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5 Download: 0

성취기준 진술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해석과 수업계획

Title
성취기준 진술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해석과 수업계획
Other Titles
Teachers’ Interpretations and Lesson Plans Based on Two Different Standards : Focused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7차 교육과정에 도입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은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다. 한국의 성취기준 진술방식은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내용(내용요소)과 수업 후 나타내야 할 행동(행동요소)을 함께 제시하는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내용요소는 지식을, 행동요소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의 성취기준 진술방식은 포함되는 지식과 기능의 수준 및 제시 방법이 유의미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고 많은 선행연구들은 대안책으로 일반화 수준의 개념과 고차적인 기능을 강조하여 성취기준을 진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방식(이하 ‘성취기준A’)과 일반화와 탐구기능을 강조하는 성취기준 진술방식(이하 ‘성취기준B’)을 제시하였을 때 교사들의 성취기준 해석과 수업계획은 각각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다음의 세 질문에 대해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1.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따른 세 교사들의 성취기준 해석은 어떠한가? 2.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따른 세 교사들의 수업계획은 어떠한가? 3. 세 교사들의 성취기준 해석에 따른 교사들의 수업계획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현재 5학년의 사회과를 가르치고 있는 세 명의 초등 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두 차례의 면담을 통해서 진술방식이 다른 성취기준A와 성취기준B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과 평가를 계획하였다. 성취기준A는 2015 개정 성취기준의 전형적인 진술 방식이며 사실/개념(내용요소)과 이를 나타내는 활동(행동요소)가 한 문장에 담겨있다. 성취기준B는 해외의 성취기준 진술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며 일반화와 탐구기능을 예시와 함께 상세화하여 진술한 것이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성취기준에서 제시하는 내용요소와 행동요소를 명확하게 해석하지 못할 때 교과서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둘째, 일반화를 명확하게 해석한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더욱 능동적으로 재구성하며 더 높은 수준의 인지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를 구성하였다. 셋째, 탐구기능은 서술어나 행동요소가 아닌 성취기준 자체로 진술했을 때 교사들은 탐구기능을 강조하여 학생중심의 수업과 평가를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성취기준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자신에게 많은 선택권이 있는 것을 불안해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에 따라 다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첫째, 성취기준은 교사들이 가르쳐야 할 지식과 기능, 태도를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상세화 하여 진술해야 한다. 둘째, 개념들을 나열하기보다는 개념 간의 관계를 강조하는 일반화를 성취기준에 진술해야 한다. 셋째, 탐구기능도 지식을 진술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내용요소와 행동요소에 구애 받지 않고 진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충실도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반면 개발자들은 상호적응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어 이들의 간극을 좁혀줄 수 있는 보조 자료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standards have been used to state what students should know and do. Standards generally contain content component and activity component and mostly each of the components matches with knowledge and skills. However, this method has been disputed as the quality of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tandards is limited and not meaningful. As an alternative, advanced research has been suggested to focus on generalization and higher inquiry skil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eachers’ interpretations and lesson plans based on the different standards. Case study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is used to explore (a) the way teachers interpret standards, (b) the way teachers use standard to plan their lessons and (c) how are teachers’interpretations and lesson plans connect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ree teachers who teach 5th grade social studies. They read and planned lessons based on two different types of statement methods during two interviews. One standard (Standard A) follows the typical written form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has been applied recently. Another standard (Standard B) focuses on generalized concepts and inquiry skills through detailed examples and differentiates skill standards from knowledge standards. In this study, participants’process of reading, interpreting, and using the standards has been monitored,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could not interpret the standards became dependant on textbooks and other materials. Secondly, teachers who interpreted the meanings of generalizations well, organized their own curriculum and lesson plans actively and constructed evaluations for higher cognitive processes. Thirdly,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quiry skills in social studies while reading a standard separated from knowledge, not stated as a verb modifies the knowledge. Lastly, even though teachers organized their lesson plans well, they still felt the burden of constructing their own curriculum.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s a few things. First, standards have to be stated in details to help teachers’interpret what to teach. Secondly, standard have to be stated with generalized concepts, not with a list of facts. Thirdly, standards have to state the inquiry skills with the same value as knowledge. Lastly,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wo perspective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idelity and mutual adaptation) and the pedagogical materials and methods for teachers to embrace the mutual adaptation perspectives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