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4 Download: 0

갈래적 특성을 고려한 조선 후기 규방가사 교육 연구

Title
갈래적 특성을 고려한 조선 후기 규방가사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yubang-Gasa of the late Joseon dynasty education considering its genre’s chracteristics : centered on speaker’s talking methods
Authors
유혜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가사 교육이 조선 전기 사대부가사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논의를 시작하였다. 규방가사는 본래 사대부 여성들이 규방에서 즐기던 가사이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창작과 향유층이 확대되어 서민 여성들 또한 즐기는 작품이 되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특징을 반영한다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그 교육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규방가사의 말하기 방식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가사의 다양한 갈래적 특성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규방가사 교육 방안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가사는 교술 갈래라고 단정 짓기 어려운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는 갈래이다. 기존 국문학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특히 조선 후기의 가사 작품들에서 서정성, 교술성, 서사성이 모두 극대화되어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사의 서정성은 주관적인 감상과 감흥을 표현하는 것에 주력하는 것이고, 가사의 교술성은 사물을 나열하는 서술과 교훈과 윤리의 방도에 대한 표현으로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가사의 서사성은 줄거리가 있는 연속적인 서술과 더불어 작품 속 인물이나 구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를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가사의 다양한 갈래적 특성이 본 연구에서 다루는 세 작품의 화자 말하기 방식을 통해 어떻게 드러나는 있는지를 검토하여 분류하였다. 먼저, <노처녀가>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의 화자’가 등장하여 자기의 감정을 표출하는 말하기를 보여준다. 또한 자기의 모습을 긍정하는 말하기를 통해 절망을 더 크게 드러내고, 자기를 해학적으로 표현하는 말하기를 통해 독자의 공감과 동정을 이끌어낸다. 이러한 말하기는 화자가 작품의 주인공인 노처녀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감정 표현에 주력한다는 점에서 가사의 서정성 극대화에 기여한다. 두 번째로, <덴동어미화전가>의 ‘1인칭·3인칭 관찰자 시점의 화자’는 상황 안에서 집단의 목소리를 내는 작품 속 관찰자의 말하기와 상황을 포착하여 옮겨내는 작품 밖 관찰자의 말하기를 통해 두 가지 시점이 모두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덴동어미화전가>는 화전가의 양식을 차용하고, 액자식 구성을 보여주며 인물의 삶의 여정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서사성이 극대화된 가사 작품이다. 상황 안에서 집단의 목소리를 내는 말하기는 화전가의 양식을 차용했다는 점을 드러내고, 상황과 인물의 대화를 그대로 옮겨내는 말하기는 액자식 구성과 인물의 삶의 여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사의 서사성에 기여한다. 세 번째로, <용부가>의 ‘전지적 작가 시점의 화자’는 저 부인과 뺑덕어미의 행동을 열거하고 비판한 뒤에 그것을 바탕으로 독자를 훈계하는 말하기 방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말하기는 화자가 작품 속 인물들의 모든 것을 아는 전지적인 시점을 가졌기에 가능한 말하기이다. 이러한 말하기는 열거와 계도의 측면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가사의 교술성 극대화에 기여한다. 이렇게 말하기 방식을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조선 후기 규방가사의 교육 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교육의 의의에 대해 밝혔다. 조선 후기 규방가사의 교육 방안은 화자의 성격 탐구를 통한 작품 교육 방안, 갈래적 특성 탐구를 통한 문학사 교육 방안, 말하기 방식 탐구를 통한 의사소통 교육 방안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선 후기 규방가사 교육의 의의는 다양한 화자 탐구를 통한 문학 향유 능력 신장, 가사 갈래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총체적 이해 능력 신장, 말하기 방식 검토를 통한 청자를 고려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 바로 그 내용이다. 이처럼 화자의 말하기 방식을 통해 가사의 갈래적 특성을 읽어낼 수 있는 조선 후기 규방가사를 교육하는 것은 단순히 개별 작품의 이해에 머물지 않고 이러한 다양한 능력 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This study started with a sense of problem in mind that Gasa education so far has been biased toward the Sadaebu-ga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Gyubang-gasa was originally used to be enjoyed by women in the Gyubang. It is meaningful that it reflect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at the working class and the audience have grown to include ordinary women, but the education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checked the speaker's talking methods of Gyubang-gasa of late Joseon dynasty and revealed the educational meanings. Gasa is a genre that has complex personality which can not be determined as a genre of didactic. In particular, the Gasa of the late Joseon dynasty are shown to maximize lyricism, didacticism and narrativity. The lyricism of the Gasa focuses on subjective emotional expression. The didacticism of the Gasa is revealed through listing things and describing lessons and methods of ethics. And narrativity of the Gasa is revealed through an attempt to effectively express characters or compositions in the work along with a series of narrative with a plot. This study categorized how the various genre characteristics of Gasa are revealed through the speaker's talking methonds. First, The speaker of the first main character's view like shows emotional expressions’ lyricism. Second, the speaker of the first observer’s and the third observer’s view like shows narrativity. Third, the speaker of the third observer’s and the omniscient view like shows didacticism. Based on this review of the speakers's talking methods, this study explained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s Gyubang-gasa education. Educational methods of Gyubang-gasa can be divided into teaching Gyubang-gasa by speaker’s character, teaching literary history by various genre charateristics of Gasa, teaching communication by speaker’s talking methods. Educational meanings of Gyubang-gasa education is to increase literacy through the search for various speakers, to increase understand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Gasa genre, and to increase communication skills by considering listeners. Like this, the late Joseon dynasty's Gyubang-gasa education considering its genre’s chracteristic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lead to various skills rather than just being understood by individual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