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Evidence from students whose schools with exchanged foreigner teachers
Authors
오상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As Korea has been becoming multicultural country rapidly, the rate of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has also been raising every year. However, several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 adults and adolescent was not enough for meeting the pace of changing environment of society. Considering that society will have been more multicultural place when current adolescents become adults, and according to a face the world is global society which consists of various cultures and ethnic backgrounds, it is important to have and rais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 there need to be educational approach to make students have multicultural attitude and competence for upcoming society. Based on the thoughts and opinions above, this study have attempted to seek variables of student, teacher, and school, which are anticipated to affect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with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rais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tudents have been suggested. Especially, as this study covers variables of exchanged foreigner teacher instead of those of general teacher, it is unique comparing to other studies have been published. Analyzing variables of exchanged foreigner teacher is meaningful, because the cases using foreigner teachers in schoo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First,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tudents based on the variables of students, exchanged foreigner teachers and schools? Second, what are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variables of students, exchanged foreigner teachers and schools?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have been conducted using data of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Analysis of Asia-Pacific Teacher Exchange Programme for Global Education 2016. And for research metho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analysis.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tudents, exchanged foreigner teachers and school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variables of students, there was difference based on a school level, sex of student, and staying experiences in abroad. So the group of primary schools, female, and having staying experience in abroad during 6 months to 1 year shows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Next, among variables of exchanged teachers, there was difference based on the number of exchanged teachers in school, a nationality of teacher, a major of teacher. So the group of students whose schools have exchanged foreigner teacher more than one and whose teachers majored subjects which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nally, among variables of schools, there was difference of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ased on the school average score of teacher’s life guidance for students. So, students in schools with the higher school average score of teacher’s life guidance shows the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according to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school level and sex of students that affects all three dimensions, which are diversity, relationship, universality,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nalyzing the affective variables of students, exchanged foreigner teachers and schools respectively, a level of school, sex of student and staying experience in abroad significantly influence to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variables of students. So the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when students 1) are in primary school level, 2) are female, 3) have longer staying experience in abroad. Among the variables of exchanged foreigner teacher, nationality of teacher are significantly effective factors to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 the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when students meet Malaysian and Thai teacher. Next, among the variables of school, average rate of school violence, the number of books per one student, the number of school clubs are significantly effective factors to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 the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multicultural acceptability when students are in schools with 1) the lower rates of school violence, 2) the more books per one student, 3) the more school clubs. The following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a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need to be support for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primary school to secondary school. As children has more flexible cognitive construction than adults, it is easy to educate them to have various cultural values and attitude than adolescents. Above all, it is easier to construct flexible curriculum which make possible to have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secondary school, because secondary school have to be focused on exam for university entrance, so primary school have positive environment to provide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lead them to have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re need to b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 so that they can maintain or rais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hich was raised in primary school. Second, based on the‘Contact theory’, it is possible to consider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using foreigner instructor who have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n this point, there need to be consideration about personal factor of foreigner teacher like nationality, major of foreigner, which can affect their way to communicate students, to teach cultural knowledge, etc, which possibly lead to differenc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tudents. Third, in order to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but also providing a suitable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to rais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the average rate of school violence, the number of books per one student, the number of school clubs have impa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tudents. As these variables are based on ‘school averag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at school environment and atmosphere can influence to students’social psychological development as they spend a lot of time at school during the day.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nvironment at the school level with factors which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to 1) encourage friendly relationship among students through teacher’s life guidance and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2) promote reading education and activities through school library with many and various kinds of books. 