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9 Download: 0

도시브랜딩을 적용한 공중전화부스 그래픽 디자인 연구

Title
도시브랜딩을 적용한 공중전화부스 그래픽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Public Phone Booth Graphic Design Study Applying City Branding : Focused on Seoul City
Authors
김하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대도시는 한 국가를 상징하는 대표성을 가지며 경쟁도시와 차별화를 위한 표현 방법으로 도시브랜드를 활용하고 있다. 도시브랜드는 지역의 특성과 문화적 자산을 적극 활용하여 정체성을 확립시키고 도시발전을 위해 필요로 한다. 대표성을 가지는 서울의 브랜드는 현재 디자인의 노후화, 명칭의 가벼움, 국내외 대표성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단기간에 많은 상징물이 교체 없이 등장하여 시민들의 혼란을 가증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1) 따라서 도시의 지역특성을 살려 시민들과 공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새로운 브랜드의 개발과 그에 적용시킬 아이콘이 필요한 시점이다. 적용할 아이콘은 도시의 첫인상을 나타내고 통합적 이미지 정립에 유용한 공공성의 목적이 있는 공공시설물이 적합하다. 그 중의 하나인 공중전화부스는 저소득층이나 긴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최소 보장 시설물로써 존속 가치가 충분하며 도시의 차별화된 정체성을 확립시키는 수단으로 적합한 시설물이다. 공중전화부스는 1990년 말 이동통신기의 보급화로 수요량이 줄어들면서 6만여 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관리가 어려워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어 퇴출 위기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관리 회사인 KT 링커스는 공중전화부스의 존속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접목시켜 활성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기능별 부스의 존재 인식이나 위치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사용자의 접근이 낮다. 현재는 G20 정상회담의 장소로 삼성 코엑스가 거론되면서 강남구부터 새로운 디자인의 공중전화부스가 일관되게 교체되었다. 현재 교체한 새 디자인은 보행자의 시각적 혼동을 방지하는 목적과 획일적인 도시 거리 미화를 위해 눈에 띄지 않는 디자인과 컬러를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공중전화부스를 개별 시각화가 아닌 도시브랜드에 특화된 시설물로 지향하여, 긴급 상황에 대비해 시인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어 서울시 공중전화부스에 도시브랜딩을 적용한 그래픽 디자인 연구를 아래와 같이 시행하고자 한다. 첫째, 도시브랜딩을 위해 서울시 대표 명소를 선정하여 아이콘 디자인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대표 명소 아이콘을 적용하여 서울시 풍경을 형상화하는 그래픽 디자인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한 그래픽 디자인에 기능별 공중전화부스에 활용할 컬러를 도출하여 적용한다. 넷째, 각 기능에 맞혀 신형 공중전화부스에 컬러를 적용시켜 그래픽 디자인을 최종화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중전화부스를 사회적 관점에서 중요한 시설물로 인식시키고 거리의 공공시설물만이 아닌 예술적인 도시의 상징물로써 거리의 미화를 개선하고 부가 가치적 이미지를 높인다. 또한 시민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도시의 이미지를 확립시키고자 한다.;Large metropolitan cities have the representation of nations, and utilize city brands as methods for expressing differentiation with competing cities. City brands secure their identities by utili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al assets, being needed for the city development and forming basis of the nation’s competency. Brand of Seoul, representing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many problems, including aging of the design, lightness of the title and lack of representativeness within and outside of South Korea, and also faces the criticism that many symbols appearing without replacement within short time are adding to the confusion of the citizens. 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new sustainable brands and applicable icon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itizens by utili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city. As an applicable icon, public facilities with the purpose of public character representing the first impression of the city and useful for establishing integrated images are appropriate. Public phone booths have the sufficient value of existence as a minimum facility for low-income classes or for emergency circumstances, being an appropriate facility as means of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identity of the city. The number of public phone booths has declined to less than 60,000 units after its demand was reduced due to the distribution of mobile phones. Also, due to its difficulty in management, the public phone booths conflict with the street scenery, being in the danger of being abolished. KT Linkers, the managerial company has grafted various functions for the public phone booths to continue the public phone booths, yet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s is low due to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existence and the location of the booths. Currently, as COEX located at Samsung Station was mentioned as a venue for G20 summit, public phone booths of new design has been replaced coherently from Gangnam-gu. The currently replaced new design pursues plain design and color to beautify the city streets with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visual confusion of pedestrians. This research realizes that public phone booths need to pursue visibility for urgent needs of usage and conducted graphic design study of the public phone booths of Seoul-si by applying city branding. Firstly, pictogram designs are developed by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landmarks of Seoul-si, for the purpose of city branding. Secondly, by applying the pictograms of the representative landmarks, graphic designs representing the landscapes of Seoul-si are developed. Thirdly, by deducting colors to be utilized in public phone booths for each function to the developed graphic designs, the graphic design is applied. Fourthly, the colors are applied to the new public phone booth designs, finalizing the graphic design. It is pursued from the study to induce the awareness of public phone booths as significant facilities from social perspectives, to enhance the city’s aesthetic scenery as the artistic symbols of the city, not as mere public facilities and to enhance value-added image. Also, the city’s image is pursued to be established to the foreigners as well as the citizens.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phone booths are utilized by other regions as well as Seoul-si,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image through integrated branding as the representative icon of the c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