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민-
dc.contributor.author김희연-
dc.creator김희연-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3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0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02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83-
dc.description.abstract통계청(2017) 자료에 의하면, 2016년 청년실업률은 9.8%로 2000년대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는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고용 안정성에 불안을 느끼는 청년 집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직장으로 인식된 공무원 시험으로 몰리는 현상과도 맞물려있다(한국경제, 2016). 또한, 학교 현장에서는 사회 진출을 앞둔 학생도 긴 안목으로 진로를 계획하기가 어려워졌는데, 최근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데에는 지식기반 사회의 영향과 함께 직업의 세계가 빠른 속도로 세분됨과 동시에 융합이 촉진되고 있기 때문이다(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학교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다른 어느 때보다도 부각되면서 2015년 정부에서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4조(학기) 제3항’을 개정하여 자유학기제를 시행하도록 명시하였다. 이 자유학기에 중학생은 한 학기 동안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치르지 않고, 학생 참여형 수업과 다양한 체험활동을 한다. 반면에, 일반 고등학교의 대다수 학생은 대학 진학이 일차적 목표이므로 그러한 학생과 학부모 요구를 반영한 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 수업에서는 대학 입학 전형 탐색, 희망직업 관련 학과의 탐색, 교과목별 학습방법 안내, 각종 학습 상담 등을 중요한 주제로 다루고 있다. 학교 진로교육은 자아와 삶을 성찰하고 다양한 직업과 진학 경로를 탐색하는 가운데 본인 스스로가 정한 여러 실천 영역에 동기부여를 해나간다는 교과 특수성이 있으며, 학생에게 중요한 의미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고등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수업 중심 진로교육에서 학생이 다양한 매체와 방법으로 진로정보를 탐색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은 과제 정의, 정보탐색전략 수립, 정보원 위치 파악, 정보 활용, 종합, 평가 등 기본 6단계와 세분된 12개의 전략으로 이루어졌다. 이 전략은 정보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형성하므로 학습자는 각 단계를 거치면서 논리적인 사고능력을 갖추게 된다. 또한,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은 학교생활, 일상생활, 의사결정 등에 두루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모형인데다, 상대적으로 다른 모형보다 과정이 명확하고 단순하여 현장에 적용·전이하기 쉬운 특징을 지녔다(Eisenberg & Berkowitz, 1990). 본 연구의 의의는 고등학생이 진로 문제를 놓고 막연하게 고민하지 않고, Big 6 기능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진로정보 탐색 활동을 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한편,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을 타 교과목에 도입한 국내 연구결과도 다수 있었는데,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는 주로 학업 성취도나 정보활용능력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태도 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효과를 다른 측면에서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었다. 본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앞서, 2차 자료 조사 방법 중 문헌고찰을 통하여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교육과정, 진로정보의 개념과 진로교육의 체제적 접근,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선행 연구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선 학교의 진로진학상담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를 요구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차시당 50분 분량의 4차시로 구성하였고, 웹 기반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교실 수업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 수업 후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도는 수업 전보다 향상하였는가? 2.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 수업 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수업 전보다 향상하였는가? 연구가설을 검증하도록 서울 소재 일반 고등학교 학생 411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2016년 2학기인 9월과 10월, 두 달 동안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제 진로진학상담 수업에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진행 전과 후에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검사 도구 각각의 사전 사후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진로태도 성숙도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구인별로는 결정성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등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구인별로는 직업정보 수집, 계획수립, 문제해결 등의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반면에, 목표설정과 자기평가 요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유도해 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진로와 직업 선택과 관련하여 학생의 안정감과 일관성 있는 태도를 길러주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Big 6 기능은 학생의 진로탐색 활동과 관련하여 직업정보 수집, 계획수립, 문제해결 등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대상의 진로진학상담 수업에도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을 도입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진로탐색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는 데에 시사점을 남겼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중심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나 두 검사 도구에 대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실제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렇지만 본 연구를 열 명 이내 소집단 인원을 대상으로 한다면 전혀 다른 연구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둘째, 같은 교과목이라도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을 도입하는 방법은 연구자 혹은 교사 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로 진행하였지만,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효과를 더욱 뚜렷하게 확인하는 데는 향후 통제집단과 비교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선행연구처럼 일반적인 인터넷 진로탐색 집단, 집단상담 진로탐색 집단 등을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통계치를 비교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2017), youth unemployment rate of 9.8% in 2016 was the highest-ever results from 2000. This is connected with the phenomenon which the youth group who feel anxiety about the stability of employment is driven toward public service examination recognized as a stable job relatively, as the concept of jobs for life is vanishing(Korea Economic, 2016). Besides, recent career fields already have been affected by the knowledge-based society; jobs have been specialized rapidly, and at the same time, job fusion is promoted, making it harder than ever before for the pre-college students to plan for their career with a long-term vision(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2011). As the importance of school career education was rising more than ever before, in 2015 government stipulated the implement of the free-semester syste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one semester, revising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the article(semester) 44, section 3'. In this free-semester system,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 the activity clas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various experiential activity instead of taking the mid-term and final exam. On the other hand, most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im to enter university as the primary goal and the needs of students and par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middle school, so general high school class of career counseling is focused on the exploration of college admission process, the exploration of major related the desired job, guidance of learning methods by subjects, and various counseling about learning. School's career education for youth has developed specialized curriculums in which the students can take some time for self-reflection, explore various jobs and courses of study, and