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15세기 후반 광주(廣州) 관영사기소의 자기 제작과 운영에 관한 연구

Title
15세기 후반 광주(廣州) 관영사기소의 자기 제작과 운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eramics Production and Operation in Gwangju(廣州) Gwanyoungsagiso in the late 15th century
Authors
정담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Until now, researches on the white porcelain of the early Joseon have been performed mainly with Gwangju, Gyeonggi-do, which was the production area of royal kiln. Particularly,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installation period and operation of royal kiln. Research output so far considers that the royal kiln was installed around 1467, based on the background as ‘ procurement of white clay in 1466’, ‘installation of Nokgwan(祿官) in 1467’, and ‘completion of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Gongjeon(工典). Also, unification of procurement form of white porcelain rendered to the King since June, 1466, was viewed as an important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it was insisted that several royal kilns were operated in the concept of Juyo (主窯, central kiln), Jongsokyo (從屬窯, subordinate kiln), or Gabbeonyo(甲燔窯) and Sangbeonyo(上燔窯),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use of the excavated goods. Particularly, it was determined that Jongsokyo (subordinate kiln) existed around Juyo (central kiln). Such discussion was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when royal kiln system was stably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nation. However, it can’t be confirmed whether it was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initial period of installation of royal kiln. He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between the operational system of Woosanri no.4, Mokhyundong no.1, Woosanri no.14, confirmed with 1460~80s as the operation period based on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in the kiln of the 15th century, and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out of these kilns. Also,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cretely suggest the aspects of Gwanyoungsagiso. However, ‘Sa(司)’ Myung(銘) potteries in the characteristic of governmental offering was excavated from Woosanri no.4 and Mokhyundong no.1, which were operated between 1460~80s. Also, milky enamel is covered on the whole potteries, and a few white porcelains in good quality of Gabbeon, baked with the support of sand in inverted triangle,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re was a perfectly established royal kiln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continued the point of ‘Gwanyoungsagiso’(官營沙器所), since there was still a characteristic of Gwanyoung(官營) in the kilns operated between 1460~80s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of ‘royal kiln’ system. Among the kilns investigated so far,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kilns that produced white porcelain during the 15th century that seem to have association with Gwanyoungsagiso. Particular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ordinary vessels such as Bal· Cup· Dish and special vessels such as Byung· Ho· Gojokbae. Also, ordinary vessels, Bal· Cup· Dish were departmentalized according to Gicheukseon, Weban and Naeman of Guyeon. Bal and Cup were divided into 5 and 6 forms, respectively, large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icheukseon based on Naeman· Weban of Guyeon. Firstly, Bal was divided into the form of steel slope with Weban of Guryeon(A), Weban of Guryeon with round slope(B), Weban of Guyeon with snapped slope on the lower part of the vessel(C), Weban of Guyeon with relatively straight Gicheukseon(D), and Naeman of Guyeon with steep slope of Gicheukseon(E). Cup was departmentalized into Weban of Guyeon with slope of Gicheukseon(A), Weban of Guyeon with sloping upward form by being snapped on the lower part of the vessel(B), straight Gicheukseon(C), Naeman of Guyeon with round Gicheukseon(D), Yang-yijan(E), and Hwahyeongjan(F). Dish took Weban and Naeman of Guyeon as the basic standard, later, was divided into total 6 types considering the form of Gicheukseon. It was divided into