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혁신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정과 교사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혁신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정과 교사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Innovative Education Community of Practice and Teacher's Experience in Participation : Focused on Innovative School in Seoul
Authors
이미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main reason many school reforms have always failed is that they have not been able to guid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the ones who actually carry out the reform. The “innovative school” has been drawing attention as the bottom-up school reform movement implemented throug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since progressive school superintendents were elected in 2009. The innovative school introduced the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system and has supported the system institutionally so that teachers can become the main agents of the school operation and aims to achieve the educational reform by improving the school culture through the transition of school into a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onsidered School S, an innovative school in Seoul, a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process of forming School S as a community practicing innovative education and the teac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early stage of formation, School 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learning community with strong cohesion, aiming to realize innovative education successfully.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is stage include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centering on the dedication of passionate teachers, joint inquiry and joint practice, and discussion. After the key members of School S in the early stage left and the new members came in, School S appeared as a learning community with more or less relaxed characteristics. They had focused on establishing democracy in living in the early stage of formation, but in this stage, they focused on class innovation based on what they have established in the preceding stage.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e aspect that it examined the case of democratic operation of the school throug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identified the details of the innovative education realized through the subje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of the school that emerged in that process and thereby proving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reform through the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based on the actual case of School S.;교육과정 자율화 및 학교 다양화 정책 등 학교개혁을 요구하는 일련의 하향식 교육개혁정책들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교육현장에서는 ‘작은학교살리기운동’과 같은 상향식의 자발적인 혁신 움직임이 있었고, 2009년 진보교육감들의 등장과 함께 혁신학교를 통한 제도적 차원의 학교혁신 운동이 시작되었다. 혁신학교는 권한위임을 통해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민주적 학교운영을 통해 학교문화를 개선하고자 하는 학교개혁운동이다.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는 최근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현장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데, 혁신학교 교육의 이념은 단위학교를 학습공동체화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혁신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학습공동체 연구가 활발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형 혁신학교인 S고의 사례를 통해 상향식 혁신의 실행과정에 나타난 특징과 그 과정에서 얻은 경험들이 교사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교육 실천공동체로서 S고 형성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S고 교사들의 혁신교육실천 경험의 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혁신교육실천공동체 내부에 형성된 갈등해결을 위한 조정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S고에 형성된 혁신문화와 교사정체성 변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2011년부터 2016까지 S고에 근무한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생각하는 교육혁신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지나왔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고 교사들은 입시교육으로 왜곡된 교육의 본질적 기능을 회복하고자 민주적 생활공동체, 학생의 배움이 일어나는 학교, 아울러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성장이 일어나는 학교를 만들고자 하는 공동의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이 비전들은 오랫동안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겪어 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그들 스스로 제시한 비전이라는 점에서 혁신의 동력이 되었다. S고의 초기 구성원들은 핵심멤버들을 중심으로 집단적 토론과 합의의 과정을 거쳐 학교의 실천의 틀을 마련하였다. ‘의결기구로서의 교직원회의’, ‘배움의 공동체 수업’, ‘복수담임제’, ‘아침 창의적 체험활동’, ‘3주체 공동체생활협약’으로 대표되는 실천의 틀은 혁신교육 실천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였다. 형성 초기 S고는 ‘공동 학습’, ‘공동 실천’과 같은 집단적 특성이 강한 공동체적 특성을 띠었으며, 성숙기에 해당하는 2013년부터는 일반전입에 의한 새로운 구성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공동체 내부적으로 소통부재로 인한 갈등이 불거졌다. 또한 혁신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S고 내부에는 강압적인 학생통제가 없기에 발생하는 학생들의 지나친 자유로움으로 인한 수업방해 행위, 입시교육에 대한 불안감, 핵심교사들과의 소통부재, 업무과중에서 오는 협력 회피 등의 경계영역이 형성되었다. 혁신교육 실천공동체로서 S고 구성원들은 적극적 참여자들과 비판적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혁신학교의 장점을 외부로 확산시키고자 하는 외부지향적인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무난한 협조자들은 비판적 성찰의식이 강화됨과 동시에 자신이 부딪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며 혁신 역량에 자신을 맞추어 가는 변환적 역량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또한 일부 공립학교의 순환근무제에 의해 혁신교육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이 유입된 교사들은 혁신학교에서 요구되는 가치와 자신의 교육적 신념 사이에서 고민하거나, 때로는 동료교사와의 괴리감에 의해 의도적으로 참여를 회피하거나 가장된 협력의 양상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S고가 혁신교육 실천공동체로서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살펴 본 결과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S고 교사학습공동체는 구성원들의 노력에 의해 선형적으로 발전단계를 밟아가며 나타난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강한 목표의식에 의해 학교의 시스템 자체를 학습공동체로서 기능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둘째, S고 교사학습공동체는 구성원들의 집단성의 강도에 따라 시기별로 두 가지 유형의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이 나타났다. 즉, 초기에는 구성원들의 참여와 실천이 혁신교육이라는 목표를 향해 강하게 응집된 ‘수렴적 학습공동체’가 나타났다. 이후 S고의 초기 구성원들이 떠나고 새로운 구성원들로 혁신을 이어가고 있는 현재에는 보다 느슨한 성격의 ‘이완적 학습공동체’의 형태로 나타났다. S고 교사들의 겪은 경험과 변화 과정의 특징은 그들이 처한 상황에 맞는 교육을 깊이 고민하고 교육적 가치를 탐구하면서 구성원들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 개인의 노력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공동체적 전문성을 길러준다. 교사 개인적 차원에서는 교육을 국지적이면서도 동시에 총체적으로 보는 비판적 탐구능력, 자신의 역할에 필요한 지식을 쌓고 실천을 통해 끊임없이 재구조화 해 나가는 주체적 학습능력, 함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찾아 나가는 협동능력을 향상시켜 주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위학교는 학교가 처한 상황에 맞는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학교의 맥락적 상황에 맞는 로컬지식을 생성해가면서 진정한 교육과정의 다양화와 자율화를 구현해 나갈 수 있는 잠재력을 형성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사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민주적 학교운영 사례와 교사들의 주체적 참여를 통해 구현된 혁신교육 실천의 내용,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학교문화 개선을 통한 교육개혁의 가능성을 S고의 실제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는 데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