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수진-
dc.contributor.author문예지-
dc.creator문예지-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1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5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58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66-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the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variables with the target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In addition to those variables, this study also analyzes a more complex interrelationship of variables with the addition of perceived daily hassle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intervening factors. For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7 undergraduate students who ranged in age from 18 to 25 years. With the collected data, basic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then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via hierarchical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ith SPSS PROCESS macro version 2.16. The key analysis for this study is to analyze a complex interrelationship among four variables (self-discrepancy,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perceived daily stres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moderated mediation. Quant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relations among the four key variables: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elf-discrepancy, perceived daily hassle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first three variables showed positive intercorrelation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screpancy and a partial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econd, hierarch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a moderated mediation among key variables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was significantly and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daily stress. Thir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a variabl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perceived daily stress, and in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university students' smart phone proneness, which lead to rejection of an alternative hypothesis for this study. Final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mplex path models based on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discrepancy and their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That is, under this complex causal model, the interac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university student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is mediated by perceived daily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This outcome supports the main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self-discrepancy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ived daily stress they face,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s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disposition. Under these direct and indirect path models of three variables, university student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mode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perceived daily stress; a high level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s negatively mode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ch decreases university students' proneness to smart phone addiction. University students are highly dependent on the use of smart phones because that they are more likely than those of other ages to have a smart phone, and they don't have any restrictions, unlike adolescents.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are likely to become addicted to the use of smart phones, and more systematic analysis should be made in terms of how they are addicted to smart phones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the transition period into adulthood are likely to lack a sense of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and the self-discrepancy they experience with their sudden autonomy is one of the influential mechanis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Moreover,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1) self-discrepancy in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their smart phone addiction disposition, which is mediated by perceived daily hassles, and (2)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lay a role as a moderated mediator. We found that more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carefully designed and used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escape from the trap of smart phone addiction.;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이 경험하는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25세 대학생 34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위계적 회기분석 및 SPSS PROCESS macro 2.16을 사용하여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 본 다음,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자기불일치, 일상적 스트레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자기불일치,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자기불일치와는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는 부분적으로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를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가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가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경쟁모형에 대한 가설이 기각되었다. 넷째, 이상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결과를 종합하여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기불일치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상호작용이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을 지지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직접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예측 할 뿐만 아니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기불일치가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여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경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은 타 연령에게 비해 스마트폰 보유율이 높고, 청소년에 비해 스마트폰 사용에 제재를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의 발생 과정을 이해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성인기에 진입하는 과도기적 시기로 발달적으로 독립성과 책임감을 온전히 획득하지 못한 채 갑자기 주어진 자율적인 환경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자기불일치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불일치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가설 8 C. 연구모형 9 Ⅱ. 이론적 배경 10 A.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10 1.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10 2. 자기불일치 12 3. 자기불일치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14 B.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16 1. 일상적 스트레스 16 2.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를 매개로하여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18 C.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22 1.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22 2.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23 3. 대학생의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26 Ⅲ. 연구방법 30 A. 연구대상 30 B. 측정도구 32 1.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32 2. 대학생의 자기불일치 33 3. 일상적 스트레스 34 4.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34 C. 연구절차 35 D. 자료분석 36 Ⅳ. 연구결과 3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3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37 2.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 39 B. 매개효과 분석 41 1.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41 C. 조절효과 분석 43 1. 자기불일치와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43 2. 일상적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45 D.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46 Ⅴ. 결론 및 제언 51 A. 요약 및 논의 5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6 참고문헌 60 부록 76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26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and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s : Using Moderated-Mediation Model of Perceived Daily Hassle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c.creator.othernameMoon, Ye Ji-
dc.format.pagev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