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청소년 언어자료를 활용한 어문생활사 교육 내용 구성

Title
청소년 언어자료를 활용한 어문생활사 교육 내용 구성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construction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using teenagers' language materials : focusing on Fan-letter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문생활사의 관점에서 1980년대, 2010년대에 쓰인 청소년의 팬레터를 통해 현대 어문 생활에서 팬레터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변화 양상에서 드러나는 언어 주체의 인식과 기대를 확인하고, 학습자에게 친숙한 언어 실천 행위를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 어문생활 및 어문생활사 서술의 주체임을 인식하게 하는 어문생활사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에 있다. 어문생활사의 관점에서 청소년 팬레터의 변천을 엮어내고 그를 활용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전제를 마련하기 위해, 어문생활사의 개념과 범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07년 수시 개정 시기를 전후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 어문생활사가 내용으로서 반영되기 시작하였으나 문자 생활사와 독서 생활사 등 거시적인 내용에 머물러 청소년 학습자가 자기 자신을 어문생활사의 주체로 인식하게 하는 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에게 친숙한 ‘편지’를 어문생활사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편지생활사를 살펴보았다. 편지의 개념과 범위, 사용 범위와 활용 목적, 편지를 씀에 있어서 당대 언어 주체들이 중요시했던 가치 및 태도 등을 토대로 시대에 따른 변화상을 분석함으로써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는 편지생활사를 정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국어교육 안팎에서 청소년 언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처방적 관점과 기술적 관점에 대해 검토한 후 청소년 학습자가 자발적인 언어 주체로 성장하기 위해 국어교육이 취해야 할 관점에 대해 확인하였다. 기존의 처방적 관점이 청소년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 청소년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에 대해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기술적 관점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다음으로 어문생활사의 관점과 조선시대부터 현대로 이어지는 편지생활사를 정리한 것을 기반으로 하여 Ⅲ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대상인 1980년대와 2010년대의 청소년 팬레터 자료를 분석하였다. 1960년대 대중문화가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편지 교본에도 팬레터가 실리기 시작했다는 것을 참고로 삼아, 팬레터의 형식적 특성과 청소년 팬 공동체의 언어관습, 언어 주체가 팬레터를 발신한 목적 및 팬레터를 발신하는 언어 행위에 대한 태도와 기대를 중심으로 각 자료의 특성을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유형과 당대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어문생활사의 관점에서 청소년 팬레터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Ⅲ장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 성취 기준을 고려하는 동시에 어문생활사의 강조점이 드러나는 방향으로 청소년 언어자료를 활용한 어문생활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어문생활사 학습을 통한 국어 공동체의 이해’와 ‘실제적 경험을 통한 언어 주체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주요 교육 목표로 하여, 학습자가 어문생활사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언어 주체의 언어 행위 원인 및 관련 맥락을 분석하고, 어문생활사의 언어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어문생활사에서의 청소년 언어자료의 가치를 깨닫는 동시에 언어 주체로서 긍정적인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지속되고 있는 언어행위인 ‘편지 쓰기’ 가운데, 특히 현대 청소년의 팬레터 쓰기를 어문생활사의 관점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행하는 작문 행위로써 팬레터에 주목하여, 시대가 흐르며 언어 행위를 둘러싼 여러 환경 요인이 변화함에 따라 언어 주체가 언어 행위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융통성 있게 조절하고 실천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는 것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교본에서 팬레터를 다루기 시작한 시기부터 교본에서 팬레터에 대해 어떠한 태도로 무엇을 주의할 점으로 강조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살펴보았으나, 1980년대와 2010년대의 청소년 팬레터 자료로 분석 대상이 한정됨에 따라 시대의 변화를 좀 더 세밀하게 살피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팬레터에 대해 ‘팬이 자신이 좋아하는 우상에게 보내는 편지’로만 인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언어 주체가 팬레터를 쓰는 행위를 수행하며 갖고 있는 기대를 파악하고 사회적 요인과 상대방의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자신의 기대를 조정하고 언어 행위의 기능을 변화시켜 나가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언어자료를 활용한 어문생활사 교육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청소년이 자신을 온전한 언어 주체로 인식하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을 이루기 위한 국어교육에서의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어문생활사 교육, 더 나아가 문법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데에 더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firstly identify the need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nd its current situation in the present curriculum. Secondly,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it intends to identify recognition and expectation of the linguistic subject by analyzing transitions of fan-letters written by adolescents in 1985 and in 2016. Thirdly, it aims at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that allows learners to recognize that they are the subjects in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presupposition for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the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adolescent-fan-letters and inspects the concept, range and educational necessity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The concept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has been introduc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ince 2007. With the constant revision, it showed that adolescent learners have a little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the life history in Korean language since it focuses on the Joseon dynasty. Hence, this paper examined 'letter', familiar material for learners. It summarized the history of letter writing life from the Joseon Dynasty to now by analyzing periodic transitions based on a concept and range of a letter, its usage and purpose, and an attitude of the linguistic subjects toward a letter. Next, it examined two perspectives on the teenagers language,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 prescriptive view and a descriptive view, and confirmed a perspective in order for teenager learners to grow up as a spontaneous linguistic subjec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xisting prescriptive view is likely to cause adolescent learners to have the negative perception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descriptive view in order for them to recognize their language obj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dolescent-fan-letters data in the 1980s and in the 2010s. Referring to a fact that fan-letter began to be included in a letter manual with explosive expansion of pop culture in 1960s, data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centered on a formal characteristic of a fan-letter and linguistic convention of a teenager fan community, by looking at purpose of a fan-letter by the linguistic subject, attitude and expectation on the speech act sending a fan-letter. Based on such type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in those days, it examined transitions of adolescent-fan-letters from a perspective of the life history in Korean language.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Ⅲ, it specified objectives and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using teenagers language data regarding educational aims and achievement standards from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educational objectives of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community through learning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linguistic subject through real experience', this paper constituted educational contents in order for leaners to understand basic concept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nalyze causes and contexts of the speech act by the linguistic subject and establish the identity as the linguistic subject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Therefore, it allowed learners to recognize values of teenagers language data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nd form the positive identities as the linguistic subjec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speech act, 'letter'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fan-letters written by contemporary teenagers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Paying attention to a fan-letter written by teenagers themselves, I have found out that with the continuous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series of transition in speech act (i.e. expectation, attitude, and expression) by the linguistic subject have been observed over the course of time. This study examined what attitude and emphasis manual has on a fan-letter from a period when it began to deal with a fan-letter. However,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ould not examine periodic changes in a detailed manner since analysis was done for data in the 1980s and in the 2010s. However, beyond the general recognition on a 'fan-lett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out that they adjust their expectation and change a function of the speech act as contexts alter. In addition, it took a new approach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for teenagers to recognize themselves as the whole linguistic subject and discover their identity by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history in Korean language life using teenagers language data. Based on discussions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more actively for providing contents for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nd grammar. [Key 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education, History of letter writing lif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dolescent-fan-letters, Letter, Adolescent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