Weban of Guyeon with sloping Gicheukseon(A), Weban of Guyeon with round shape(B), Weban of Guyeon with sloping line snapped on the lower part of the vessel(C), Naeman of Guyeon with round shape(D), Naeman of Guyeon with sloping form(E), and Jeon dish(F). Before the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Bal· Cup· Dish· Ho· Bottle were produced, after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various vessels and forms are determined in Gwangju reg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than before the installation of it. Besides (Bal-A), (Bal-B), (Bal-C), produc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Bal-D) was newly manufactured· produced from Woosanri no.14. In respect of Cup, Yangyijan and Hwahyungjan were newly found, besides (Cup-A) and (Cup-B) that had been produc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In respect of dish, the vessels confirm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continued to be produced after the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As the special vessels, various types of Ho and cover, and new vessels, Pyeonbyeong and Hab were found after the installation of Gwanyoungsagiso, which were more various than before the installation of it. Among them, a difference appeared in the vessels excavated in Gwangju region and the other regions. So far, (Cover-III),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Chok inside the cover, Janggun, going upward straightly to Ibho (Ho-III), and Taehang-ari were excavated only in Gwangju, and the vessels such as (Hab-II), (Cover-V), with the characteristic of shirinking, were excavated out of the other regions until the late 15th century. On the other hand, various white porcelains and Myungmoon, such as ‘Sa(司)’, ‘Naeju(內廚)’, ‘Yin(仁)’, ‘Jeon(殿)’, ‘Dae(大)’, ‘Jung(中)’, ‘Cheo(處)’, ‘Wang(王)’ ‘Bongseon(奉先)’, ‘Young(英)’, ‘Taeiljeon(太一殿)’, Numbering, and Jiseok were excavated out of Woosanri no.4. Among them, ‘Young(英)’ Myung(銘) pottery implies the final consumption place, Youngreung(英陵), and the production period is estimated to be produced in 1469. ‘Bongseon(奉先)’ Myung(銘) pottery implies ‘Bongseonjeon(奉先殿)’ of ‘Bongseonsa temple(奉先寺)’ which enshrined the portrait of King Sejo, estimated to be produced in 1472. Besides, as the production period of Jiseokpyeon excavated out of Woosanri no.4 was determined 1473, accordingly, the central operation period of Woosanri no.4 was estimated 1460~70s. Also, as Yangyijan, Hwahyungjan, and Jeon dish in good quality, etc. were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accordingly, it is presumed as Gwanyoungsagiso. Also,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Myungmoon white porcelain and white porcelain, Mokhyundong no.1 and Woosanri no.14 were determined as the place which were operated immediately after Woosanri no.4. Firstly, in case of Mokhyundong no.1, dented Jukjeolgub form in the porcelains of Woosanri no.4 was found also in Mokhyundong no.1, and Gabbal with handle, excavated out of Woosanri no.4, was also excavated out of Mokhyundong no.1. As Myungmun porcelains, ‘Sa(司)’ Myung(銘) and ‘Bongseon(奉先)’ Myung(銘) were excavated out of Woosanri no.4 and Mokhyundong no.1. In case of Woosanri no.14, besides the ordinary vessels produced out of Woosanri no.4, special vessels such as Gojokbae, Ho, Bottle, Hab, Daebal, Cover, Byuru, and Janggun, etc. were excavated, and dented Jukjeolgub form of white porcelains of Woosanri no.4 was also determined in Woosanri no.14. Also, cylindrical· disc· crown· steamer· Tugong type· Pejagi Dochim were equally excavated out of Woosanri no.14, which were also excavated out of Woosanri no.4. Besides, among Myungmoon porcelains determined in Woosanri no.4, ‘Jeon(殿)’ Myung(銘), ‘Jung(中)’ Myung(銘), and numbering were also excavated out of Woosanri no.14. This way, when aggre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white porcelains excavated out of Woosanri no.4, Mokhyundong no.1, and Woosanri no.14, decoration technique and pattern engraved on them, production technique, Myungmoon porcelains, Inhwa inlaid pottery, celadon, etc., the aspects of Gwanyoungsagis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spects of products of