevertheless,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as verified by quantitative evaluation. This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coexistence of the new evaluation method with the new teaching method is emphasiz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the unified viewpoint of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of education. Second, after the problem - centered classroom using the economic assimilation colum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est of economic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 of economic subject interest and the post evaluation score on the class in the PBL class did not show meaningfulness between the two. On the contrary,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 in post evaluation showed the highest interest.These results are in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experience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such as PBL, lead to more meaningful results for the lower-level students, as in the previous study. Although the economics subject is highly practical for the improvement of 4cs needed for future talent (Lee, Sung-ho, 2015; Kim, Na-Young, 2016), it is deeply recognized that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because it is based on the theoretic theory. Thus, what motivates learners to become more motivated is more important to economics subjects than other subjects, and it is also a practical way to adapt to the current educational paradigm In this study, we used economics assimilation for this purpose. As a result, the interest of economics subject improved when the learners learned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fairy tales which were known only as general assimilation. When these experiences are accumulated, the learner 's perception of the economics subject will be changed as if it is wet in the rain. Even if PBL and economics subjects are not studied frequently, it is definitely a teaching method requir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teaching profession that the education and the source for the teacher are not enough and the approach is not eas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ass form about the closeness between the class unit and the PBL problem. It is hoped that the study of the experience learner - centered teaching method that utilizes other economic assimilation and other high - level materials and contents of the unit will be expanded. Above all, the above process is aimed at the transformation of the perception of economic subjects through inducing interest of learners and the development of economic education. It is thought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need to be more attitude to cope with the changing professionalism of the economic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동화 칼럼기사를 활용한 PBL교수법을 고안하여 경제교과에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7차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교육적 패러다임은 경험·학습자 중심교육으로 바뀌었으며 교육의 3가지 주축요소인 교육목표·교육과정·교육평가에 완전한 변화를 요구하였다. 교육과학 기술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러한 이념을 권고 사항들로 각 교과에 구체적으로 명시화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재상이 창의·융합형 인재라면 기존의 결과 중심 교육과정인 강의식 수업이나 개인이 얻은 점수나 측정치를 비교집단의 규준에 비추어 평가하는 줄 세우기식의 규준참조평가로는 달성할 수 없다. 이와는 다르게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영역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를 준거에 비추어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나 교육방법으로써 학생 중심의 교수법이 필요했다. 한편 경제교과가 사회과의 교과로 위치한 이후 끈임없는 논란 중의 하나는 원론중심의 경제교과가 사회과의 궁극적 목적인 윤리적인 시민을 양성할 수 있느냐?의 여부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학습자를 위한 교수법의 개발 및 제공과 더불어 현실체험의 경제교육이 이뤄지도록 고심하였다. 앞선 두 가지 방향 즉, 경험·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과 경제교과 내부에서의 생활체험 경제교육은 같은 목표이념을 내포하고 있기에 경험·학습자 중심 교수법이 다른 교과보다 경제교과에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경제교과의 경험·학습자 중심교육에 주목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중에서도 현재 중심에 있는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선택하여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였다. 경제교과의 적용 단원으로는 2015 통합사회 내 편제상 논란의 대상이 되는 통화정책을 채택하였으며 PBL의 소재를 위해서는 2015 개정 경제교과 교수법에서 제시한“경제 현상을 다른 사회현상과 관련지어 전체적·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문학작품, 신문기사, 방송물, 영화, 역사 기록물 등 다양한 유형의 소재를 이용한다“ 는 권고 사항을 근간으로 H신문에 연재됐던 경제동화 칼럼기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제동화 칼럼기사를 활용한 PBL수업집단과 강의식 수업집단 간에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경제동화 칼럼기사를 활용한 PBL수업집단과 강의식 수업집단 간에 교과흥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3. 경제동화 칼럼기사를 활용한 PBL수업집단에서 주관적 참여도와 만족감이 높았던 학급과 그렇지 않은 학급 간에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D 자사고 2학년 5반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3학급에 대해서는 PBL을 적용, 2학급에 대해선 강의식 교육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수업집단과 강의식 수업집단의 사후 평가에 대한 결과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젝트 기반학습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교수법이기도 하지만 학습자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둔 사정평가를 추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도 이에 대한 효과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했으며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부분에서 본질이념이 같은 교수방법·교육평가가 동시에 적용돼야만 한다는 중요성을 제기했다. 둘째, PBL교수법과 강의식 교수법 학습자 간의 경제교과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해선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강의식 수업 외의 다른 방식을 선호했으며 강의식 수업과 더불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흥미로운 수업을 요구하고 있었다. 지리과에서 문학작품의 교수법을 연구한 오은강(2006) 연구의 설문결과 학생들이 텍스트로 된 문학작품이나 신문기사 보다는 생생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동영상이나 인터넷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는 학습자에게 문학작품을 비롯한 텍스트 중심의 수업구성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서 기인한다고 봤다. 그러나 오은강(2006) 실험이후 학습자에게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법에 대한 인식 변화가 가장 두드러졌다. 본 실험 이후에도 경제교과 학습과 경제기사 간의 연계성에 관한 인식 변화에 가장 큰 차이점을 보였다. 더불어 경제동화와 같은 텍스트를 활용한 차후 학습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셋째, PBL수업집단 내의 사후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둘 간의 정적관계의 가설을 설정했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의 주관적 참여도는 인지적인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경험·학습자 중심수업법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의 동기부여는 되지만 학업성취도를 월등히 향상시키지는 못한다는 즉, 학습자의 인지적인 발달과정에는 유의미하지 않다는 KDI 연구보고서(2016)와 일치했다. 연극대본을 활용한 경험·학습자 중심 수업법을 고안하여 실험을 실시한 최인영(2011)의 연구와도 부합했다. 본 연구에서는 PBL수업집단 내 사후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았던 학급에서 가장 높은 사후 교과흥미도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가 주관적 참여도를 상황적 흥미로 인식하여 학업성취도 간의 유의미성을 도출하고자 했기에 상황적 흥미의 속성상, 예상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근거를 구체적으로 후술 하였다. 실험결과 학업성취도 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는 않았을지라도 PBL을 비롯한 경험·학습자 중심 교육의 패러다임은 정량적인 잣대인 기존의 전통식 방법으로 학습자들의 성취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기조를 달리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이념을 재고케 해주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PBL을 비롯한 경험·학습자 중심 교수법의 연구는 학습자에게 어떤 인식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상황성이 짙은 경험·학습자 중심법의 효과성을 전통적인 지필평가로 평가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험·학습자 중심법의 평가에 관한 시사점을 검토하고 경제교과에서 경험·학습자 중심교육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