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과보호와 방임을 경험한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대인관계 발달에 관한 혼합연구

Title
과보호와 방임을 경험한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대인관계 발달에 관한 혼합연구
Other Titles
A mixed methods study on The Effects of Overprotection and Neglect on early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hors
정해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If parents pressure their children too much to achieve in school regardless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by controlling their daily life, especially in their adolescence when their autonomy and independence should be fostered, their children may have difficulty having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and/or teachers even if they academically succeed, because they have learned to be directed by others and thus, dependent.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effect of overprotection and negl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by regarding overprotection and neglect, among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as dysfunctional. For this study, a mixed method which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study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both overprotection and neglect.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a longitudinal research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The data were from the first year to the fourth year of the panel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fourth-year students on the first year of the survey. Based on the said data, a path analysis of the effect of overprotection and negl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was conducted, using depression and aggression as mediating variable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effect of overprotection and negl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child was sought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overprotection and neglect from the views of a mother and a child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and contex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showed that overprotection and neglect occurred simultaneously and affected each other. Neglect affected the adolescents more negatively than did the overprotection. Overprotection negativel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neglect negatively affected both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verprotection and neglect positively affected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depression and aggression negativel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pression and agg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verprote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negle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between neglec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at the adolescents who were experiencing conditional overprotection were also suffering conditional neglect simultaneously. Those adolescents felt repulsion toward the contradictory parenting attitude, but preferred to obey it rather than to appeal their discomfort. They seemed to have a higher level of pressure on their school record, because they consider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unsatisfactory; and given the result that they felt comfortable when alone and were satisfied only with a fixed circle of friends, even though they seemed to have adapted well to school life on the surface, it was possible that they would have difficulty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would be increasingly complicated over time. In the meantim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on overprotection and neglect showed contradict parenting style that the mothers exercised overprotection and neglect simultaneously while most of them were unaware that they were problematic behavior in South Korea. The deduced implications of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future study must investigate overprotection and neglect together, not separately, because it was found that they occur simultaneously. Studies must be conducted that reflect the current unique situation of South Korea, where overprotection and neglect of adolescents cooccur, not based on the dichotomous way of thinking of western countries wherein parents deal with their children’s need for autonomy from the aspects of attachment or separation and overprotection or neglect. Second, the family system theory,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unique situation of South Korea, is needed. This study showed that overprotection and neglect occur simultaneously, which contradicts the exercise of overprotection in some situations and of neglect in other situations. That is, uniquely in South Korea, overprotection caused by enmeshed relationships and neglect through disengaged relationships have coexisted simultaneously, which shows that the family system theory, which was formulated based on western culture, cannot be properly applied to the unique situation of South Korea. Therefore, the family system theory,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of South Korea,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both overprotection and neglect due to the contradictory parenting attitude of their mothers showe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that those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negatively affecte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in the dimensions of the policy and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 awareness must be promoted of the fact that simultaneous experiences of overprotection and neglect must be regarded as emotional abuse,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parents realize that their parenting attitudes of overprotection and neglect, which are commonly exercised in Korean society, are harmful for their child’s total development.;자율성과 독립성을 추구하는 청소년기에 부모가 성취압력을 과도하게 행사하면서 청소년의 일상생활을 통제하고 공부 외의 것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방임적 태도를 보인다면 청소년은 학업적 성취는 하지만 타율적이고 의존적인 생활방식을 학습한 나머지 또래관계나 교사와의 관계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에 만연되어있는 과보호와 방임을 문제적 양육태도로 보고 과보호와 방임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과보호와 방임을 경험한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대인관계를 연구하였다. 먼저, 양적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1차년도 부터 4차년까지 자료를 활용하여 과보호와 방임의 관계를 분석하고, 과보호와 방임이 우울과 공격성을 매개로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질적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관점에서 각 각 과보호와 방임의 의미와 현상에 대해서 분석하고 과보호와 방임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경험적이고 맥락 중심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포괄적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연구 연구 결과, 과보호와 방임은 동시에 발생하며 과보호와 방임은 서로 영향관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과보호보다 방임이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보호는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임은 대인관계와 학업성취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과보호와 방임은 우울과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과 공격성은 학업성취와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우울과 공격성은 과보호와 학업성취, 방임과 대인관계, 방임과 학업성취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의 결과, 청소년들은 과보호를 경험하는 경우 방임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보호와 방임을 동시에 경험하는 청소년은 어머니의 모순적 양육 태도와 행동에 저항감을 느끼지만, 불편감을 호소하기보다는 순종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과보호와 방임을 동시에 경험하는 청소년은 스스로의 학업성취를 미진하다고 생각하며 성적에 대한 압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청소년들은 표피적으로는 적응을 잘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적극적 대인관계보다 혼자서 노는 것을 편하게 생각한다거나, 정해진 친구관계의 테두리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점점 복잡해지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보호와 방임 현상을 부모 된 입장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탐색해본 결과, 우리 나라에서 과보호와 방임은 공존(cooccurance)하며 대부분의 부모가 이것을 문제적 양육태도로 인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과보호와 방임은 동시에 발생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과보호와 방임을 각각 연구하기보다는 과보호와 방임을 동시에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부모의 자율성 분배를 밀착과 분리 혹은 과보호와 방임의 분절적 개념으로 보는 서구적 관점의 이분법적 접근보다는 과보호와 방임이 공존하며 혼재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반영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가족체계이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보호와 방임이 동시에 발생하고, 상황에 따라서 과보호를 하면서, 다른 상황에서는 방임을 하는 모순적 양육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가족체계 이론의 경계가 약한 체계(enmeshed relationship)의 연장선상의 과보호와 경계가 강한 체계(disengaged relationship)의 연장선상의 방임이 우리나라에서는 분리되어 나타나고 있지 않고 경계가 약한 체계와 경계가 강한 체계가 공존하면서 혼재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나 서구 문화적 배경의 가족체계이론이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용 가능한 가족체계이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과보호와 방임이 혼재되어 있는 모순된 양육태도로 인해서 청소년이 과보호와 방임을 동시에 경험하면 우울과 공격성이 높아지며, 과보호와 방임은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혼합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관점에서 과보호나 방임을 동시에 경험하는 것이 청소년 개인의 차원에서는 정서적 학대라는 것이 인식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차원에서의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실천현장에서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되어있는 부모의 과보호와 방임적 양육태도가 문제적 양육태도라는 인식이 부모교육을 통해서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