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지역 언어문화 교재 개발 연구

Title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지역 언어문화 교재 개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developing textbook of creative learning activity regional linguistic culture : affiliating with social studies
Authors
권혜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사회과 연계를 통해 지역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재를 개발하는데 있다. 지역 언어문화는 특정 공간에서 살아가는 구성원들의 언어생활 전반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지역 방언, 관용적 표현, 속담 등을 통해 고유한 문화를 드러낸다. 또한, 일정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 양상과 독특한 풍토, 구성원이 중시하는 가치 및 정서를 자연스럽게 함의해, 언어공동체의 연대감을 강화한다. 그러나 지역 언어문화 교육은 특별히 교육과정 및 방안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다는 오해와 함께 표준어 교육에 밀려 외면 받아온 면이 있다. 오늘날 학습자들은 많은 드라마 및 영화 매체를 통해 지역 방언을 접하고 있으며, 실제 언어생활 전반에서 어릴 적부터 체득해 온 지역 방언을 사용한다. 이러한 지역 언어문화는 학습자의 언어정체성을 자연스럽게 구성하면서, 지역 사회 안에서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잠재적인 언어 규범 및 가치를 체득하게 만든다. 따라서 더 이상 지역 언어문화를 도외시 될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소속된 지역 언어문화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언어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Ⅱ장에서 지역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필요성과, 국어과·사회과 이론적 검토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행 교육 양상을 고찰했다. 그 결과, 국어과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타 교과에 비해 부족하고, 교과 연계가 잘 이뤄지지 않아 연계 가능한 체험활동 교육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그리고 국어과와 사회과 두 교과에서 모두 지역 언어문화에 관한 필요성이 요구되는 반면, 현행 학교 교육에선 지역 언어문화 교육 내용이 생략되거나, 학습자의 탐구 기회가 부족한 것을 확인했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지역 언어문화 교육에 관한 예비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한다. 따라서 개발 교재의 지향, 내용의 설계, 제재 개발을 연구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언어문화 개발 교재의 지향점으로 학습자의 사회적 문식성 신장, 자발적 참여 및 탐구 기회 제공, 지역 언어 정체성 인식 및 언어적 관용의 함양을 제안한다. 둘째, 지역 언어문화 교육 내용으로 지역 방언을 활용한 교육 내용 설계, 관용적 표현을 활용한 교육 내용 설계, 언어적 관용의 태도 함양을 위한 교육 내용 설계를 마쳤다. 셋째,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 및 탐구 기회 제공을 위한 제재로 지역 방언이 드러난 문학작품 목록, 지역별 언어문화 축제, 언어문화와 관련한 매체 제제를 개발했다. 지금까지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실제 서남 지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역 언어문화 교재를 개발했다. 우선, 교육 내용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을 전제로 한 지역 언어문화 개념 정립, 지역공동체 언어관습의 이해 및 가치 인식, 타 지역 언어문화를 존중하는 태도 함양을 선정했다. 그리고 서남 지역 언어문화 개념 정립 교재 내용과, 언어적 관습 및 관용적 태도 함양에 관한 내용을 개발해 제시한다. 개발 교재는 학습자 활동 위주의 주제 중심으로 구성해, 실제 교실 현장 환경에 맞게 선별적으로 주제를 선택해 수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이 드러나듯이, 특정 지역 학습자가 자신이 소속된 지역 언어문화를 탐색하고, 그로 인해 자신의 언어생활에 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지역 언어문화 교육 내용을 제안한다. 또한, 실제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개발 교재를 마련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성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개발한 지역 언어문화 교재를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해 보지 못했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갖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Ⅳ장에서 개발 교재를 활용해 실제 수업현장에 적용할 경우, 이뤄질 수 있는 주요 학습 내용 및 학습자 활동, 적합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의 예시를 제시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지역 언어문화 교육에 관한 후속 연구를 통해, 향후 지역 언어문화 교육의 유의미한 교육 방안이 계속 개발되기를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eative learning activity textbook for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 affiliating with social studies. Regional linguistic culture includes the overall language life of people living in a certain region, and specifically, reveals its unique culture through local dialects, idiomatic expressions, proverbs etc. It also includes lifestyles, unique customs, values, and emotions of people living in that area which naturally strengthens its language community solidarity. However,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 has been disregarded due to the misunderstandings that it does not need a specific educational curriculum, and also since the educational focus was all on standard language only. Nowadays, learners are exposed to dialects through various media; drama & movie and use the local dialect that they have acquired since childhood. The regional linguistic culture naturally forms the learner's language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learner to acquire language norms and values through sharing with people in the community. Therefore, regional linguistic culture should no longer be neglected and is important to recognize learner's language culture and to educate them to cultivate positive linguistic identity. Thereupon chapter Ⅱ of this study has examined the necessity of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for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 reviewed theoretically of Korean language·social studies, and studied current educational aspects through analyzing textbooks. As a result, Korean language courses lacked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compared to other subjects and found the need for an experimental education program that has linkages with other fields. Moreover,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Korean language·social studie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subjects required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 but the current curriculum either eliminated it or showed low learning opportunity for learners. Chapter Ⅲ provide the basic foundation of developing textbook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about the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II. Therefore, the result of, the educational aim of textbook, content principle, studying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aim of developing regional linguistic culture textbooks, enhancement of learner's social literacy, voluntary participation,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explore, recognition of regional language identity and linguistic tolerance are suggested. Second, as the contents of regional linguistic culture,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social·cultural literacy, recognizing the regional linguistic identity, and cultivating the attitude of verbal tolerance has been completed. Third, as for the resource material for providing research opportun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earner’s, index of literature with regional dialects, charts showing regional linguistic culture festivals, and media resources related to linguistic cultur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hapter Ⅳ developed regional linguistic culture textbooks for actual learners in the southwestern region.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defining the concept of regional linguistic culture on the premises of social·cultural context,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community's language customs, and respecting other region's language culture were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s. Moreover, this chapter develops and presents textbook contents of southwestern region's linguistic culture concept and linguistic custom as well as enhancement of learner's tolerance. The developed textbooks are composed of topics based on learner's activities, and also so that topics may be altered accordingly to the different classroom environments. This study, as it shows individual's identity through linguistics, provides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al contents so that learners in a certain region explore its language culture and through that establish his own language identity. Moreover, this study's outcome is that an actual textbook was developed for a certain reg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 developed textbook was not actually applied in learning environments. To redeem such limitations, chapter Ⅳ provides examples of educational contents with learner's activities and appropriate creative learning topics when utilizing the developed textbooks at actual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 follow-up study on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 at actual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this study, we expect a meaningful development in regional linguistic culture educational method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