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8 Download: 0

‘시청자 참여 1인 방송 프로그램’의 소통 양상 분석 및 확장적 배려 화법 교육 방안 연구

Title
‘시청자 참여 1인 방송 프로그램’의 소통 양상 분석 및 확장적 배려 화법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Audience Participating One Man Show Broadcasting Program〉
Authors
이상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at utilizing visual media to explore the effective methods to approach the education of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not only embraces the function of enhancing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itself yet paves the road for the creation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prompting the development of harmonious communities. The study proposes a conjecture stating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 withal showing how its influence goes above and beyond daily communication activities, with the intent to suggest an effective model of education. To fulfill the latter, first we reviewed the past studies on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within the narrative methodology, the concept and its significance. Additionally, we place emphasis on the usage of visual media as a way of effective education. Undeniably, we are living in a world that is exposed to the media, whereas the latter shows a continuous evolution. Understandabl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ve birth to the reference given to the present world, as the generation of the media.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latter and the usage of language in daily life are familiar to us, yet studies on the matter are still minimal. The media-based classes, assisted in fueling the motivation of students, allowing for voluntarily engagement to take place, and eventually the application of it onto their actual lives; preeminently, the reference given to visual media itself, can be of e.g a complex literacy, whereas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lements are factored in easing its comprehension whereas organized in an integrated manner, resulting in ameliorating its educational effects. As the target of our study, we selected the one man show, (Single-party broadcast) “My little Television”, because we felt compelled to deliver the ipso facto nature of the program, that would pave the road for us to examine the broadcasting voice language, the imminent virtual character from virtual space and the non-verbal cues of visual media all at once. Considering how in recent years, the one-man show broadcasting format,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public as a new tool of communication within a determined culture, therefore, naturally attracting the attention of learners, interlocking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on examining the nature and elements of contemplative narrative. Correspondingly, we will leaf through textbooks that were implemented for the academic revised curriculum of 2015, where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implemented, in an effort to complement the deficiencies of the active education methodology. In Chapter II, the a priori studies on concept and mere nature of consideration were summarized and reviewed, where categorization and redefinition of its elements took place. The essence of conscientious conversation can be grouped into categories such as, listening tendencies, structured identities, and interactional negotiation. To illustrate, it refers to that particular stage where the dialogue commences from the Speaker’s side, where the speaker and listener become aware of the each other’s existence, reaching the cooperative stage of the relationship. And to categorize the specific factors of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to come up with, Relationship perception, Building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Expressions, and Reconstructing Meanings. In relationship perception, we can find the listening and sympathy as its main elements, yet for building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expressions, we can encounter, open questioning from the public, personal delivery method, collective delivery method, listener or audience-oriented vocabulary selection, indirection vocabulary selection, under reconstructing meaning, we saw application and asking again. The nonverbal elements have laid the grounds for theoretical foundation in creating educational model with the usage of complex literary expression strategies. The latter part of the chapter, explores the fortes and weaknesses that may need to be complemented, of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s they are being implemented from the 2015 academic curriculum. In chapter III, we had analyzed the conversation in the one man show “My Little Television” program with audience participation. Through the study, we were able to obtain the fundamental connection of the following categorizations, Speaker centered speech vs non-receptive listening, and the listener centered speech, vs receptive listening. As non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speech methods, the speaker centered speech and non-receptive listening, were divided into self-centered expression methodology, rejecting methodology, closed questioning methodology, non-communicative method, non-sympathetic receptive method. The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methods of speech, the listener centered speech and receptive listening, were basically divided into structured expression methods and non-structured expression methods. As subcategories, we have the open styled question methodology and sympathetic response method. Listener centered speech, vocabulary selection, indirection expression methods, deliverance of self-method, collective deliverance, agreement, therefore methods, and therefore methods, re-questioning methods, reversing positions method, giving the speaker’s judgement the benefit of the doubt, listener knowledge sharing method, whereas connecting these to the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characteristics and main factors. In chapter IV, we set forth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delivered suggestions to teaching methodology model with the application of the visual media. In regard to the educational direction, the perspective from the listener centered speech methodology in speech