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7 Download: 0

우리나라 및 해외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된 사회과 탐구기능 비교 분석

Title
우리나라 및 해외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된 사회과 탐구기능 비교 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Skills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and Overseas Curriculum : Focusing on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uthors
장혜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현재의 교육계는 ‘무엇을 아는가?’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지식 활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의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그 동안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던 기능에 대한 강조가 이뤄지고 있다. 사회과의 필수적인 기능이 무엇이냐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나 사회과에서 탐구는 오랫동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왔으며, 호주, 캐나다 온타리오, 미국 미시간 주 등 해외 여러 나라들은 탐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기능영역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탐구기능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및 해외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담긴 탐구기능의 반영 실태를 파악하고 해외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더불어 사회과 탐구기능에 관한 교사들의 중요성 인식, 실행정도 및 요구정도를 파악하여 시사점 도출에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첫째, 해외 및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어떠한 탐구기능들이 제시되고 있는가? 둘째, 해외 및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탐구기능의 계열성은 어떠한가? 셋째, 사회과 탐구기능에 대한 교사들은 중요성인식 및 실행정도에 따른 요구도는 어떠한가? 이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탐구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탐구이론과 해외 사회과 교육과정의 기능영역 및 기능관련 성취기준을 분석 및 종합하여 ‘질문개발’, ‘자료수집 및 정리’, ‘자료 분석 및 해석’, ‘결론도출 및 의사소통’, ‘식견 있는 행동’이라는 탐구기능 및 각 탐구기능 별 하위 탐구 기능을 도출하여 탐구기능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그 후,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해외 교육과정의 기능관련 성취기준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분석틀에 따라 분류하며, 어떤 탐구기능이 어떻게 제시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성취기준의 계열방식을 알기 위해 각 성취기준의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도 함께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교육과정의 분석 작업의 타당성 및 실증성을 높이고자 사회과 탐구기능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성 인식 및 실행정도와 그에 따른 요구도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연구문제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탐구기능의 반영정도가 미흡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과 식견 있는 행동과 관련된 성취기준들만 일부 존재하고 있었으며, 탐구기능이 반영된 성취기준들도 그 의미를 온전히 반영하고 있다고 하기는 미흡하였다. 반면, 해외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성취기준 안에 탐구기능들이 균등하게 반영되고 있었다. 탐구기능별 하위 탐구 기능에 관해서도, 우리나라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하위 탐구 기능들의 체계도 드러나지 않고, 특정 기능에 편중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해외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탐구기능별 관련 하위 탐구 기능들이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그 탐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을’혹은 ‘어떻게’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 결과, 탐구기능의 계열성면에서도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탐구기능들의 학년 군별 계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두 학년 군 사이의 수행 수준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고 관련 학습 내용의 차이만 있을 뿐이었다. 이에 비해, 해외 교육과정은 탐구기능별 관련 하위 탐구 기능들의 수준이 학년에 따라 심화되는 경우, 동일한 하위 탐구 기능이 전 학년 일관성 있게 반복되는 경우, 저학년 혹은 고학년에 적합한 하위 탐구 기능이 있는 경우 등 일정한 체계를 가지고 계열성을 이루고 있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 결과, 탐구기능 및 하위 탐구 기능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성 인식 정도에 비해 실행정도는 낮게 나타나 사회과 탐구 기능에 대한 교수실천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질문개발과 식견 있는 행동에 관한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해외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구성 방식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이는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육과정에 반영될 기능이 무엇이며 이것을 어떻게 계열성 있게 조직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성취기준 개발 작업에 앞서 진행되어야 한다. 그 후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을 잘 반영하여 교육과정의 기능 및 관련 하위 기능들이 무엇이며 어떻게 학년 군별 계열성이 드러나는지 알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The current educational world emphasizes the use of knowledge in 'What can we do?' from 'What do we know?', Which is driving many changes in education. In this tre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Function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meantime. Discussions about the essential functions of social studies vary, but inquiries in social studies have long been important. Several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Canada Ontario, and America Michigan are setting up the functional areas of the curriculum, focusing on inqui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Korean and overseas curriculum focusing on the inquiry function and to grasp the reality of reflection of the inquiry function in the standard of curriculum achievement in Korea. As a result, we want to obtain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comparison with overseas curriculum. In additio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eachers on inquiry function in social studies, the degree of execution and the level of demand are used it to derive implications. Accordingly,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inquiry functions are presen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overseas and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sequence of the inquiry function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overseas and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rd,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in social studies inquiry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 set up an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the inquiry functio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riteria related to functional area and function of inquiry theory and overseas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completed the inquiry function analysis frame by deriving five exploratory functions and sub items of each inquiry function. 'Developing questions',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Drawing conclusion and communication', 'insightful behavior' After that,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2015 and the performance - related standard of foreign curriculum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nalysis frame. We looked a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how many inquiries were presented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ach achievement criter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quence of achievement standards. Finally, in order to enhance the validity and demonstrability of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we examined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eachers and the need for the inquiry function. As a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problem,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inquiry function in our curriculum was insufficient. There were only some fulfillment criteria related to data analysis, interpretation and insightful behavior. In addition, the achievement criteria reflecting the inquiry function are not enough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of overseas curriculum reflected five exploratory functions equally. Regarding the sub-elements by inquiry function, Korea'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focused on the sub-elements, but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elements.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of overseas curriculum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by inquiry function-related factors and it was suggested how to 'what' or 'how' to perform the inquiry function. As a result of the second research problem, the Korean curriculum did not show the sequentiality of the inquiry function and related sub - factors in the grade level of inquiry function. The number of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as higher in the 3-4 year group than in the 5-6 year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level between the two grades, only the differences in the learn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verseas curriculum,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increased or remained the same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continuity was reflected. In addition, if the level of related sub-factors per inquiry function is increased by grade, if the same element is repeated consistently throughout the school year or if there are sub-elements appropriate for the lower or upper grades, It was a systematic system with a certain sequential system. As a result of the third research problem, the degree of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importance on inquiry function and sub - elements. It was found that teaching practice about social studies inquiry function was not smooth.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question development and insightful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the curriculum composition method between Korea and abroad. This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curriculum improvement. A discussion of what functions are to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nd how to organize them in a sequential manner should be preceded by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standards. After that,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the function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it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curriculum and related sub-elements are revealed and how the grade-by-grade sequence is reveal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