each region were mixed in the excavated goods out of Woosanri no.4. Such point is considered to be the mixed aspect of the excavated goods out of Woosanri no.4 as the craftsmen of each region were selected and gathered to Woosanri no.4. Second, a transitional aspect was determined in the pottery production situation during the period of operation of Woosanri no.4, Mokhyundong no.1, and Woosanri no.14. To see Beonjo technique, since Gub type Bunhwa was not performed, Taejil and Yujo were good quality white porcelains, however they were confirmed with support of Taeto making onto the inverted triangle Gub or low Gub. Also, the pattern of inlaid white porcelain became gradually simple and brief. On the other hand, it seems Inhwa inlaid potteries continued to be produced, though in small quantity. Such situation seems to be a phenomenon of a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production system of royal kiln was established in Gwanyoungsagiso. Third, it is presumed that Gwanyoungsagiso system was operated by being departmentalized into Mokhyundong no.1 and Woosanri no.14 since Woosanri no.4. Mokhyundong no.1 still had a characteristic of public offering, where some vessels out of the products of Woosanri no.14 were intensively produced. Different from this, Woosanri no.14 produced a lot of good quality white porcelains of royal use and special vessels as a central Gwanyoungsagiso. That is, Mokhyundong no.1 and Woosanri no.14 were operated in the same period, however the aspects of white porcelain differed according to the use and purpose, and Mokhyundong no.1 seemed to have performed an assistant role to Woosanri no.14. These kilns had mutually complementary operation system. Also,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research which viewed that Jongsokyo(subordinate kiln) was operated beside Juyo(central kiln) by dividing the operation system of royal kiln into Juyo(central kiln) and Jongsokyo(subordinate kiln), they were operated in the same period in the distance. Fourth, it seems that the system of Gwanyoungsagiso was fully operated in Woosanri no.14, which was operated after Woosanri no.4. In Woosanri no.14, vessels, Myungmoon potteries, production method, and Beonjo techniqu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kilns, were determined. Particularly, to see the production method and Beonjo technique, careful Taejil, milky Yujo, inverted triangle Gub, sand support, and good quality white porcelains which were produced with Beonjo or Gabbalbeonjo one by one, were determined. However, no rapid change of operation system could be determined along with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 around the year 1467. In respect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system, various trials and changes were determined, however production system seems to have been regularized during 1470~80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respect of concretely suggesting the pottery production situation and operational aspects of Gwanyoungsagiso during 1460~80s utilizing the materials of the recent excavation investigation.;현재까지 조선전기 백자연구는 왕실백자의 생산지였던 경기도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며, 특히 관요 설치시기와 운영에 중점을 두고 많은 논의가 있었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로는 ‘1466년의 백토 확보’, ‘1467년의 녹관(祿官) 설치’, ‘1469년의 『經國大典』 工典 완성’ 등의 배경으로 1467년 전후한 시기에 관요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본다. 또한 1466년 6월 이후 백자의 수취형태가 진상으로 일원화되는 것도 중요한 배경으로 보았다. 한편 관요의 운영체계는 출토품의 품질과 사용처에 따라 주요(중심요)와 종속요(주변요) 또는 갑번요와 상번요 등의 개념으로 여러 개의 가마가 운영되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주요(중심요) 주변에 종속요(주변요)가 함께 존재하였다고 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국가의 통제 하에 관요체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던 시기의 특징이다. 그러나 관요가 처음 설치되는 시기의 운영체제였는지 확언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5세기 가마에서 생산된 백자를 토대로 운영시기가 1460~80년대로 확인된 우산리 4호, 목현동 1호, 우산리 14호의 운영체계와 이들 가마에서 생산된 백자가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설치 초기의 관요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1460~80년대 운영된 우산리 4호와 목현동 1호에서 공납적 성격을 가진 ‘司’銘자기가 출토되었다. 