training, in other words, the speaking training from the audience view point. Second, the cultivation of mutual negotiation abilities through diverse situations and contextual experiences, third, the proposal on sharing contents via the media and the analysis/evaluation of meta-peotic viewpoints. The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lessons were based on presenting contents of listening and speaking of visual media,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media and of media language, organizing the nature and principles of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feedback through sharing the video element, and the application and interaction with actual language in real life. In principality, the model produced from this study, lies emphasis on mutual negotiation abilities in actual practice, and application of those practice by the learner within the scope of narrative education, withal prioritizing the need to identifying verbal and non-verbal cues within various contexts, using visual media in order to ease the supplementation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ly applied methodologies.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allows the formation of new identity through the listener centered methodology, in an effort to respect and comprehend the other party, the listener whereas building cooperative interrelationships. Cooperative relationships, can be built upon mutual agreement. The incessant inquiry to warrant the identity of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 deriving from the foundation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present society where the individual alienation is common rather than rare, fomenting the cultivation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abling dynamic communication, and assisting in building true relationships. Keywords: Caring, Caring Listening and Speaking, conversation analysis, listener oriented (centered) communication, mutual negotiation, application of visual media in education.;본 연구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배려 화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배려하는 듣기·말하기는 의사소통의 질을 높이고, 더욱 원활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상대와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며, 화합할 수 있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법이다. 본 연구는 배려 화법이 의사소통의 문제를 넘어서 실제적 언어생활 전반에 즉, 일상적 삶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개념이라고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화법 교육에서의 배려 화법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며, 배려 화법의 개념과 그 중요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효율적으로 교육할 방법으로 영상 매체를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우리는 매체 문화에 매일 노출되어 살고 있으며, 매체는 끊임없이 발달하고 있다.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매체 세대’라고 불릴 만큼 매체와의 생활은 일상이 되었고, 매체를 통한 언어생활은 익숙해져 있지만,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동기 유발에도 도움을 주고, 학습자들의 실제적 언어생활에 응용하기 위해 자발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특히 영상 매체는 복합 문식성의 특징으로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적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연구의 대상은 1인 방송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을 선정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의 특성상 방송의 음성언어와 가상공간의 인스턴트 문자 언어, 영상 매체의 비언어적 요소의 소통양상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 최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로서 각광받고 있는 1인 방송이 학습자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과 배려 화법의 성격과 요소를 살펴보며, 구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영상 매체와 함께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시행된 교과서를 살펴보며, 현재 교육에서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하여 구체적인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배려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배려의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배려 화법의 성격을 재범주화 하였고, 요소를 재 정의하였다. 배려 화법의 성격은 대화의 관계 발전에 주목하여, ‘청자 지향성’, ‘구성적 정체성’, ‘상호 교섭성’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는 대화의 관계가화자로부터 출발하여 화자와 청자가 서로 존재를 인정하는 단계에서 협력적 관계에 이르는 단계로 완결된다. 또한 배려 화법의 요소로는 언어적 요소를‘관계 인식하기’, ‘배려적 표현 구성하기’, ‘ 의미 재구성하기’로 분류하였다. ‘관계 인식하기’에는 경청하기, 공감하기가 있으며, ‘배려 표현 구성하기’는 청자 지향적 관점의 열린 질문하기, 나 전달법, 우리 전달법, 청자 지향 어휘선택, 간접적 표현 선택이 있다. ‘의미 재구성하기’에는 반영하기와 재질문하기가 있다. 비언어적 요소는 복합 문식성 표현전략을 활용하여 교육 모형을 만드는 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장에서 마지막은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시행하는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배려 화법과 매체에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여 장단점과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 탐구하였다. 시청자 참여 1인 방송 프로그램인‘마이 리틀 텔레비전’의 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화자 중심적 말하기와 비수용적 듣기의 대화 관계와 청자 중심적 말하기와 수용적 듣기의 대화 관계로 나누어 추출하였고, 각각 유형화하였다. 배려 화법이 아닌 화자 중심적 말하기와 비수용적 듣기는 자기중심적 표현방법, 거절하기 방법, 닫힌 질문 방법, 너 전달법, 비공감 응대 방법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배려 화법인 청자 지향적 말하기와 수용적 듣기는 구조적 표현방법과 비구조적 표현방법으로 나누었고, 세부 분류로 열린 질문 방법과 공감적 응대 방법, 청자 지향 어휘 선택 방법과 간접적 표현 방법, 나 전달법과 우리 전달법, 동의, 그래서 방법과 동의, 그러나 방법, 되묻기 방법, 입장 바꾸기 방법, 화자의 판단 유보하기 방법, 청자 지식 공유화 방법으로 분류하여 배려 화법의 성격과 요소들과 관련지어 정리하였다. 영상 매체를 활용한 배려 화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육 방향으로 첫째, 청자 지향적 관점의 말하기 수행 교육, 둘째, 다양한 상황과 맥락의 경험을 통한 상호교섭 능력 함양, 셋째, 매체를 통한 콘텐츠의 공유와 메타적 관점의 분석 및 평가 지향을 제안하였고, 배려 화법의 수업은‘영상 매체의 듣기·말하기 맥락 제시하기’, ‘매체의 특성과 매체 언어의 특성 파악하기’, ‘배려 화법의 성격과 원리 정리하기’, ‘배려 화법 적용하고 의미 재구성하여 영상 제작하기’, ‘영상 제작물 공유화하여 피드백하기’, ‘ 실제 언어생활에 응용하고 교류하기’순으로 수업이 진행되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모형은 화법교육에 있어서 상호 교섭성과 학습자의 실제적 수행과 응용을 추구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기존의 배려 화법이 태도에 초점이 맞추어 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영상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통해서, 언어와 비언어적 요소를 살펴볼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함을 논의 한다. 배려 화법은 청자 지향적인 관점으로 상대를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으로 청자를 통해 나의 새로운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호교섭을 통한 협력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합하기 보다는 분열하고, 소통하기보다는 개인의 소외가 흔한 현 사회에서,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의 토대가 되는 배려 화법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탐구는, 역동적인 소통을 가능케 하고 진정성 있는 인간관계를 갖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주요어: 배려, 배려 화법, 대화 분석, 청자 지향 화법, 상호 교섭, 영상매체 활용 교육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