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5 Download: 0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화적 문해 교육에 대한 일반 성인들의 인식 조사

Title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화적 문해 교육에 대한 일반 성인들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dult`s perception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Authors
김애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평생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해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일반 성인들의 평생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해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그 시사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UNESCO와 OECD 등의 국제기구와 많은 학자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이 시대에 모든 성인들에게 기초적인 인권과 능력이 될 수 있는 여러 분야에 대한 이해로서의 문해를 강조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성인들이 더 이상 물질적인 요소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과 성찰, 그리고 자신의 문화를 포함한 여러 문화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에 집중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대부분의 성인들은 아직까지도 평생교육 자체에 대해 큰 관심이 적으며, 직업이나 경제적인 상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교육에만 참여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들이 평생교육으로의 문화적 문해 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성인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일반 성인들의 성인문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해 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따라 일반 성인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45명의 설문 대상자 중 평생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인원은 71명, 29%로 조사되었고, 평생교육 참여 영역에서는 ‘직업능력향상교육’에 대한 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평생교육의 주요목적은 ‘직업능력의 함양’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일반 성인들은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저조한 상태이며, 직업관련 교육에만 관심이 치중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일반 성인들은 ‘성인 문해교육’의 목표 중 ‘삶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성인 문해교육’을 통해서는 ‘타인 이해와 소통의 힘 함양’이 가장 잘 길러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던 71명 70명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영역으로 제시한 6개의 영역 중 ‘음악 영역’에 대한 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문화예술교육 영역의 중요도’와 ‘참여의향’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 성인들은 ‘문학 영역의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참여의향은 ‘음악 영역의 이해’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가장 잘 함양될 수 있다고 인식하는 능력은 ‘삶의 질, 풍요로움 향상’이라고 조사되었다. 문화에 대한 교육은 ‘문화에 대한 지식 교육’, ‘문화에 대한 감상 교육’, ‘문화에 대한 실천·실습·참여 교육’에 대해 지식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참여 의향은 보다 접근이 쉬운 감상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화 교육의 발전 과제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일반 성인들에게 평생교육에 대한 쉬운 접근으로의 인식과,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이라는 인식이 아닌 지속 가능한 발전 교육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둘째, 성인 문해교육이 더 이상 비(非)문해자들을 위한 교육이 아닌, 기(旣)문해자들을 위한 교육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이에 향후 성인 문해교육의 영역은 인문·예술·문화와 같이 다양한 영역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해 교육의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문화적 문해를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 등을 개설하고,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홍보하고 지원하여, 향후 평생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해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of adults and to analyze its implications as a basic data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and the OECD and many scholars emphasize literacy as an understanding of different areas that can be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abilities for all adults in this rapidly changing era. In addition, it also emphasizes that adults are no longer focusing on physical factors, but focusing on reflection and reflection on their lives and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including their own culture. However, most adults in Korea still have little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itself and tend to participate only in education that they feel is beneficial to their job or economic situ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ult adults perceive Cultural literacy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problem of this study that set up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Adult literacy for adults? Third, what is the perception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Cultural Arts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problems, 245 adults were survey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245 respondents, only 71 people(29%) had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Among them,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was the highest. Also, the main purpose of lifelong education was to recognize that ‘cultivation of vocational 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As a result, adults in Korea are not interested in and engaged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y are interested only in vocational education. Second, learners of Lifelong education recognized that ‘quality and attitude to participate i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of life’ was the most important goal of ‘Adult literacy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Adult literacy Educ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cultivation of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and communication’ could be best developed. Third, 70 out of 71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answer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Among the six areas proposed as the area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participation rate in ‘part of music’ was the highe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the questionnaire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rea’ and ‘Participation intention’, as a result adults recognized that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w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intention of participating ‘understanding of music domain’ was the highest. And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it can be best cultivat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surveyed a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abundance’. Education on culture recognized ‘knowledge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among ‘knowledge education on culture’, ‘appreciation education on culture’, ‘practice on culture, practical exercise on culture, participation education’ The easiest ‘appreciation education’ was the highest. However, the intention of participating was the highest in ‘appreciation education’ which is easy to approach.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al tasks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instil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for all adult to recognize the easy access to Lifelong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give a recognition to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that can rais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ather than education that is economically helpful. Second, it is necessary to all adult to recognize that ‘Adult literacy Education’ is no longer for non-literate. The area of ​‘Adult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umanities, arts and culture for people who can read and write. Third,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Cultural Arts Education’ needs to be actively supported.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further promoted by promoting and supporting various curriculums that can cultivate cultural liter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