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지혜-
dc.contributor.author강혜원-
dc.creator강혜원-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38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3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3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585-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 문학을 포함한 다른 교과는 분과적 학문으로 영역 간의 경계가 있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육은 분절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시대와 기술의 변화에 따른 교육의 변화로, 사회는 지식의 융합을 요구하며, 정부에서는 ‘STEAM 교육’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과학 기반의 ‘STEAM 교육’에서 더 나아가 기존에 교사가 주도하는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통합적 사고를 중시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융복합 교육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기에 ‘과학, 기술, 공학, 수학, 예술’ 등의 교과들 간 통합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며,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의 융복합 교육을 통해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유의미한 학습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분과적 학문에서 탈피하여 학문 영역 간의 경계를 허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국어과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점차 융복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시작 단계에 놓여있는 관계로 여전히 국어교육에서의 융복합 교육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소설과 역사는 접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융복합 교육에 대한 연구가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국어과와 사회과의 핵심역량을 공통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문학과 역사 교과의 융복합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때 국어과와 사회과를 동일한 비율로 융합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역사 교과를 활용하여 융복합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른 학문 영역을 넘나들며 공통된 요소를 바탕으로 폭넓은 이해와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Ⅱ장에서 융복합 교육 연구에 앞서 융복합 교육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융복합 유형 중에서 문학과 역사 교과의 융복합 교육을 위해 융복합 교육 모형 중 Fogarty(2009)의 공유 모형을 선택하여 두 교과의 접점이 되는 역사·문화적 맥락이라는 공통된 요소에 중점을 두고 융합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국어과에서의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과 ‘문학’과 ‘역사’의 융복합 교육의 의의에 대해서 논하였다. Ⅲ장에서는 융복합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에 앞서 문학과 역사 교과에서 융복합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부분과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2011개정과 2015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문학 영역 교육과정 및 사회과 한국사 영역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따른 성취기준을 살펴보았다. 2011개정 문학 교육과정과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역사·문화적 맥락에 관한 요소를 도출하여 융복합 교육의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2015개정 문학 교육과정과 한국사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융복합 교육의 변화과정 및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문학과 역사 교과의 공유 요소인 역사·문화적 맥락을 현재 출판되어 있는 2011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와 한국사 교과서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문학과 역사 교과에서 융복합이 가능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학과 역사 교과와의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작업으로서 2015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 융복합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 거의 모든 출판사가 융합 혹은 통합 활동을 다루고 있었으나, 역사 교과와의 융복합 교육이 미흡함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융복합 교육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역사·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소설 교육의 목표를 세부적으로 논하고, 이에 따라 역사·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소설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제재를 선정하였으며, 이에 제재 선정의 방향을 제시하고,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탐색하여 이를 적용한 융복합 교수·학습 모형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차시의 분량에 맞는 창의·융복합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융복합적인 문학교육 연구에 대한 시도가 오늘날의 사회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와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육 방법의 하나로서 앞으로의 교육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Until now, other subjects including literature have had boundary between areas as disciplinary science, and education in the school site has been done segmentally. However, with the change of education depending on the changes of age and technology, society requires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the government introduced‘STEAM education.’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 Ministry of Education, going further from science-based on‘STEAM education,’announc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2015 Revised Curriculum aimed at training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type talents that attach importance to integrated thinking, getting off existing knowledge-oriented education from teacher-led education. But, because the convergence education is for training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suitable for a new age, it is not only for the integration of subjects such as‘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art,' this can be a meaningful learning that can develop core competencie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focusing on‘Korean language.' If this education aims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ce type talents in this way, there is a need to break the boundary between disciplines by breaking away from disciplinary science.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Korean language course is at the beginning stage of finding a direction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follow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aimed at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ce type talents, there is still little research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despite the fact that novels and history have a lot of contact points,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the stud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ways to realize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history subjects to meet the core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in comm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aimed at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ce type talents. At this time, rather than converging Korean language and social subject at the same rate, this paper would like to explore the way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by using history subject focusing o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is, this paper aims to cross the other disciplines and to enable broad understanding and thinking based on common factors. In chapter Ⅱ,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s and type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before study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history subjects among the convergence types, this paper selected Fogarty (2009)'s shared model among the convergence education types, and tried to converge with the emphasis on the common element of history and cultural context which is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wo subjects.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literature’ and ‘history.’ In chapter Ⅲ, before prepar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plan, in order to explore the parts and possibilitie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that need convergence knowledge in literature and history subjects,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achievement criteria according to the goals and contents system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history curriculum of the social subject course in the 2011 Revision and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In the 2011 Revised literature curriculum and Korean history curriculum, by deriving elements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is paper tried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the flow of change by analyzing the literature curriculum and Korean history curriculum in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which is a common element of literature and history subjects, through the 2011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nd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now. Through this, it was able to identify areas where convergence can be achieved in literature and history subjects. Also, as a task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history subjects,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lmost all publishers were involved in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ctivities, there was a lack of convergence education of history subject, and it was confirmed that a concret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necessary. Chapter IV discussed in detail the goals of novel educ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from this, it tried to prepare a novel education plan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For this, sanctions that reflect the tim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selected, from this, the direction of sanction selection was presented, and by exploring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e model and procedure of the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that applies this were presented. And,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d concretely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ime. The researcher thinks that attempt on the study of the convergence literature educa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one of th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oday's society, will be the basis for futur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5 1. 융복합 교육 연구 5 2. 국어과와 다른 교과와의 융복합 교육 연구 9 3. 역사 교과에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연구 12 C.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5 Ⅱ. 문학교육에서 역사 교과와의 융복합 교육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 18 A. 융복합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18 1. 융복합 교육의 개념 18 2. 융복합 교육의 유형 21 B. 문학교육에서의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 및 의의 24 1. 국어과에서의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 24 2. 문학과 역사의 융복합 교육의 의의 28 Ⅲ. 융복합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35 A. 교육과정의 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36 1. 2011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문학 영역 교육과정 분석 36 2. 2015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문학 영역 교육과정 분석 39 3. 2011개정 고등학교 사회과 한국사 영역 교육과정 분석 46 4. 2015개정 고등학교 사회과 한국사 영역 교육과정 분석 50 B. 2011개정 국어과, 사회과 교과서 내 융복합 교육 내용 분석 55 1. 2011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분석 56 2. 2011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분석 70 C. 2015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 융복합 교육 내용 분석 82 Ⅳ. 역사 교과와의 융복합을 통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108 A. 역사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소설 교육의 목표 108 1. 자료 해석 및 비판적 수용 역량 108 2. 성찰적 사고와 공동체 역량 110 3. 창의적 사고와 문화 향유 역량 111 B. 역사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소설 교육 방안 113 1. 제재 선정 방향 113 2. 역사 교과와의 융복합을 통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117 Ⅴ. 결론 134 참고문헌 137 ABSTRACT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211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현대소설을 통한 문학-역사 교과의 융복합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Literature-History Subject through Modern Novels-
dc.creator.othernameKang, Hyewon-
dc.format.pagevii, 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