또한 태질, 유색 및 유약시유방법, 굽 형태, 번조받침에서 완전한 양질 백자가 소량 발견되어 완벽하게 관요체제가 정립되었던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1460~80년대 운영된 이들 가마가 여전히 관영(官營)적 성격이 존재하였으며 ‘관요’로써의 완비된 체계를 갖추어 가는 과정 중으로 보이기 때문에 ‘관영사기소’라는 명칭으로 논지를 이어나갔다. 현재까지 조사된 가마터 중 15세기 백자를 생산한 가마 가운데 관영사기소와 연관성을 보이는 가마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발·잔·접시의 일상기종과 병·호·고족배 등의 특수기종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또한 일상기종인 발·잔·접시는 기측선, 구연의 외반과 내만 등에 따라 세분화 하였다. 발과 잔의 경우 각각 5가지와 6가지의 형식으로 나누어졌는데, 크게 구연의 내만·외반을 기준으로 삼고 기측선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 먼저 발은 구연이 외반하며 기측선이 급하게 사선을 이루는 것(A), 구연이 외반하며 둥근 사선을 이루는 것(B), 동체하단에서 꺾인 사선을 이루는 것(C), 구연이 외반하고 기측선이 비교적 직립을 이루는 것(D), 구연이 내만하고 기측선이 급한 사선을 이루고 있는 것(E)으로 나누었다. 잔은 구연이 외반하고 기측선이 사선을 이루는 형태(A), 구연이 외반하고 동체하단에서 꺾어 사선으로 올라가는 형태(B), 기측선이 직립하는 형태(C), 구연이 내만하며 기측선이 둥근 곡선을 이루는 형태(D), 양이잔(E), 화형잔(F)으로 세분화하였다. 접시는 구연의 외반과 내만을 가장 큰 기준으로 삼았으며 그 다음 기측선의 형태를 고려하여 총 6가지 형태로 나누었다. 구연이 외반하며 기측선이 사선을 이루는 것(A), 구연이 외반하고 둥근 곡선을 이루는 것(B), 구연이 외반하고 동체하단에서 꺽인 사선을 이루는 것(C), 구연이 내만하고 둥근 곡선을 이루는 것(D), 구연이 내만하고 사선을 이루는 것(E), 전접시(F)로 나누었다. 관영사기소의 설치 전에는 발·잔·접시·호·병 등이 제작되지만, 관영사기소의 설치 후 광주지역에서는 관영사기소 설치 전보다 다양한 기종과 기형이 확인된다. 발의 경우에는 관영사기소 설치 전부터 생산하던 (발-A), (발-B), (발-C) 뿐만 아니라 우산리 14호부터 (발-D)가 새롭게 제작·생산되었다. 잔의 경우에는 관영사기소 설치 전부터 생산되던 (잔-A), (잔-B) 이외에 새롭게 양이잔과 화형잔 등이 확인되었다. 접시의 경우에는 관영사기소 설치 전에 확인된 기형들이 관영사기소 설치 후에도 계속 생산되었다. 특수기종은 관영사기소 설치 전보다 다양한 형식의 호와 뚜껑, 새로운 기형인 편병과 합 등이 관영사기소 설치 후 확인되었다. 한편 우산리 4호에서는 다종다양한 백자와 ‘司’, ‘內廚’, ‘仁’, ‘殿’, ‘大’, ‘中’, ‘處’, ‘王’ ‘奉先’, ‘英’, ‘太一殿’과 숫자명, 지석 등의 명문이 출토되었다. 이 가운데 ‘英’銘자기는 영릉(英陵)이라는 최종소비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작시기가 1469년으로 추정된다. ‘奉先’銘자기는 세조의 초상을 모신 ‘奉先寺’의 ‘奉先殿’을 의미하는 것으로 1472년에 제작된 것으로 본다. 이 밖에도 우산리 4호에서 출토된 지석편의 제작시기가 1473년으로 밝혀져 우산리 4호의 중심운영시기를 1460~70년대로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우산리 4호에서 출토된 백자와 청자의 기형에서 이전 시기 가마터에서는 볼 수 없었던 기대, 편병 등이 새롭게 확인되고 있어 우산리 4호는 관영사기소로 추정된다. 또한 목현동 1호와 우산리 14호는 명문백자와 백자의 양식적 특징을 통해 우산리 4호 직후에 운영되었던 곳으로 확인되었다. 목현동 1호의 경우 우산리 4호의 백자들에서 보이는 오목한 죽절굽 형태가 목현동 1호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우산리 4호에서 수습된 손잡이가 달린 갑발도 목현동 1호에서도 출토되었다. 명문자기로는 ‘司’銘과 ‘奉先’銘이 우산리 4호와 목현동 1호에서 확인되었다. 우산리 14호의 경우에는 우산리 4호에서 생산된 일상기종 뿐 아니라 특수기종인 고족배, 호, 병, 합, 대발, 뚜껑, 벼루, 장군 등이 출토되었으며 우산리 4호의 백자들에서 보이는 오목한 죽절굽 형태가 우산리 14호에서도 확인되었다. 또한 우산리 4호에서 확인된 원주형·원반형·왕관형·시루형·투공형·폐자기 도침이 우산리 14호에서도 동일하게 출토되었다. 이 외에도 우산리 4호에서 확인된 명문자기 중 ‘殿’銘, ‘中’銘, 숫자명이 우산리 14호에서도 출토되었다. 이와 같이 우산리 4호, 목현동 1호, 우산리 14호에서 확인된 다종다양한 백자, 그에 시문된 장식기법 및 문양, 제작기법, 인화상감자기와 청자, 명문자기 등을 종합해 보았을 때 관영사기소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우산리 4호의 출토품에서는 각 지역 생산품들의 양상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각 지역의 장인들이 차출되어 우산리 4호로 모여듦에 따라 각 지역 생산품들의 양상이 우산리 4호 출토품에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산리 4호, 목현동 1호, 우산리 14호가 운영되던 시기의 자기 제작 상황에서 과도기적 양상이 확인된다. 번조기술을 보면 굽형식 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태질과 유조는 양질의 백자이나 역삼각형굽 또는 낮은굽에 태토 빚음을 받친 것이 확인된다. 또한 상감백자는 문양이 점차 단순화되고 간략화 되어갔다. 한편 인화상감자기는 소량이지만 계속 생산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관영사기소에서 관요로 제작체계가 정립되어가는 과도기에 나타나는 현상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우산리 4호 이후 목현동 1호와 우산리 14호로 세분화되어 관영사기소 체제가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목현동 1호는 여전히 공납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우산리 14호에서 생산하는 기종 중 일부를 집중 생산하였다. 이와 달리 우산리 14호는 중심적인 관영사기소로써 왕실용 양질백자와 특수기종을 다량 생산하였다. 즉 목현동 1호와 우산리 14호는 동시기에 운영되었지만 사용처와 목적에 따라 백자의 양상이 달랐고 목현동 1호는 우산리 14호의 보조적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가마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운영체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관요의 운영체제를 주요(중심요)와 종속요(주변요)로 나누어 주요(중심요) 옆에 종속요(주변요) 같이 운영되었을 것을 보았던 기존연구와는 달리 이 두 가마는 원거리를 두고 동시기 운영되었다. 넷째, 우산리 4호 이후에 운영된 우산리 14호에서 관영사기소 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우산리 14호에서는 이전 가마들과 다른 기형과 명문자기, 제작방식 및 번조기술이 확인된다. 특히 제작방식과 번조기술을 보면 치밀한 태질, 유백색의 유조, 역삼각형굽, 모래받침, 한 점씩 번조하거나 갑발번조한 양질백자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1467년 전후한 시기에 자기 제작체계 및 관요 운영체제의 다양한 시도와 변화는 확인되지만 급격한 변화는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1470~80년대에 제작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1460~80년대 관영사기소의 도자제작상황 및 운영양상에 대해 최근 발굴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삼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