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숲 이미지를 통한 치유의 공간 표현연구

Title
숲 이미지를 통한 치유의 공간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Expression of Healing through Forest Image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The city that we live in is surrounded by high-rise skyscrapers built with cement and a colorful yet dreary atmosphere, and the situation is changing continuously depending on the ever-changing conditions of the day. Most of the people in the city spend a busy daily life trying to adapt themselves to a hectic life and spend a harsh competition in a rough world. In these urban environments, the stress of modern people's greatest ailments is heightened. Unfortunately, modern people try and compete to keep up with the current trend but in that process, the pressure that emerges from various chaos and complicated relationships causes stress. In order to maintain normal thinking and lifestyle in environments covered with various stresses, regular healing and rest are usually needed but city people usually try to do just passive ways in their daily lives and then they are satisfied with and rely on them. Urban environments such as invisible view by buildings, promiscuous lights, artificial colors, stuffy air and unpleasant noises, etc make the city people rather depressed and interfere with having a fundamental rest and healing time. However, the environment of natur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ities. When you get out of city and feel nature, you've experienced deep breathing and relaxation in your body. As humans are returning to their natural appearance and it comes to being assimilated with nature, human can feel pleasant and comfortable with nature. Nature have cared for humans from ancient times, and nature which mankind has to depend on the last is a foundation for human habitation. Silently, Nature embraces the city people who are losing their identities by greed stemming from greed and stress stemming from many of its competitive origins. As a result, people visit natural space as therapy to relieve stress and relieve relaxation and comfort, and among many natural spaces, " Forest " is a more special place for urban dwellers. The forest is a deep natural area of nature that can be completely shut down from the city, and it is the tranquil heart of nature in which one can naturally forget complex emotions and confusion. In the forest, we can concentrate on the sounds of trees, singing birds, and the sounds of air. When you look at your breathing together, you feel like your head and mind become more relaxed and relaxed like a forest. For the sad and depressed city people who lose their breath and lose their identity, the forest silently console them. It also gives you a sense of space and time to feel as if you can feel a real ' me ', healing your tired mind, organizing your chaotic mind, and finding your breath again. The study aims to portray the nature of the tranquil forests in urban areas, thereby city people can realize a peaceful nature, restore a healthy mind and regain a healthy mind by looking away from the chaotic daily lives. It also puts a purpose to remind the natural meaning of stress and healing for stressed contemporary people amid the exhausting atmosphere in the city.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ai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t and healing given by 'Forest' as a more special space for urban people among various natural spaces. The researcher is trying to express the still more calm and quiet space of the forest as an environment contrary to daily life in the city. The woods in the work are the calm and quiet morning time and the tranquil winter of the season. It expresses a comfortable forest that does not stimulate the sense of hearing, sight, and tactile sensation, so that it will face the audience slowly and give the audience time to look at themselves for the rest and resolution. Also, the stability of the triangular structure, the harmonious harmony of the circle, a strong sense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smoothness of the curve are the formative elements that coexist with each other stably and we want to express the appearance of the forest. The work wants to give a chance to make new imagination with a comfortable mind in a beautiful natural space made up of coexistence and harmony. 