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오민아-
dc.creator오민아-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3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3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5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56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5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이/가’ 중출문 습득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이/가’ 중출문은 한 문장에 주격 표지가 붙은 명사구가 두 번 나타나는 현상으로 전 세계 언어 중 한국어와 일본어 등 몇몇 언어에서만 보이는 특이한 현상이다. 한국어는 주격 조사 ‘이/가’를 붙임으로 주격을 표시하며 영어는 형태적인 주격 표지는 없고 어순으로 주어가 표현된다. 또한 ‘이/가’ 중출문은 한 문장에 주어가 두 번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는 현상인데, 영어는 한 문장에 한 주어만 나타나는 1문 1격의 원칙이 적용되는 언어이다. 제2언어 습득에 학습자의 모국어가 영향을 미친다면 이러한 모어 배경을 가진 영어권 학습자들에게 ‘이/가’ 중출문 습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을 통해서 영어권 학습자들의 ‘이/가’ 중출문의 유형별, 숙달도별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Ⅰ장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이/가’ 중출문 관련 연구와 영어권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조사 습득 연구중심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이/가’ 중출문의 습득이 모어화자와의 차이가 나는가이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의 ‘이/가’ 중출문의 통사구조와 유형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 문항에 쓸 ‘이/가’ 중출문 유형을 선택하고 영어와 대응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2언어 습득에서의 모국어 전이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도구는 Ⅱ장에서 논의한 ‘이/가’ 중출문 유형 네 가지, 소유 관계 유형, 수량 관계 유형, ‘되다’, ‘아니다’ 유형, 기능성 자동사 유형을 바탕으로 ‘이/가’ 중출문의 습득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빈칸 채우기’ 과제로 설정하였다. 실험 대상은 영어권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62명과 한국어 모어화자 30명인데, 영어권 학습자는 숙달도 검사를 통해 숙달도 하 집단 30명과 상 집단 30명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계한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모어화자 집단과 숙달도 상하 집단 총 세 집단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모든 집단의 평균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와 학습자 집단이 모어화자 수준의 습득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 검정(Scheffe test)에서 유형별로 각 집단의 평균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이/가’ 중출문의 네 유형 중 소유 관계 유형과 ‘되다’, ‘아니다’ 구문 유형에서 숙달도 상 집단이 모어화자와의 평균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형에 따라서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가’ 중출문 습득이 가능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수량관계 유형’과 ‘기능성 자동사 구문 유형’은 숙달도가 높아져도 습득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별로 빈도분석을 통해 오류의 빈도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숙달도에 관계없이 ‘이/가’ 중출문의 ‘NP1 이/가 + NP2 이/가+ VP’ 구조에서 NP2의 조사 자리에서의 오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을/를’로의 대치오류가 많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형별 빈도분석을 통해 숙달도 상 집단이라도 오류율은 낮아졌지만 학습자들의 오류 유형이 숙달도 하 집단과 같고 모어 화자와는 상이한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모국어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결론과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는데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이/가’ 중출문 습득에 있어 영어권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영향을 받으며, 숙달도의 향상에 따라서는 유형에 따라 극복이 되는 유형이 있고, 극복이 되지 않았던 유형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가’ 중출문 습득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고 존재하는 실험 연구는 중국어권 학습자 대상의 연구에 한정된 바, 본 연구는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에 주목하여 영어권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가’ 중출문 습득에 있어 모국어 전이 현상이 일어나는가에 대해 실험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pplied acquisition of native English speakers’ use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Korean’s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is a unique phenomenon where the subject marker is attached to two subject clauses within the same sentence, and is found in only a few languages throughout the world, such as Korean and Japanese. The nominative case is marked in Korean by the attachment of the ‘i/ka’ nominative case particles onto other words, while in English the nominative case is not marked through morphological features, but through word order. Additionally, Korean allows the use of multiple subjects in a sentence through using this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while English adheres to the rule of only one subject per sentence. It is predicted that if second-language acquisition is effected by one’s native language, then learners with this native language background should have a harder time when using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native English speakers’ proficiency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and applied acquisition based on the form it takes. Chapter I will shed light on the objectives of similar types of research, focusing on reviewing prior studies regarding the teaching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in Korean education, as well as studies on Korean particle acquisition by native English speakers. Research questions will also be established based on this research. The research question to be discussed here is, “Does the acquisition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by native English learners of Korean differ from that of native speakers?” Chapter II will go over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types of the Korean double negative ‘i/ka’ construction, select types to be used with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that will appear in the survey experiment questions, and examine the corresponding structures in English. It will then conclude with a discussion regarding the transfer of one’s mother language into the acquisition of a target second language. Chapter III will describe the research method. As for research implementation, the ‘cloze test’ method was chosen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ed acquisition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based on the four types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as discussed in Chapter II. Test participants include 62 native English learners of Korean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The English speakers took a proficiency test which divided them into high-proficiency and low-proficiency groups each consisting of 30 members before carrying on with the experiment. Chapter IV analyz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laid out in Chapter III. When the total averages of each of the 3 groups- native speakers, high-proficiency, and low proficiency groups- were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with both of the Korean learners' groups unable to reach the standards set by the native Korean speakers. However, when the average differences based on form type from each group were compared from the post-hoc (Sheffe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s of the native Korean speaker group and the high-proficiency group in the possessive relations type and the ‘doeda,’ ‘anida’ construction type, two of the four types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quisition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of certain types is made possible through higher proficiencies. Alternative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quantity relations types and support verb construction types are difficult to acquire despite having a high proficiency. Error frequency was checked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errors in native English Korean learners' placement of the second NP marked nominative in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NP1 'i/ka' + NP2 'i/ka', regardless of proficiency. In addition, the frequently occurring substitution errors of 'eul/reul' were also able to be confirmed. By looking at error frequency based on type, although the high-proficiency group had lower error rates, the learners' error types were the same as the low- proficiency group, but different from the native Korean speakers. This shows that learners were not able to completely rid themselves from the influ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Chapter Ⅴ goes over the conclusion,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In conclusion, it was discovered through this research experiment that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native English speakers learning Korean were indeed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There were certain types that could be overcome through an improved proficiency, and certain types that could not be overcome.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in Korean education regarding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the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and the research that does exist was limited to only Chinese learners of Korean. This research brings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English, and this experimen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discovered whether or not native English learners had any transferring of their native language when acquiring the Korean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 3 C.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11 Ⅱ. 이론적 배경 12 A. 한국어의 이/가 중출문 12 1. 이/가 중출문의 통사 구조 13 2. 이/가 중출문의 유형 15 B. 제 2언어 습득에서의 모국어 전이 26 Ⅲ. 연구방법 30 A. 연구 대상 30 B. 연구 절차 32 C. 연구 도구 34 D. 자료 분석 방법 37 Ⅳ. 영어권 학습자의 이/가 중출문 습득 양상 38 A. 소유관계 유형 44 B. 수량관계 유형 48 C. 되다, 아니다 구문 유형 52 D. 기능성 자동사 구문 유형 57 Ⅴ. 결론 및 논의 65 참고문헌 68 부록. 영어권 학습자용 설문지 72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65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이/가’ 중출문 습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acqusition of Korean's double nominative 'i/ka' construction by native English speaker-
dc.creator.othernameMina Oh-
dc.format.pagevi, 85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이민경-
dc.contributor.examiner정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