3) support various school club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have various experience besides clas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ve been conducted with not all students but some students,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Second, because of limited information about exchange foreigner teachers, variables of teacher have been analyzed simply without information about how they interact with students, how they teach in class ets. Therefore, following research should be done with deeply surveyed material about teachers’ factors. Third, there was another limitation to collect school information like detail environment of school such as atmosphere, because school information used in this study have been collected just through ‘School information site’. Thus, following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with more analytical information through questionnaires about the school environment perceived by students, etc.;우리나라는 빠르게 다문화 사회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배경 학생들의 비율도 매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인들과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은 변화하는 환경의 속도를 맞추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혼재되고 있으며, 현재의 초·중등학생들이 성인이 되어 사회로 나아갔을 때 이들이 만나게 될 다문화 배경 구성원은 더욱 많아질 것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다문화수용성은 미래사회의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위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 개인, 교사, 학교 차원에서 다방면으로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과의 교사교류사업 및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인 교사를 활용한 교육 사례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 변인으로 ‘다문화 외국인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2016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사교류사업 성과분석 연구’에서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다문화수용성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전술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다문화 외국인 교사, 학교변인에 따라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생, 다문화 외국인 교사, 학교변인은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를 위해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다문화 외국인 교사, 학교변인에 따른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배경변인에서는 학교급, 학생성별, 외국체류경험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초등학교급일수록, 여학생일수록, 외국체류경험이 6개월 이상일 때 더 높은 다문화수용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다문화 외국인 교사변인에서는 배치된 교사의 인원, 교사의 국적, 교사의 전공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배치된 다문화 외국인 교사가 많을수록, 교사의 국적 중에서는 말레이시아일수록, 교사의 전공이 다문화 관련 교과일수록 더 높은 다문화수용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교배경변인에서는 학교평균 교사생활지도점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학교평균 교사생활지도점수가 높은 학교의 학생들일수록 더 높은 다문화수용성을 보였다. 둘째, 초·중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종합한 결과, 공통적으로 미치는 영향 변인은 학교급, 학생성별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다문화 외국인 교사, 학교 변인에 따라 이를 살펴보면, 학생변인에서는 학교급, 학생성별, 외국체류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교급일수록, 여학생일수록, 외국체류경험이 길수록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 외국인 교사변인에서는 교사의 국적 변인만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에서도 말레이시아와 태국 국적의 교사가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배경변인에서는 학교폭력실태조사 평균, 학생 1인당 장서 수, 동아리 수가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폭력실태조사 평균이 낮을수록, 학생 1인당 장서 수가 많을수록, 교내 동아리 수가 많을수록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수용성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교육과 지원이 낮은 학교급에서부터 시작하여 고등학교급까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아동시기에 형성한 가치관이나 고정관념에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며,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착화되기 쉽다고 한 바 있다. 또한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기존에 지니고 있던 다문화수용성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어, 인지구조가 성인에 비해 유연하고 다양한 가치관을 받아들이기 쉬운 어린 연령대에서부터 다문화 가치와 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급이 낮을수록 입시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고등학교에 비해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있어 상대적으로 자율적이고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외국인 교사를 활용한 수업 등의 다양한 활동과 교육적 경험의 제공이 더 용이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급부터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을 시작하여 중, 고등학교에서도 지속적인 다문화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지원과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직접적인 상호작용과 접촉경험이 편견과 고정관념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접촉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외국인 강사를 다문화이해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는 배치된 외국인 교사의 인원에 따라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이 차이를 보였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렇게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 외국인 교사를 활용함에 있어 국적이나 교과 전공 등의 개인적 배경 요인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외국인 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학생들과 상호작용하고 수업 활동을 하는 데 있어 차이를 보였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한다면, 본 연구에서 유의한 영향 변인으로 도출된 교사의 국적이나, 다문화수용성에 차이를 나타냈던 교사의 전공 등을 비슷한 맥락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셋째, 초·중등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해 직접적인 다문화 교육 경험의 제공 뿐 아니라, 학교가 다문화수용성을 함양하는 데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지 또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교배경변인 중 학교폭력실태조사 평균과 학생 1인당 장서 수, 동아리 수가 다문화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학교평균 교사생활지도점수에 따라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변인들이 ‘학교평균’에 기반 한다는 점에서, 학교가 이러한 학생 개개인에게 제공하는 환경, 풍토 또한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학생들은 하루 중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기 때문에 학교환경은 학생의 인지와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교사와 학교문화가 학생들의 가치와 태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학생 개인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었던 요인들을 학교 차원에서도 고려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사의 생활지도를 통해 원만한 교우관계를 독려하여 학교폭력 발생률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학교 도서관 지원을 통해 독서 교육 및 독서 활동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여 수업 외에 다양한 경험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전체 학교급의 일부 학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한계가 있다. 둘째, 다문화 외국인 교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다문화 외국인 교사 변인이 피상적으로 분석된 부분이 있다. 즉, 다문화 외국인 교사의 변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지 보기 위해서는 해당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이와 함께 이들이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수업을 하고, 학생들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기에, 관련하여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셋째, 학교 환경과 관련된 부분이 학교 정보 공시 사이트를 활용하여 수집되었다는 점에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변인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학생 1인당 장서 수와 같은 학교의 또 다른 물리적 여건 외에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 환경에 대한 설문을 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역시 보다 분석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