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석민-
dc.creator석민-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39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3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3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33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98-
dc.description.abstract인터넷 및 모바일기기의 급속한 발달과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에 있어서 적절한 앱(APP)의 활용은 학습자가 주도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학생들의 수행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과제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장점들에 기반하여 특수교육 분야에서도 스마트러닝 특히, 앱 기반 중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교육은 취업과 관련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교육현장에서 직업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접근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앱(APP)을 활용한 직업교과 교수-학습 방식은 학생들의 간접적인 실습효과를 높이고 과제 집중도 및 과제수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학습도구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장애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이 갖는 능력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졸업 이후 취업에 대한 요구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특수학급의 경우 직업교육의 내용이나 방법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을 위한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중재에 사용된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직업수행’및‘기초직업’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직업수행단계는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직무를 익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기초직업단계는 손님응대, 주문받기, 계산하기 등의 지속적인 반복학습을 필요로 하는 활동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후반에는 교내 ‘아름다운 카페’를 오픈하여 바리스타 직무와 관련한 직접적인 실습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이 포함되었다. 또한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학생들로 하여금 ‘자기점검, 자기평가’와 같은 전략들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D광역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8명의 지적 및 자폐성장애 학생들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의 성별, 연령, 장애유형 및 등급이 유사하도록 서로 짝을 지어 각각 9명씩 배치하였다. 중재를 위해 실험집단에는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기본교육과정을 활용한 수업 및 현장중심의 직업활동을 적용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은 직업시간에 주 1회씩(1회기당 3시간)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 변화 차이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 변화 차이를 두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학생들의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쩨,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 간 진로성숙도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통제집단 학생들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에게 특수학급 내에서 진행되는 제한된 직업교육과정의 내용에서 벗어나 장애인의 취업직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리스타 직무와 관련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학급 내에서 실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장애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폰 앱(APP)을 활용하였고 자발적인 참여를 위하여 자기점검, 자기평가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에게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직업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어떤 기준에 따라 직업을 선택해야하는지를 알게 함으로써 직업 선택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them in an educational setting.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in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ables learner-led self-directed learning and facilitates learning by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on students' performance. Based on these advantag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mart learning, especially for app-based intervention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ir employment, and various approaches are being tried as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Among them, vocational 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an app can be meaningful as it becomes a leaning tool to enhance the indirect experience of students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task concentration and task performance.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bility of individuals is very diverse and the demands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lso differ. In Korea, howeve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vocational education are very limited especially in special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d conducted a smart phone application bas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bas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on performing coffee making tasks and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pp-bas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vocational training” and “vocational basis”, which were conducted for 10 sessions. The vocational training phase consisted of activities to learn the function of manufacturing coffee beverages, and the vocational basis phase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require repetitive learning such as reception, ordering, and calcul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program, there was an activity to open a “Beautiful Cafe”on school to ensure a hands-on training opportunity. Moreover, strategies such as “self-monitoring” and “self-evaluation” were used to attrac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ight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autistic disabilities in high school special class in the city of D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tudents similar in terms of gender, age, disability type, and grade were paired, and each of the pair was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app-bas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field-oriented occupational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vocational class over a total of 10 sessions once a week.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app-bas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coffee making task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ed 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areer maturity was analyzed by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performing coffee making task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enhancement in independent performance accur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career matur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in career matur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lassroom of th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 job of barista, which is in the spotlight as a job for the disabled persons. In the process, a smart phone app was us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rategies such as self-monitoring and self-evaluation were employed for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giv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onfidence to choose a job by providing them opportunities for job searches in a new way and by making them aware of the criteria being selected for a job.-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6 1.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 6 2.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 7 3. 진로성숙도 7 Ⅱ. 이론적 배경 8 A.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8 1.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실태 8 2. 직업교육으로서의 바리스타교육 12 3. 장애학생의 진로성숙도 14 B. 장애학생과 스마트러닝 17 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특징 17 2. 스마트러닝에서 앱 기반 중재 22 3. 앱 기반 중재 관련 선행연구 26 Ⅲ. 연구방법 29 A. 연구참여자 29 B. 실험장소 31 C. 실험기간 31 D. 독립변인 32 E. 종속변인 측정 43 1.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 43 2. 진로성숙도 44 F. 실험설계 및 절차 46 1. 실험설계 46 2. 실험절차 47 G. 자료분석 52 1.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 52 2. 진로성숙도 53 H. 관찰자간 신뢰도 53 I. 중재충실도 54 J. 사회적 타당도 55 Ⅳ. 연구결과 57 A.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57 B.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58 Ⅴ. 결론 및 논의 61 참고문헌 70 부록 81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748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mart Phone Application(app) bas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on Performing Coffee Making tasks and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dc.format.pagev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