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Program Annotation

Title
Program Annotation
Authors
박리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성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pieces Lina Park performed at the graduation recital in Kim Young Ui Hall,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25th of November, 2016. The recital program arranged five pieces in the order of time period, starting from the Baroque period and extending to the Romantic period and the modern period: Toccata in F Major, BuxWV156 by Dietrich Buxtehude, Prelude and Fugue in E minor, BWV548 by Johann Sebastian Bach, the fourth movement Introduction and Passacaglia from Sonata No.8 in E minor, Op.132 by Josef Gabriel Rheinberger, Prèlude No.5 and Scherzetto No.14 from 24 Pièces en style libre, Op.31 by Louis Vierne and Organ Sonata No.1 by Colin Mawby. Dietrich Buxtehude is a composer of the Baroque period, and he was the representative composer in northern regions of Germany. His Toccata in F Major, BuxWV156 consists of five parts, Prèlude - 1st Fugue – interlude - 2nd Fugue - coda, and the improvisatory features of Stylus Phantasticus are very noticeable. This piece is mostly played at non-legato following the Baroque technique. But partially it is needed to play at legato in consideration of the little echo in Kim Young Ui Hall. The tone combination of Toccata is on the basis of the Organo pleno, and Fugue combines its tones with the similar tone considering the presentation of subjects on the keyboard and pedal. With Prelude and Fugue in E minor, BWV548 by Johann Sebastian Bach, Ritornello form of Prelude was influenced by a concerto form of Italy, and Fugue is written in da capo aria form. This piece plays non-legato, the classic Baroque playing technique, but partially it is needed to play at other articulations such as slur or staccato. The Prelude uses a combination based on big plenum tone including 16'and mixture. And the fugue uses the tone combination of Prelude′s and adds the reed in pedal to present the subject in bass line. Josef Gabriel Rheinberger was an organist, composer and teacher of German romantic period. He preferred the classical traditions such as contrapuntal factors to romantic elements. The fourth movement Introduction and Passacaglia from Sonata No.8 in E minor, Op.132 was composed by baroque form. The introduction makes unity to reappear in Coda, and the passacaglia repeats its theme melody, composed of 8 measures while playing 24 variations. This piece is played at legato following the romantic technique and the tone combinations of this ar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n the scores. Louis Vierne was an organ music composer of French romantic period, and he made the impressionist music used in organ music. There are various impressionist features in Prèlude No.5 and Scherzetto No.14 from 24 Pièces en style libre, Op.31. The impressionist features such as the parallel chord progression, chromatic and whole-tone scale progression are very noticeable. Beautiful melodies of the Prèlude flow through playing at legato, and the Scherzetto is played at staccato to express the scherzando. Their tone combination adheres to the score, and the controlling of the swell box is needed to express the dynamics. Organ Sonata No. 1 is written by Colin Mawby who is a composer of an English modern music, and it has three movements of which subtitles represent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motives of each movement get varied and changed on the