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임상희-
dc.creator임상희-
dc.date.accessioned2018-08-23T16:30:11Z-
dc.date.available2018-08-23T16:30:1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7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477-
dc.description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포트폴리오는 고급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듣기 교육 시간에 TV뉴스를 활용한 교육 교재 개발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급 학습자들은 한국어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서 개개인의 관심 영역 및 성향 등이 좀 더 다양해져서 TV 뉴스 듣기, 라디오 듣기 등 한층 심화된 듣기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듣기 자료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나타나고 한국문화를 알 수 있는 TV 뉴스 듣기가 고급 학습자들에게 꼭 필요하다. 그래서 고급 학습자들을 위한 듣기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고급 학습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언어 생활을 할 때 친숙한 사회적인 소재의 내용을 들을 때는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전문적이고 친숙하지 않은 주제를 들을 때 어려움을 호소한다. 그래서 이를 원활하게 듣기 위해 개인의 관심 영역에 따라 드라마, 영화, 음악 방송, 예능프로그램, TV 뉴스 등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구어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는 실제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어를 교육해야 한다는 주장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때문에 많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영화나 노래 등의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듣기 수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노래는 현실적 언어 사용과 동떨어져 있고 영화는 학습자가 배우들이나 이야기 줄거리에만 지나치게 집중하기 때문에 교육 효과가 많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음으로 선행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하여 TV 뉴스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김지현(2005)에서 실시한 학습자 요구 조사 결과 “TV 뉴스 듣기 수업이 필요한 이유”는 다양한 어휘를 학습할 수 있고,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TV 뉴스를 이해하는 방법과 격식적인 방송 담화를 이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최은영(2012)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93%에 해당하는 학습자가 뉴스를 몰라 대화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TV 뉴스 형식 구조3)에 익숙하지 않으며, 뉴스의 빠른 속도와 시사용어와 관용어 등의 어휘 때문에 뉴스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듣기 영역 평가 기준에 의하면 6급 학습자라면 대부분의 뉴스나 방송을 듣고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은영(2012)에 따르면, TV 뉴스 전체 내용의 50% 이하만 이해할 수 있다는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의 84%를 차지하였다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제 학습자들의 TV 뉴스 이해도가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듣기 평가 기준으로 제시하는 TV 뉴스의 이해도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편, 2017년 8월 31일 법무부 통계에 의하면 국내 외국인 거주 인구는 2,062,973명이며, 향후 빠른 시간 내에 300만 외국인 주 시대가 도래한다고 전망하고 있다. 세분하면 이주 근로자 569,809명, 유학생 136,234명, 다문화 자녀 298,000명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가 적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공부하는 유학생과 본국에서 공부하는 학습자를 위한 듣기 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듣기 교육 현장에서 쓰는 듣기 자료로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실제 자료인 TV 뉴스를 활용한 듣기 교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한국어 듣기 교육 현장에서 듣기 자료로 TV 뉴스를 선정하는 근거는 선행 연구를 통해‘TV 뉴스 교육의 효용성’과 ‘실제 학습자들의 필요성’두 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 연구 유우(2012)에서 TV 뉴스를 통한 교육의 효용을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TV 뉴스는 국내에서 매일 새롭게 발생하는 일을 보도하고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뉴스에는 수많은 정보가 담겨 있어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자신이 필요한 정보들을 많이 접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둘째, 한국 TV 뉴스를 시청하는 것은 한국인과 한국 사회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 TV 뉴스는 주관적인 주장이나 사실 왜곡 등 감정적인 요소들을 최소화하고 객관적인 사실을 보도하기 때문이다. 셋째, TV 뉴스는 일상에서 자주 쓰는 어휘, 표현들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어휘, 한자어, 약어, 외래어, 사자성어, 속담, 관용어 등 다양한 용어를 포함하기 때문에 어휘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넷째, TV 뉴스를 보도하는 아나운서와 기자들의 뚜렷하고 정확한 발음이 한국어 발음을 교육함에 있어서 좋은 견본이 될 수 있다. 다섯째, 학습자들이 청각적인 감각에만 기대어 듣기 이해가 어려울 때에 TV 뉴스의 시각적인 특징은 듣기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 여섯째, TV 뉴스는 학습자의 접근이 용이하여 수업 후에 인터넷을 이용하여 TV 뉴스를 다시 시청하거나 복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에 반해 TV 뉴스는 정치, 경제 등의 내용이 진지하고 어려워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가 어렵고, 또한 기자나 앵커의 발음이 일상 대화에서 접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점도 있다. 그러나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TV 뉴스는 다양한 정보를 받을 수 있고, 전문적인 어휘 표현을 많이 접할 수 있는 등의 장점 때문에 TV 뉴스는 좋은 교육적 듣기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고급 학습자들을 위한 듣기 자료로써 TV 뉴스 활용은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나라와는 다른 한국만의 개인적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교재 개발 연구를 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교재 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1 Ⅱ. 선행 연구 검토 4 Ⅲ. 교재 개발의 원리 7 A. 이론적 배경 7 B. 내용중심 교수법 17 C. 교수 학습 상황 20 D. 교재의 구성 22 Ⅳ. 교육적 효과 26 참고 문헌 28 Ⅴ. 부록 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002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TV 뉴스 듣기 교재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30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김영규-
dc.contributor.examiner이민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