at the same time, motivate themselves to find significant meanings within the several practice areas that they have chosen. In this study, considering general high school field's condition, Effectiveness of Big 6 Informational Literacy Approach Adopt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al Programme was developed to help the students explore their career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a and methods in instruction centered career counseling class. Big 6 information literacy model is composed of 6 basic steps and further subdivided into 12 steps of strategies. These strategies are formed as an information problem-solving process so students can get a logical thinking ability, going through each step. In addition, Big 6 information literacy model is a comprehensive information solving model which can be widely used for school life, everyday life, decision making etc. and its process is clear and simple than other models relatively, so it has a feature to be easy to apply and spread fields(Eisenberg & Berkowitz, 1990).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the high school student do not worry about career problem undefinedly and they can explore efficient career information by using Big 6. In addition, there were many domestic research results of introducing Big 6 information literacy model into other subjects, however, test tools measuring effect were mainly academic achievement or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tc. So this study gives significance that confirms the effect of Big 6 information literacy model in other aspects, measuring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ior to the full-scale programme development, the theory of general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the concept of career information, systematic approaches to career education, Big 6 information literacy model, and related preceding research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secondary sources. In addition, interview of school teacher was reflected in the programme development. Effectiveness of Big 6 Informational Literacy Approach Adopt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al Programm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50 minutes of lessons per day, 4 times and to support the classroom teaching web-based learning community was developed.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improved after the introduction of Effectiveness of Big 6 Informational Literacy Approach Adopt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al Programme than before the class? 2. Is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mproved after the introduction of Effectiveness of Big 6 Informational Literacy Approach Adopt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al Programme than before the class? To verify this research hypothesis,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al programme was implemented for 411 students of the general high school in Seoul from September to October for two months in second semester 2016 and conducted a survey of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me. As a result of each test tool's pre and post-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n an aspect of factors, apart from Decisive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t of factors, Goal-orientation, Confidence, Preparation,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in an aspect of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Occupational Information subscale, Planning, Problem Solving whereas Self Appraisal and Goal Selection were not. As seen in this study results, Effectiveness of Big 6 Informational Literacy Approach Adopt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al Programme improved student's attitudes of stability and consistency relating to career and vocational choice. And Big 6 skills were helpful to students in occupational information gathering, planning, problem- solving relating to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Big 6 information literacy could be applied to the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suggested the career exploration method which students could choose variously for themselves. This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verified a hypothesis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re were not bi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two test tools in real. Nevertheless, if this study is conducted for a small group within 10, it may result in totally different study result. Second, no matter what the same subject, the method of 'Big 6 information literacy model' application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eacher's discretion so the differences from it must be considered. Third, this study was implemented 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o from now on, to get clearer distinct data related effectiveness of 'Big 6 information literacy model', it needs to compare and analysis with a separately controlled group. And like the advanced researches, if the comparative groups of general internet using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career exploration etc. compare with this programme, it is considered that more meaningful study results may come ou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7 A.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 7 1.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성격과 목표 7 2. 진로탐색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8 3. 일반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실제 9 4. 시사점 10 B. 진로정보의 개념과 진로교육의 체제적 접근 11 1. 진로정보의 개념 11 2. 진로교육의 체제적 접근 13 3. 시사점 19 C.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20 1.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개관 20 2.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특징 22 3. 중요성 및 의의 25 4. Big 6 기능 활용의 실제 26 D. 웹 기반 학습 커뮤니티 활용 30 E. 관련 선행연구 31 1.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31 2.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관련 연구 33 F. 연구가설과 모형 35 Ⅲ. 연구 방법 37 A. 연구 대상 37 B. 연구 절차 37 1. 분석(Analysis) 39 2. 설계(Design) 43 3. 개발(Develop) 51 4. 실행(Implement) 52 C. 연구 도구 53 1. 진로태도 성숙도 53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54 D. 자료 분석 방법 55 Ⅳ. 연구 결과 57 A. 학습평가 57 1. 진로태도 성숙도 57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58 Ⅴ. 결론 및 제언 60 A. 결과에 대한 논의 60 B. 의의와 시사점 63 C. 제한점 및 제언 63 참고 문헌 64 부록1. 진로태도 성숙도 설문지 69 부록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75 부록3. 진로탐색 프로그램 수업지도안 78 부록4. Big 6로 찾아보는 내 진로탐색 : 가이드북, 워크북 91 부록5. Big 6로 찾아보는 내 진로탐색 : 학생활동지 114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04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iveness of Big 6 Informational Literacy Approach Adopt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al Programme-
dc.format.pageviii, 13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