basis of the interval of harmony and melody throughout its movement. This piece is played at legato to show the beautiful melody line and for the part, where a progression of the vertical harmony appears, the organist gives the space between vertical harmonies. For the loud and grand part, the tone combination has three development stages, and for the beautiful melody, the organist plays just using flute 8’. This thesis has explored each piece in looking at historical background, the life of the composer, its musical characteristics, its playing styles and its tone combination. This helps appreciate the development change of organ music over the period and music styles of composers in their music.;본 논문은 2016년 11월 25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전공 박리나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김영의홀의 칼 슈케(Karl Schuke)오르간에서의 연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연주회 프로그램은 작곡 시대에 따라 바로크, 낭만, 현대 순이며, 세부적으로는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1707)의『토카타 바장조, BuxWV156 (Toccata in F Major, BuxWV156)』,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전주곡과 푸가 마단조, BWV548(Prelude and Fugue in E minor, BWV548)』, 요세프 가브리엘 라인베르거(Josef Gabriel Rheinberger, 1839-1901)의『소나타 8번 마단조, Op.132(Sonata No.8 in E minor, Op.132)』중에서 4악장 서주와 파사칼리아(Introduction and Passacaglia), 루이 비에른(Louis Vierne, 1870-1937)의『24개의 자유곡 모음집, Op.31(24 Pièces en style libre, Op.31)』중 5번 프렐류드(Prélude), 14번 스케르쩨또(Scherzetto), 콜린 모비(Colin Mawby, 1936-)의『오르간 소나타 1번(Organ Sonata No.1)』의 5곡이다. 바로크 북독일 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 북스테후데의『토카타 바장조, BuxWV156』는 도입부-푸가1-연결부-푸가2-종결부의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상적 양식(Stylus Phantasticus)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 주법인 논 레가토(Non Legato)를 바탕으로 연주하며,부분적으로는 레가토(Legato) 주법이 필요하다. 음색은 토카타에서는 오르가노 플레노(Organo pleno)의 음색으로, 푸가는 손건반과 페달을 같은 계열의 음색으로 선택하였다. 독일의 작곡 양식을 풍성하게 만든 바흐의『전주곡과 푸가 마단조, BWV548』는 리토르넬로(Ritornello) 구조의 전주곡과 다 카포 아리아(Da capo aria) 형식의 푸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의 효과적인 연주를 위해서는 논 레가토를 바탕으로 연주하되, 부분적으로는 다른 아티큘레이션을 적용해야한다. 또한 푸가의 빠른 스케일 음형에서는 핸드 디스트리뷰션(Hand Distribution), 즉 양손의 분배를 고려하여 연주해야 한다. 연주자는 전주곡에서 믹스츄어(Mixture)가 포함되는 큰 플레노의 음색을 선택하여 웅장함과 화려함을 표현하였으며, 푸가는 전주곡의 음색에 페달의 리드(Reed)음색을 더하여 베이스에서의 주제 선율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하였다. 독일 낭만주의 시대 오르가니스트∙작곡가∙교사로 활동하던 라인베르거는 바흐의 대위법, 형식 등 전통적 기법에 따라 오르간 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오르간 소나타 20곡 중 『소나타 8번 마단조, Op.132』의 4악장 서주(Introduction)와 파사칼리아(Passacaglia)는 바로크 형식으로 작곡된 것으로, 서주는 코다에 재등장하여 곡에 통일성을 부여하며 파사칼리아는 8마디의 주제를 바탕으로 24번의 변주가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 곡은 낭만주의 시대의 주법인 레가토를 바탕으로 연주해야 하며, 음색은 다이나믹에 따라 작은 소리에서 시작해 점차 높은 음역 및 리드 음색을 추가하여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선택하였다. 비에른은 프랑스 낭만 오르간 음악에 인상주의를 받아들인 작곡가로, 그의 작품 가운데『24개의 자유곡 모음집, Op.31』중 5번 프렐류드(Prélude)와 14번 스케르쩨또(Scherzetto)에는 다양한 인상주의 요소가 나타난다. 위의 두 곡을 연주할 때, 프렐류드는 레가토로, 스케르쩨또는 스타카토로 연주하여 각 곡의 특색이 잘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연주자는 악보에 지시된 것을 바탕으로 음색을 선택하였으며 스웰 박스(Swell box)를 조절해 셈여림을 표현하였다. 영국의 현대 작곡가 모비의 작품『오르간 소나타 1번』은 3악장 구조의 소나타로 각 악장의 부제는 독특한 성격을 나타낸다. 이 곡은 선율의 움직임에서는 레가토로, 수직화음의 진행에서는 화성 사이에 공간을 두어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연주자는 크고 웅장한 부분에서는 3단계로 발전하는 음색 조합을 만들었으며, 부드러운 선율에서는 플룻(Flute) 8'만 선택하여 연주하였다. 이상으로 바로크, 낭만, 현대 시대에 걸쳐 다양한 스타일의 오르간 작품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이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가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