'Charcoal' is used as a material to represent trees in the forest as a research tool. The researcher uses charcoal, which is a natural material that has the form and texture of the tree, to express the trees extending vertically in harmony with the forest. The researcher aims to face the tranquil and pure nature around the above contents and to have an opportunity to confront herself with her own breathing. Through this, it has the meaning of research on restoring a healthy mind by having time to comfort our tired bodies and minds in nature and heal them, and to seek the true value of life and to move toward ones precious dream.;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도시의 모습은 시멘트로 지어진 고층빌딩과 화려하지만 삭막한 분위기로 둘러싸여 있고,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현시대의 상황에 맞추어 이런 모습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도시 속에서 지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급변하는 상황에 애써 적응하며 분주한 삶을 살아가고 여유 없는 각박한 현실에서 치열한 경쟁을 치르며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다. 이러한 도시 환경에서는 현대인의 질병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스트레스가 더욱 더 고조되기 마련인데, 시대의 흐름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경쟁을 치루며 그 과정에서 겪는 여러 혼돈과 복잡한 인간관계로부터 나타나는 부담감 등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여러 스트레스들로 뒤덮인 환경에서 정상적 사고와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치유와 휴식을 취해야하며 이를 위해 도시인들은 보통 같은 일상 속에서 소극적인 방법들을 시도하고 그나마 그것에 만족하며 의지한다. 하지만 건물들로 꽉 막힌 시야, 난잡한 조명과 인공적인 색, 답답한 공기, 불쾌한 소음 등의 도시환경은 오히려 정신을 우울하게하고 심신을 위한 근본적인 휴식과 치유의 시간을 갖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자연의 환경은 도시와 매우 다른 상황이다. 도시 속을 벗어나 자연을 접하였을 때 깊은 호흡을 내쉬게 되고 몸과 마음의 긴장이 이완되는 것을 누구나 한번쯤 경험하였을 것이다. 이는 인간이 본연의 모습으로 자연과 동화될 때 쾌적감과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다. 자연은 예로부터 인간을 보살펴 왔으며 또한 인간이 마지막으로 의존해야 하고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주는 근본이다. 수많은 경쟁 구도에서 생겨난 욕심과 그에 따르는 억압과 스트레스들로 피폐해지고 자신의 주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도시인들을 자연은 말없이 안아준다. 이로써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휴식과 위안을 받기위하여 치유로서의 자연 공간을 찾는데 여러 자연 공간 중 ‘숲’은 도시인들에게 좀 더 특별한 공간으로 다가온다. 숲은 도시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는 자연의 깊숙한 공간으로서 복잡한 감정과 혼란스러웠던 마음을 자연스레 내려놓을 수 있는 고요한 자연의 품 속 이다. 숲속에서 우리는 나무들의 호흡, 지저귀는 새의 소리, 공기의 촉감 등에 집중 할 수 있으며 함께 호흡을 맞추다보면 어느덧 자신의 머릿속과 마음도 숲속과 같이 고요해지고 편안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여러 스트레스들로 자신의 호흡을 느끼지 못하고 주체성을 잃어가는 슬프고 우울한 도시인들에게 숲은 말없이 그들을 위로한다. 또한 자신을 진정한 ‘나’로써 느낄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마련해주어 지친 마음을 위로하고 치유하며 혼돈된 마음을 정리하고 다시 제 호흡을 찾을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고요한 숲의 풍경을 제시하여 도시 속 지친 현대인들에게 자연의 호흡을 느끼도록 하며 이를 통해, 혼란스럽고 복잡한 일상으로부터 잠시 벗어나 순결한 자연의 모습을 보며 건강한 마음을 회복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도시 속 일상에서의 고단함으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근본적 휴식과 치유를 할 수 있는 자연의 의미와, 여러 자연의 공간 중 도시인들에게 좀 더 특별한 공간으로서의 ‘숲’이 주는 휴식과 치유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통해 설명한다. 연구자는 도심 속 일상과 상반되는 환경으로서 더욱 더 고요하고 한적한 숲속 공간을 표현하고자 한다. 작품에서의 숲속은 잔잔하고 조용한 아침의 시간대와 계절 중 가장 고요한 겨울의 모습이다. 청각과 시각, 촉각 등의 감각을 자극 시키지 않는 편안한 숲속을 표현하여 관객과 서서히 마주하게 하고 자신을 바라보며 위로와 다짐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자 한다. 또한 직선의 느낌과 곡선의 부드러움이 서로 안정되게 공존하고 있는 조형적 요소로써 숲속 모습을 표현한다. 공존과 조화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자연의 공간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새로운 상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한다. ‘숯’은 연구도구로서 숲속의 나무를 표현하는 재료로 사용된다. 나무의 형태와 결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자연소재인 숯을 사용하여 숲속의 조화를 이루며 수직으로 뻗어 있는 나무들을 표현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위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고요하고 순수한 자연의 모습을 마주하게 하고 본래 자신의 호흡으로 스스로를 대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친 몸과 마음을 자연의 품에서 위로하고 치유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여 건강한 마음을 회복하고, 모두가 삶의 진정한 가치를 찾아 자신의 소중한 꿈을 향해 나아가는 것에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